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5 Download: 0

旣婚女性의 再就業 現況에 관한 硏究

Title
旣婚女性의 再就業 現況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arried woman
Authors
權英子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기혼여성재취업재취직공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과정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성노동력은 저학력·저연령·저임금이라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불균형하게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여성의 혼인상태가 취업에 큰 변수로 작용하는데서 오는 결과다. 혼인상태가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여성의 일차적 책임을 가정적 역할에 두는 고정관념 때문이며 이러한 고정관념은 결혼 퇴직제와 같은 고용관행과 함께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에의 진출을 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정관념은 여성의 노동을 주변화시킴으로써 기혼여성의 도시공식부문에의 참여를 제한시키는 결과를 유발한다. 최근에 와서 결혼 퇴직제는 많이 완화되었지만 임신 및 출산과 육아를 여성의 일차적 책임으로 보는 가치관에는 변화가 없으며 이러한 가치관에서 오는 여성의 가사적 역할의 부담은 아직도 여성의 취업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결혼퇴직제의 명실상부한 폐지와 아울러 공공육아시설의 획기적인 보급 및 기혼여성의 재취업제도의 확충과 같은 국가정책적인 차원의 특별한 지원 없이는 기존의 기혼여성의 취업구조는 쉽사리 변화하지 않으리라고 보여진다. 본 논문은 '81년 이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실시된 유경력 기혼여성 공채에 응한 3개 대기업의 재취업·전문직 기혼여성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기혼여성의 재취업 현황에 미친 제반 요인들을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조사와 개별면접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질문지 조사는 39명의 재취업여성이 자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개별면접은 관리자측과, 재취업여성들의 모임에 주축이 되었던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기혼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기업측 요인으로서, 기업확장에 따른 특정분야에 고급인력의 수요가 발생했고 이때 취업경력이 있는 기혼여성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는 기업주 개인 차원의 확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동시에 상대적인 저임금·출산비용의 절감·재교육비용의 절감 등 경제적 측면과 대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홍보에의 효과등이 기혼여성의 재취업 공채를 결정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는 공급측 요인으로서 소자녀가족화 경향에 따라 여성의 가사노동부담의 경감이 이루어졌고 또한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면서 과거에 결혼 퇴직제 등 전통적 가치관에 의하여 퇴직해 있던 기혼여성들의 재취업 욕구의 팽배가 있었다. 여기에는 가사보조자의 존재라든가, 주변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지가 일정한 기여를 하였음도 간과할 수 없는 큰 변수였다. 그러나 일단 재취업한 기혼여성들은 직장 내에 스며있는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처우에 대한 불만, 남편의 해외출장 등에 동행하는 것 등에서 보이는 의존적 가치관이 부적응 사례를 유발하여 이로 인한 이직이 많았다. 현재 남아 있는 기혼 여성의 수는 공채 당시의 50%를 밑돌고 있다. 이러한 이직률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성의 재취업에 대한 기업측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내에 미친 영향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사회에 미친 영향으로서는 결혼 퇴직제의 유명무실화 등과같은 기여가 있었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재취업은 제한된 소수인력으로서 전체여성의 취업구조에서는 독특한 위치에 있지만 여성취업에 대한 기존의 선입관을 깨는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최근 대기업이 대졸 여성들을 대규모로 공채하는데 이들의 평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주춤하고 있는 재취업 여성 공채제도의 정착 및 확대는 앞으로도 계속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직장 내에 존재하는 남성중심적 문화의 극복과 직장탁아소 등 시설적인 지원, 출산에 따른 장기 무급휴가제의 실시, 취업준비를 위한 사회교육활성화 등 노동력 수요측의 변화가 시급하며 여성자신들도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여 사회 및 직업 적응력 배양에 힘써야 할 것이다.;Ⅰ. The Statement of Purpose During the rapid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past two decades, Korean women's participation in labour force has increased gradually. However the maj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are: low education, low age, low payment, and their professional success has been very limited. The widespread marriage-related resignation in particular has prevented married women from continuing their job, and their employment in the urban formal sector has been almost impossible. Even though the incidences of marriage-related resignation have been greatly decreased in recent years, a burden of pregnancy, delivery, and childcaring tends to reduce women's employment, With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hildcare function such as daycare centers and special public support and social policies to abolish the marriage-related resignation and to encourage the re-employment o f married women, the structure of women's labour can not be easily changed. On the basis of these premis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re-employment opportunities of married women 2)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and needs of re-employed married women. 3)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the future labour market of Korean women. Ⅱ. Methodology A sample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re-employed professional married women, who have passed highly competitive employment examinations -Since 1981, in three leading companies in Korea. This study employed two research methods: 1) questionnaire metho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39 re-employed married women; 2) in-depth interviews of managerial staffs and some re-employed women in those companies.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by SAS program. Ⅲ. Finding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factors related to the re-employment opportunities of married women in two major aspects. First, the company owner firmly believed that employing highly educated married women with job experiences should be profitable because of relatively lower payment than man with the same education and job career and also because it improves the image of the company with the "non-discrimination policy". Second, as the average Korean family size, became smaller, married women's burden of housework has been considerably lessened. At the same time, their disire to pursue their own career which was unvoluntarily deprived by their marriage is increased. Of course sharing the housework by housekeepers and enthusiastic support of the family members made it easier to realize it. However, they have to face the persistence of discriminatory atmosphere at workplace and low payment. They also fulfill their family obligation, and the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 even made some women quit their jobs. More than 502 of the respondents had once quit their jobs for that reason. But, on the whole, their performances are positively evaluated by both their managerial staffs and family members. The cases of this target group, though limited in numbers, will provide good examples which could change prejudice against women's employment. Their successful performances could provide great encouragement for expanding the open recruitment of highly educated women in recent years. However, the reported job condition of married women is far from being satisfactory. Much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relevant working conditions so that women could be true working partners with men. Ⅳ. Recommendations In order to ensure equal job opportunities for women,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arried women in public sectors, and sexual prejudice against women should be overcome. Women should be eligible to the open employment-exams on equal footing with men. In addition, arrangement of daycare centers in the workplace is required and unpaid child care leav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of all, women should demonstrate their strong commitment to their own jobs.;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과정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성노동력은 저학력·저연령·저임금이라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불균형하게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여성의 혼인상태가 취업에 큰 변수로 작용하는데서 오는 결과다. 혼인상태가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여성의 일차적 책임을 가정적 역할에 두는 고정관념 때문이며 이러한 고정관념은 결혼 퇴직제와 같은 고용관행과 함께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에의 진출을 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정관념은 여성의 노동을 주변화시킴으로써 기혼여성의 도시공식부문에의 참여를 제한시키는 결과를 유발한다. 최근에 와서 결혼 퇴직제는 많이 완화되었지만 임신 및 출산과 육아를 여성의 일차적 책임으로 보는 가치관에는 변화가 없으며 이러한 가치관에서 오는 여성의 가사적 역할의 부담은 아직도 여성의 취업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결혼퇴직제의 명실상부한 폐지와 아울러 공공육아시설의 획기적인 보급 및 기혼여성의 재취업제도의 확충과 같은 국가정책적인 차원의 특별한 지원 없이는 기존의 기혼여성의 취업구조는 쉽사리 변화하지 않으리라고 보여진다. 본 논문은 '81년 이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실시된 유경력 기혼여성 공채에 응한 3개 대기업의 재취업·전문직 기혼여성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기혼여성의 재취업 현황에 미친 제반 요인들을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조사와 개별면접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질문지 조사는 39명의 재취업여성이 자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개별면접은 관리자측과, 재취업여성들의 모임에 주축이 되었던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기혼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기업측 요인으로서, 기업확장에 따른 특정분야에 고급인력의 수요가 발생했고 이때 취업경력이 있는 기혼여성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는 기업주 개인 차원의 확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동시에 상대적인 저임금·출산비용의 절감·재교육비용의 절감 등 경제적 측면과 대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홍보에의 효과등이 기혼여성의 재취업 공채를 결정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는 공급측 요인으로서 소자녀가족화 경향에 따라 여성의 가사노동부담의 경감이 이루어졌고 또한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면서 과거에 결혼 퇴직제 등 전통적 가치관에 의하여 퇴직해 있던 기혼여성들의 재취업 욕구의 팽배가 있었다. 여기에는 가사보조자의 존재라든가, 주변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지가 일정한 기여를 하였음도 간과할 수 없는 큰 변수였다. 그러나 일단 재취업한 기혼여성들은 직장 내에 스며있는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처우에 대한 불만, 남편의 해외출장 등에 동행하는 것 등에서 보이는 의존적 가치관이 부적응 사례를 유발하여 이로 인한 이직이 많았다. 현재 남아 있는 기혼 여성의 수는 공채 당시의 50%를 밑돌고 있다. 이러한 이직률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성의 재취업에 대한 기업측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내에 미친 영향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사회에 미친 영향으로서는 결혼 퇴직제의 유명무실화 등과같은 기여가 있었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재취업은 제한된 소수인력으로서 전체여성의 취업구조에서는 독특한 위치에 있지만 여성취업에 대한 기존의 선입관을 깨는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최근 대기업이 대졸 여성들을 대규모로 공채하는데 이들의 평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주춤하고 있는 재취업 여성 공채제도의 정착 및 확대는 앞으로도 계속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직장 내에 존재하는 남성중심적 문화의 극복과 직장탁아소 등 시설적인 지원, 출산에 따른 장기 무급휴가제의 실시, 취업준비를 위한 사회교육활성화 등 노동력 수요측의 변화가 시급하며 여성자신들도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여 사회 및 직업 적응력 배양에 힘써야 할 것이다.;Ⅰ. The Statement of Purpose During the rapid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past two decades, Korean women's participation in labour force has increased gradually. However the maj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are: low education, low age, low payment, and their professional success has been very limited. The widespread marriage-related resignation in particular has prevented married women from continuing their job, and their employment in the urban formal sector has been almost impossible. Even though the incidences of marriage-related resignation have been greatly decreased in recent years, a burden of pregnancy, delivery, and childcaring tends to reduce women's employment, With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hildcare function such as daycare centers and special public support and social policies to abolish the marriage-related resignation and to encourage the re-employment o f married women, the structure of women's labour can not be easily changed. On the basis of these premis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re-employment opportunities of married women 2)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and needs of re-employed married women. 3)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the future labour market of Korean women. Ⅱ. Methodology A sample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re-employed professional married women, who have passed highly competitive employment examinations -Since 1981, in three leading companies in Korea. This study employed two research methods: 1) questionnaire metho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39 re-employed married women; 2) in-depth interviews of managerial staffs and some re-employed women in those companies.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by SAS program. Ⅲ. Finding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factors related to the re-employment opportunities of married women in two major aspects. First, the company owner firmly believed that employing highly educated married women with job experiences should be profitable because of relatively lower payment than man with the same education and job career and also because it improves the image of the company with the "non-discrimination policy". Second, as the average Korean family size, became smaller, married women's burden of housework has been considerably lessened. At the same time, their disire to pursue their own career which was unvoluntarily deprived by their marriage is increased. Of course sharing the housework by housekeepers and enthusiastic support of the family members made it easier to realize it. However, they have to face the persistence of discriminatory atmosphere at workplace and low payment. They also fulfill their family obligation, and the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 even made some women quit their jobs. More than 502 of the respondents had once quit their jobs for that reason. But, on the whole, their performances are positively evaluated by both their managerial staffs and family members. The cases of this target group, though limited in numbers, will provide good examples which could change prejudice against women's employment. Their successful performances could provide great encouragement for expanding the open recruitment of highly educated women in recent years. However, the reported job condition of married women is far from being satisfactory. Much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relevant working conditions so that women could be true working partners with men. Ⅳ. Recommendations In order to ensure equal job opportunities for women,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arried women in public sectors, and sexual prejudice against women should be overcome. Women should be eligible to the open employment-exams on equal footing with men. In addition, arrangement of daycare centers in the workplace is required and unpaid child care leav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of all, women should demonstrate their strong commitment to their own job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