View : 785 Download: 0

자수에 의한 입체적 표현연구

Title
자수에 의한 입체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dimensional expressions by embroidery : based on overlapping of planes and interlinking kines
Authors
주선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Keywords
자수입체적 표현연결선중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문명이 번영하였던 시대에는 항상 그 시대의 독자적인 공간개념을 창조하여왔으며 특히, 조형예술에 있어서 공간은 불변의 탐구대상이 되어왔다. 공간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물체와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에 의하여 형성이 되며, 이러한 관계는 주로 시각에 의해서 결정된다. 시각적 공간에 있어 가장 먼저 관찰할 수 있는 것은 공허이고 공허공간은 3차원의 구체적 대상이 존재할 때 파악된다. 그리고 이 대상은 2차원 공간에서는 시각적 환영으로서 3차원 공간에서는 구체적인 입체물로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수 표현에 있어서 면과 연결선의 중첩을 통하여 공허공간을 실제공간으로 전환시키고 평면에서 입체적 표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표현 방법 및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평면과 입체의 개념을 파악하고 평면에서의 입체적 표현에 관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둘째, 중첩의 개념과 의미를 알아보고 면과 연결선의 중첩을 중심으로 조형적 방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섬유예술 속에서의 중첩의 양상을 섬유작품과 자수작품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조형적 기법과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작품표현에 있어서는 입체적 형태와 공간을 강조하기 위하여 공간에 비친 빛의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다. 작품의 재료로 바탕천은 중첩의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투명성 있는 폴리에스테르와 불투명한 옥스퍼드, 벨벳틴을 사용하였고, 자수실은 견사를 사용하였다. 작품제작은 첫 단계로 윤곽선 위주의 선형(線形)으로 수놓은 바탕 천을 전면에, 면 혹은 구체적 형상을 수놓은 천은 후면에 위치하게 하여 각각 수놓은 두 천을 프레임(frame)의 앞뒤로 메워서 중첩시킨다. 다음 단계로 실을 전면의 천에서 후면의 천 쪽으로 관통시키면서 연결하는 자수기법으로 연결선을 중첩하여 표현하였다. 연결선으로서의 자수기법을 주된 표현 기법으로 하고 전면의 천과 후면의 천 각각에도 이음수, 평수, 깔깔사를 이용한 징금수를 사용하였다. 작품에 따라 두 바탕천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하였고, 후면의 바탕천은 투명한 천, 불투명한 천, 그리고 두 종류의 천을 부분적으로 패치워크(patchwork) 하여 혼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면과 연결선의 중첩에 의한 자수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바탕천의 중첩은 표현된 대상의 형태와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지각하게 하고 면 중첩에 의한 지각적 투명성은 형태에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면 중첩에 의하여 생긴 일정한 간격은 시각적인 혼동으로 인한 착시와 시각적 운동감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셋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 면 중첩의 공간에 연결선 스티치를 놓음으로써 공허공간을 가시공간으로 전환시키고 입체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면 중첩에 의한 공간에서의 연결선 스티치는 면에 표현된 선의 성질을 면으로 변화시키고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크기, 방향, 각도에 변화를 주어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며 입체적 형태를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중첩에 의한 연결선 스티치와 작품의 표면에서 표현한 깔깔사를 이용한 징금수, 평수 등의 표현은 대비의 효과를 주어 상대적 깊이감을 주는데도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개념의 자수가 평면 위에서 이루어지는 예술이기 때문에 갖는 평면성에 중첩에 의한 공간효과와 표현의 다양성으로 수놓는 과정 자체를 입체 형성의 과정으로 하여 입체 성향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자수 표현은 표현 방법에 있어서 바탕천 위에서뿐만 아니라 보다 폭 넓은 측면으로서 자수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Ever since the prosperity of human civilization, each era has created its own original space meaning. Especially in the plastic arts, the space has become an immutable study course. The notion of space is simply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ject and the humans who perceives it, often through visual sights. In visual space, the first thing observed is the emptiness of space. The emptiness of space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the three dimensional form. This subject can be seen as an optical illusion in two dimension, and as a distinctive dimensional solid in three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erse the emptiness of space into a practical space through the use of embroidery by overlapping the fabric and interlinking lin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technique and the domain of expression through possibly of showing the dimensional form from its plane surface. In theoretical study, first, the meaning plane and cubic will be defined, and the ways of expressing the dimensional form' from its plane surface will be discussed. Secondly, we will define the meaning and the definition of overlapping and analyze the technique in relation to the plane and the interlinking lines. Thirdly, the analysis, of overlapping aspect in fiber arts, concentrates on the and its effectiveness occur from distinction of fiber arts and embroidery arts. As to emphasize dimensional form and the vacuity of spac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art work, the image of light shed in the emptiness is simply expressed in spherical geometry. To make us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iteration, transparent polyester, oxford and velveteen is used as the background fiber. Also, silk thread is used in embroidery. Regarding the process of work, the first stage is to put the outline stitched background material facing up and overlapping the other material with distinctive formation stitched to the cloth. On next stage, both cloths have been connected by embroidery technique, penetrating former cloth toward later cloth with thread. With line interlinking embroidery technique as main expression, each of former and later cloth was also expressed by outline stitch, satin stitch, couching stitch. In each piece of work, we put a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ckground fibers and a transparent cloth. Non-transparent cloth was used for the other side of the fiber, and two different cloth was patched in section. After finishing with the embroidery work using the overlapping of the plane with its interlinking stitch, and analyzing it, we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hape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stitched on the overlapped background cloth should be perceived complexly, and perceivable transparency by surface overlapping has made expression of depth of form possible. Secondly, the internal gap from the overlapping surface will create a visual confusion and will cause a visual movement. Thirdly, stitching interling lines through regular interval space of overlapped planes, emptiness space has transformed to visual space and dimensional expression was possible. Fourth, interlinking lines stitch in space, created by planes overlapping, will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line expressed on the surface to surface itself. Also, giving changes in the size, direction, and angle, depending on location of the stitch, expressing dimensional form while creating flat plane or curved surface was possible. Lastly, comparison effect from interlinking lines stitch by overlapping and representation of satin stitch and couch stitch on the surface of the work, was effective in illustrating relative emphases. To conclude, this study has mostly pursed diversifying ways to add dimensional character to the general concept of embroidery. To expand scope of embroidery expression technique from flat plan performed art, the infinite possibility of embroidery expressions on the plane surface of background materials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in broader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