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초등교원의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수준별 목표와 내용의 선정 및 타당성에 관한 조사

Title
초등교원의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수준별 목표와 내용의 선정 및 타당성에 관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n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ict in-service trainng
Authors
문행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Keywords
초등교원연수프로그램타당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요구와 필요가 반영된 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장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ICT 활용 연수의 수준별 목표와 내용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초등 교사를 위한 ICT 활용 연수의 수준별 목표와 내용 도출을 위해 ICT 교육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받아 교육인적자원부를 비롯한 유관기관의 ICT 활용 연수의 관련 연구 및 정책을 분석하였으며, ICT 관련 이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수준별 연수목표와 연수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수준별 연수목표와 연수내용을 전문가의 2차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현장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의견 조사 결과를 토대로 ICT 활용 연수프로그램의 수준별 목표와 내용을 확정하였다. 이는 추후 해당 연수원에서 초등 교원 대상의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ICT 활용 연수를 통해 교원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1.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수준별 목표에 대한 현장 초등 교사의 의견을 조사한다. 가. 초등교사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연수의 목표수준을 선정한다. 나. 각 연수 과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하위 목표를 선정한다. 다. 선정된 목표수준 및 하위목표에 대한 현장 초등교사의 의견을 조사한다. 2.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수준별 내용에 대한 현장 초등 교사의 의견을 조사한다. 가. 초등교사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연수의 내용수준을 선정한다. 나. 각 연수 과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하위 내용을 선정한다. 다. 선정된 내용수준 및 하위내용에 대한 현장 초등교사의 의견을 조사한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위해서 우선 연수영역을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ICT와 교육이 관계되는 제 분야을 다루는 ICT 교육학과 ICT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ICT의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ICT 활용 연수가 현장 초등 교사의 직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원의 직무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수영역은 크게 ICT 소양영역, ICT 활용영역, ICT를 이용한 교육경영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ICT 활용의 전 과정을 통해서 강조되고 학습되어야 하는 ICT 이론과 정보의식은 공통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초등교사 대상의 ICT 활용 연수과정을 체계화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교원 정보화 연수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수 과정을 명명하는 데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지만 수준별 연수과정을 제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연수의 방향은 ICT 소양 함양보다는 교수· 학습 활동과 연계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 교사를 위한 ICT 활용 연수과정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연수과정을 토대로 수준별로 기초과정, 심화과정, 단기 보수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초등교사 대상의 ICT 활용 연수의 목표수준 도출을 위해서 교육인적 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Intel사의 교원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인 'Intel Teach to the Future'를 한국화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ICT 활용 교수·학습설계 과정'의 연수목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과정에서는 ICT 소양을 길러 교육용 S/W 및 인터넷 등 교육정보를 교수·학습에 활용하여 ICT 활용 수업을 할 수 있는 기반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심화과정에서는 ICT 활용을 통한 학교정보화 선도요원양성에 목표수준을 두어 ICT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습득하고 ICT 활용 수업설계능력과 수업실천능력이 향상되어 동료교사들에게 ICT 활용 연수를 담당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단기 보수과정에서는 교과에서의 ICT 활용에 중점을 두고, ICT 소양이 풍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재교육차원에서 실시한 과정으로 짧은 시간에 ICT 활용 수업설계능력 습득에 중점을 두도록 하였다. 또한 기초, 심화, 단기 보수과정에 초·중등 정보통신기술 활용지침(2000)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정보 윤리 의식을 기른다는 공통 목표를 반영하여 올바른 정보 선택과 활용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 및 정보사회의 이해나 윤리의 중요성은 ICT 활용 전 과정을 통해서 강조되고 학습되어야 하며(Strudler, McKinney & Jones, 1995) 교육적 활용을 위한 ICT 구조모형에서는 정보의식(information consciousnes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강조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ICT 활용 연수의 목표수준과 관련연구를 토대로 각 과정의 연수 목표를 선정하였다. (1) 기초과정의 목표 ① 컴퓨터에 관한 기초 소양을 습득하고 ICT 활용 교육의 기본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② ICT 소양을 익히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만들 수 있다. ③ ICT 활용 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④ 정보화 사회의 개념을 알고 정보 윤리 의식을 기른다. Smeets & Mooij(2001)와 이태욱, 유인환, 이철현(2001)은 미래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사회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ICT가 일상도구로써 많은 역할을 하게 될것이라고 보고 ICT 활용 능력이 미숙한 교사들에게 ICT 활용을 친숙하면 숙달 되게 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기초과정에서는 ICT 활용 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연수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2) 심화과정의 목표 ① ICT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 종합, 체계화할 수 있다. ② 각 교과에 ICT를 활용한 수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계획하여 설계할 수 있다. ③ 동료교사에게 ICT 활용 연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④ 정보화 사회의 개념을 알고 정보 윤리 의식을 기른다. 이태욱, 유인환, 이철현(2001)은 미국의 "Technology Coordinator"는 각 학교에서 연구수업을 발표하고 각종 연구·시범학교 발표에 적극 활용된 점을 부각시켰다. Bielefeldt(2001)는 각 학교의 정보화 선도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ICT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심화과정의 목표는 ICT 활용을 통한 학교 정보화 선도요원을 양성할 수 있는 목표수준을 토대로 각 교과에서의 ICT를 활용한 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3) 단기 보수과정의 목표 ① 교과에 ICT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습득할 수 있다. ② 정보화 사회의 개념을 알고 정보 윤리 의식을 기른다. 단기 보수과정은 선행연구에서도 강조하는 교과에서의 ICT 활용에 중점을 두도록 하여 목표수준을 ICT 활용 수업설계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교과에 ICT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습득할 수 있다는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졌다. 심화과정이 ICT 활용을 통한 정보화 선도요원양성을 위한 과정이라면 단기 보수과정은 각 교과에서의 ICT 활용을 중점으로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ICT 활용 연수의 내용수준 도출을 위해서 ICT활용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교원의 ICT활용능력기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개발한 ICT활용교육 교원 연수, 각 시·도 교육청에서 시행하는 교원정보 활용능력 평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마지막으로 Intel사의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인 'Intel Teach to the Future'를 한국화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ICT활용 교수-학습 설계과정'의 연수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교사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수준을 도출하였고, 각 과정별로 수준의 차를 두어 연수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수준별 연수목표와 연수내용에 대하여 초등학교의 교육정보부장과 정보화 업무 담당교사 30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응답을 가지고 각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 부적절한 내용(3점 미만)이라고 응답한 문항의 빈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차에서 2차 설문으로 갈수록 항목에 대한 표준편차 값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 점수들의 흩어진 정도가 점차 모아졌다는 것, 즉 합의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2차 의견 조사를 통해 평균값이 3.00점 이상이고 부적절한 내용이라고 조사된 경우가 없는 것에 한하여 초등 교사를 위한 ICT 활용 연수과정의 목표와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추후 해당 연수원에서 초등 교원 대상의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ICT 활용 연수를 통해 교원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의견조사 결과 초등 교사들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연수과정은 기존에 시행되어 온 연수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첫째, 지정된 교육과정보다는 수준별로 원하는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초등 교사가 각자의 수준에 따라 연수과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아 실제 교수·학습에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연수기회를 확대하는 효과도 뒤따른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수생들이 학생의 입장으로 시범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진행과 관련된 유용한 아이디어를 얻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작하여 실제 수업에 임하는 활동과 체험중심의 연수과정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ICT 소양보다는 ICT 활용 수업설계면에 중점을 두어서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초등 교사의 의견 조사결과 바람직한 ICT 활용 연수는 수준별로 구성되어야 하며 시범수업을 통한 체험중심의 연수과정을 선호하고, ICT 활용 수업설계에 중점을 두는 연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수준별 연수과정에 대한 연수시간과 연수의 실시, 연수의 평가가 후속 연구로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알려진 ICT 활용 연수과정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재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는 교육과정 전문가와 ICT 내용 전문가들로 팀을 조직하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초등교사의 ICT 활용 연수를 실시하는 양성기관, 연수기관의 시설· 설비의 현황을 조사하여 연수의 질적 심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운영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curriculum on the ICT in-service training which en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s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ir class.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cept and trends in the field. so, ICT Education course by the teacher's ability is suggested.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1) basic course - objectives ① make teachers understand the literacy of computer and direction of ICT education. ② make teachers understand the literacy of ICT and make various information. ③ make teachers have no anxiety and confidence. ④ make teachers understand information society and a moral of information 2) detail course - objectives ① make teachers can use ICT in analys, synthesis, organization on data. ② make teachers design instruction systematically. ③ make teachers teach to a co-worker about ICT education. ④ make teachers understand information society and a moral of information. 3) short term, basic course - objectives ① make teachers have a concrete strategy about use of ICT. ② make teachers understand information society and a moral of information. I'd like to propose as followings for the succeeding research. First, we need the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time, execution, and evaluation. Second, we need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successfu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