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미혼 성인 남녀 직장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직무 만족 및 직무 몰입 특성

Title
미혼 성인 남녀 직장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직무 만족 및 직무 몰입 특성
Other Titles
Adult Attachment Styles and Job Satisfaction/Involvement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ssoci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 and job satisfaction/involvement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early adultho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51 men(171) and women(180),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small to large scale companies, not married, and have bachelor degree. These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in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data from thes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Statistical analyses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es, crosstabulation analyses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cure attachment style i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ttachment style by subjects, while fearful attachment style is the least frequently reported attachment style among 4 attachment styles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Second, there are more female subjects, than male subjects, among those who selected their own attachment style to be secure,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But there are more male subjects than female subjects among those who reported to be dismissing attachment style than female participants. The amount of income is the only significant job-related feature which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in that those in secure attachment style group reported the highest amount of income. As to dating-related features, those in fearful attachment style group are more likely to report to be currently dating with someone and to have been dating longer than those in other attachment style group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job satisfaction/involvement except for fearful attachment style group having too low number of participants show that secure attachment style group scores high in job satisfaction factors in general but not in every factors.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other features when analyzing separately male and female show that female participants have more various date-related styles than male participants from attachment styles. Fifth, the results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job satisfaction/involvement except for fearful attachment style group having too low number of participants when analyzing separately male and female show that 3 factors- business and duty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male participants and the former 2 factors- business and duty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female participants. Every significantly different factor to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except for business and duty satisfaction to male participants satisfies secure attachment style group more than other attachment style groups.;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직장인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사랑과 일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미혼인 성인기 남성과 여성 직장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애착유형에 따라 직업과 관련된 특성, 데이트 행동과 관련된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직장에서의 직무 만족과 몰입 정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재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중인 직장에 다니고 있는 대졸학력 이상의 미혼 남녀 중 남자 171명, 여자 180명, 총351명이 연구 대상으로서 응답한 내용이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 일원배치분산분석)등을 적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카이제곱검증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결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남녀직장인들의 애착유형의 분포에 있어서 안정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많고, 거부형 애착과 의존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은 비슷한 수를 보였고, 두려움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적었는데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선택한 애착유형별로 각 애착유형의 특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안정형 애착과 두려움형 애착 간에 특성에 있어서 가장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유형에 따른 성별의 비율을 보면, 거부형에서만 남자의 수가 더 많았고, 안정형, 의존형, 두려움형에서는 여자의 응답자의 수가 더 많게 조사되었으며, 애착유형별로 직업과 관련된 특성 중에서 유일하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급여였는데 안정형 애착유형의 사람들이 급여가 가장 높았다. 데이트 관련 특성에 있어서는 두려움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이 다른 애착 유형에 있는 사람들보다 데이트 상대가 있는 비율도 높고 데이트 상대와의 데이트 지속 기간 또한 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애착유형과 직무만족, 애착유형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분석시 그 수가 너무 적은 두려움형 애착은 제외했는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애착에 있는 사람들이 직무만족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의존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직무만족요인별로 보았을 때 모든 요인에서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넷째, 연구대상자를 남자와 여자로 분리해서 분석하였을 때 애착유형별 다른 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데이트 관련 특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특성이 더 많으므로 남성보다 여성이 데이트 행동에 있어서 애착유형별로 더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애착유형과 직무만족, 애착유형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 대해 남녀를 분리하여 각각 분석하였을 때 분석 시 그 수가 너무 적은 두려움형 애착은 제외했는데 남성의 경우 업무만족도, 직업 환경 및 관계 만족도, 직무몰입에 있어서 애착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성의 경우 업무만족도와 직업 환경 및 관계 만족도에 있어서만 차이를 보였다. 남성의 업무만족도에 있어서 거부형 애착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만족도가 가장 높다고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남녀 각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안정형 애착에 있는 사람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