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

Title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
Other Titles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uthors
오현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재량활동중등교사실행수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고,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행관련변인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고등학교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지원책과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1-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 1-2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실행수준 분석 2-1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중등교사들의 실행수준은 어떠한가? 2-2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실행수준의 차이가 있는가? 3.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관련변인 분석 3-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실행관련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3-2 중등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3-3 중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성별, 담당재량활동유형별 (교과재량/ 창의적 재량/ 비담당), 지역별, 시범학교운영여부, 경력별로 구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 중 26명을 면담하여 재량활동의 실행수준을 알아보았다.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관심도 측정 질문지와 면담지는 텍사스 대학교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것으로 우리나라 재량활동교육과정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다.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행 관련변인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이미숙(1998)의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 변인연구에서 작성한 질문지를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위하여 빈도, 원점수, T점수, 평균, 표준편차, X^(2) 검증, 일원변량분석, 선형회기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개인별 관심단계를 살펴 본 결과 전체교사의 32.1%가 무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고, 3단계인 운영적 관심은 19.7%의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해 좀더 알고 싶고 자신들이 실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옳은 것인지, 잘못된 것인지 알기를 원하며 보다 많은 다른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려는 교육과정 혁신의 초기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근무학교의 시범학교 운영 여부만이 a=.05 수준에서 교사의 관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시범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3단계인 운영적 관심과 4단계의 결과적 관심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무관심은 33.9%로 나타난 반면 시범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무관심은 17.9%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일선학교에서 재량활동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교사들에게 사전 연수나 자율연수 등을 통하여 재량활동교육과정 운영의 취지나 기본 목표 등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하고 있으며, 실제로 교사들은 재량활동을 운영해가면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를 파악한 후 실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2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결과 중등학교 교사들의 재량활동에 대한 실행수준은 Ⅲ 실행단계에 속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이 Ⅲ 실행단계의 교사들은 '기계적 실행'의 단계로서 재량활동교육과정을 단기적,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ⅣA 단계인 일상화 수준, 그리고 ⅣB 단계인 정교화 실행수준, Ⅵ 단계인 갱신의 수준의 차례로 나타났다. 그러나 Ⅴ 단계인 통합적 실행수준을 가진 교사는 한사람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담을 실시한 26명의 교사들의 전체적인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26명의 각 단계별 원점수의 평균을 백분위로 환산하여 프로파일을 그려보았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전체교사들의 프로파일은 CBAM에서 나타난 교육과정혁신을 실행하지 않는 사람들의 프로파일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면담을 실시한 교사 26명의 원점수 평균을 백분위로 그려본 프로파일은 정보적 관심과 결과적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면담을 실시한 26명의 교사들은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이므로,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경험한 정보나 학습 자료의 빈곤이 정보적 관심에 대한 정도를 강화시키고, 교육과정 실행 중에 보이는 학생들의 반응이나 태도들이 결과적 관심에 대한 정도를 높아지게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관심도는 실행해 가면서 점차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관계는 0, 1, 2단계에서 높은 상대적 강도를 나타날 때, 실행 수준 역시 낮은 단계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4, 5, 6 단계에서 낮은 상대적 강도를 나타낼 때, 실행수준Ⅴ와 Ⅵ단계에서도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관심도가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는 집단은 실행수준 역시 낮은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교사들의 관심도와 재량활동교육과정 실행수준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교사들의 실행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관심단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셋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상이한 관심단계를 나타낸 각 집단이 '재량활동의 실행관련변인들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재량활동의 실행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해 인식차이가 있는가?'를 집단 간의 차이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성별과 시범학교운영 여부에 따라서 재량활동에 대한 기본취지와 목표에 대한 인식이나 필요성, 적합성에 대한 인식 등의 교사변인과 교장의 이해 및 지원 등의 행정적 지원변인이 a=.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사회 환경 변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들에 대한 인식은 교사 개인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성별에 있어서 남자교사들이 교장 이해, 교장 지원, 기관 지원, 사회 환경 변인에서 여자교사들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시범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도 재량활동의 기본취지나 목표에 대한 인식, 교장의 이해 및 지원 등의 변인들을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은 a=.05 에서 재량활동에 대한 목표에 대한 인식 등의 관심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고 다음으로 교장과 교사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의 교장지원이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무관심단계이고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수준은 기계적인 실행인 Ⅲ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이 아직은 초기 실행단계이며,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에 익숙하지 못한 학교 현장의 현주소라고 할 수 있다. 중·고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재량 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교육과정의 기본 개념과 취지 등에 대한 충실한 교직원연수, 경력별로 차별화 된 개별 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의 교사들의 참여 확대 및 학교장의 배려와 관심,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위한 풍부한 자료개발 및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보다 주체적인 입장에서 재량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갖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This study explore middle, high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It also and analyzes relativity of the degrees of use to their stages of concern. This is also to observe difference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which teachers apprehended according to their stages of concern. As well as the sequential ord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ppear. Through this research and observation I will try to diagnose current state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at actually is practiced in today's middle, high schools. Also to grope for a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 and a method to gather the concern of the teachers so as to encourage them to use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positively. The definit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stages of teachers' concerns about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1-1 How the stages in which the middle, highschool teachers' concerns appear?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ir concern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or educational courses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background. 2. Analysis of the levels of use of the teachers 2-1 How these levels of use appear?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us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teachers! concern? 3. Analysis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and educational course's influencing factors of use. 3-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teachers' levels of concern? 3-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changing factors of background? 3-3 How does sequential ord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ppear according to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 analyze middle,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 survey of 249 incumbent teachers id Kyunggi Province were used. It was classified by their sex, subject in charge (subject discretion/ creative discretion/ non-charging position), working region, existence of model school, working records. To explore teachers'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 to survey stages of concern' which has been developed by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of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as modified to fit the condition of Korean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nd Lee, Mi sook's questionnaire for a survey in her "study of levels of practice and changing factors of unified educational course" (1998)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assess changing factors of use which teachers apprehend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requency, the mean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verification of x^(2), one-way ANOVA, Simple linear regression, etc were performed. And to process data statistics, SPSS program was us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n a survey of personal levels of concern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32.1% of the answers were showing indifference. And next to that, 19.7% of the answers responded to administrative concern, the 3rd stage. This is typical first stage of educational course reform. At this stage, the teachers want to gather more information and try to judge curriculum. From this result, I could draw out teachers feelings, they are unaccustomed to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nd want to have more information and referential resources. On an observation of personal background changing factors, only the existence of model school had turned out to be a meaningful factor, marked 05. There were clear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f the schools with model I school and those without. The ratio of indifference marked 17.9% on teachers with model school but, those without model school marked 33.9%. Teachers who works within model schools show more response to 3rd stage(administrative concern) and 4th stage (consequential concern) than those without. From ,This, I could draw out that teachers within model schools tend to have more concern and understanding of basic purport and general concept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through the experiences of model school operation. Second, through the interview with 26 interviewees to find out middle,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bout the discretion& activity curriculum, most of interviewee shows Ⅲ stage of the using level. The Ⅲ stage of using level is a mechanical practicing level. Here, teachers practice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s routine and short-term work. Next to that ⅣA stage(usualization stage), ⅣB(elaborate stage), Ⅵ (reformational stage) were followed sequentially. However, none of the interviewees turned out to be at unified using level, the level Ⅴ. However, a profile to examine the disposition of the 26 interviewees shows a high rate of concern to informative and consequential concerns. This is because, they experienced indigence of information and educational resources through the actual use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From that, they grew anxious for more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from the reactions of students it shows throughout the actual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eir consequential concern grew greater. The relativity between stage of concern and level of use shows when the level concern marks 0, 1, 2 stage, also, the level of use marks the low stage. Relatively, when the level of concern marks at a higher stage, the level 4, 5, 6, the level of use also marks higher stage, the Ⅴ and Ⅵ. Thus, when the level of concern marks higher, we can infer that various and creative practices are performed in that school. Close relativity between level of concern and level of use tells that more prudent attention is needed for the level of concern. Third, through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chang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stages of concern of each group that shows various stages of concern. The differences occurred from teachers' interest and apprehension of basic purport and concept, understanding of needs and opportuness, satisfaction of job and behaviour as a teacher, changing factors of teachers. And finally, psychological changing factors from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Fourth, to examine 'differences of apprehension of the using influencing factors by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tells that male teachers show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al ' s interest, support from principal, organizational support, social changing factors. The teachers ' apprehension about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existence of model school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purport and basic concept, need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principal's understanding and support. Teachers ' apprehension of influencing facto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show differences by each teacher according to their career(exclude their social characteristic circumstances). Teachers with a longer career have more positive understanding. Fifth, influencing facto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which apprehended by teachers tells that understanding of purport and basic concept is the most effective influencing factor. Next to that, reciprocal cooperation between teacher and principal, such as principal's support, turned out to be the second most effective influencing factor. Unfortunately, the interest of teache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still remains in a low state. However, teachers with more interest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perform more meaningful levels of use. To gain more concern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from teachers at an actual job field, teachers' training courses to educate purport and basic concept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s, distinctive re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different careers of teachers, expanding of teachers' participation at the stag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principal's consideration and support, and research for various resources and curriculum for effective education are imminently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