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6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및 신고의무자 인식에 관한 연구
- Title
-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및 신고의무자 인식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and Obligatory Reporter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Authors
- 조민선
- Issue Date
- 2003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Keywords
- 초등학교; 교사;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2000년 7월 개정된 아동복지법에 의하면 초중등 교원은 직무상 아동 학대를 알게된 때에 즉시 아동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해야 하는 신고의무자로 명시되어 있다. 아동이 가정을 떠나 공식적인 집단에 노출되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 학교임을 감안해볼 때, 초등학교 교사가 아동학대를 조기발견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 및 신고의무자 인식에 관해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 조사는 서울시 7개 초등학교와 인천광역시 8개 초등학교 교사 5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417명의 응답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통해 빈도 및 백분율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행위, 즉 신체적학대, 성적학대에 대해서는 인식이 높은 반면 신체적학대 및 성적학대에 비해 방임, 훈육적 행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아동학대 행위 인식이 높았으며, 특히 기혼인 교사이면서 자녀가 있는 경우 모든 학대 유형에 있어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 교사, 교직경력 15년-20년 미만의 교사들의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아동학대 인식이 낮은 남교사 집단, 미혼 또는 기혼이더라도 자녀가 없는 경우, 교직경력은 5년 미만의 20대 교사집단을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인식고취를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체계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아동복지법에 기재되어 있는 아동학대 정의 및 신고의무자 규정, 신고전화 1391, 신고기관 인식에 있어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80% 이상이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동학대 발견시 신고가 필요하다고 응답하고,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신고의무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신고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이유로 양육은 부모의 권한이므로 타인 또는 국가가 간섭할 수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아직까지도 아동학대를 사회적으로 개입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의 올바른 아동학대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13.2%만이 아동학대를 발견한 경험이 있으며 이중 9.1%만이 신고를 하였다. 발견경로로는 '외상으로 나타나거나 아동의 행동이상을 통해서', 신고기관으로는 경찰서가 가장 많았다. 신고하지 않은 이유로는 '신고해도 도움이 되지 않을거 같아서'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아동학대 발견시 교사 스스로의 기준을 통해 판단하고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초등학교 교사 79.7%가 아동학대 신고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응답하여 아동학대 신고 자체가 초등학교 교사에게는 심리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아동학대 발견시 가해자에 구분 없이 반드시 신고해야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가해자 구분에 따른 신고여부를 조사한 결과, 학급의 학부모가 아동학대를 할 경우 83.7%이상이 신고를 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친구, 친인척, 직장동료, 아내 또는 남편일 경우 신고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다. 이는 신고의무자임에도 불구하고 본인과 가까운 사이일수록 신고율이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가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3.6%에 지나지 않았고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로는 교육의 기회가 없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신고의무 교육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초등교사가 학교내에서 피학대 아동을 발견했을 경우 보고하거나 상의할 대상으로 교감선생님, 양호교사가 우선적으로 선정되었으며 66% 이상은 아동학대가 발견되더라도 전혀 보고하거나 상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의 71% 이상이 학교내에 상담을 요청할 상담교사 또는 학교사회사업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기존처럼 교사가 혼자 아동학대 문제에 대해 판단하여 처리하는데서 오는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학교내에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과 신고 절차를 담당해 줄 학교사회사업가의 배치 및 아동학대 신고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초등학교 교사는 아동학대 행위와 심각성에 대해서는 높은 인식을 가진 반면, 아동학대가 의심되거나 학대받은 아동을 발견하였을 때 교사 스스로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처리하거나 소극적인 대처를 하였고 적극적으로 신고기관에 신고 또는 의뢰하는 조치는 매우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가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는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며, 아동학대 신고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학교내에서의 신고체계 마련도 필요하다 하겠다.;According to the Child Welfare Law which was revised in 2000, the teaching staff of elementary school are to have an obligation as the reporters of child abuse. They should report immediately to the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or department of criminal investigation when they investigate child abuse case which occurs in or out of school such as students' fami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have high posibilities of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because school would be a public place where children mostly stay during dayti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activating of child abuse reporting by surveying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and obligatory reporter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the research analyzed the replies of 417 of 570 teachers in replies submitted on questionaries from 7 schools in Seoul and 8 schools in Inchon. The data was calculated by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 T-verfication and ANOVA analysis by SPSS software (SPSS Inc).
The summaris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significantly high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s of child abuse. The teachers have highly recognized direct abuse to child such as physical or sexual abuse, but have a relatively little understanding of neglect or purposive discipline. Schoolmistresse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had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abuse than schoolmasters. And married teachers who have their own chi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all types of child abuse. By different age groups of the respondents, the teachers who aged in 40s and have career from 15 to 20 years of teaching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abuse than the others. It is necessary to be educat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abuse of the teachers who are schoolmaster, not married, married but have not their own child, and aged in 20s with teaching experiences under 5 years.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little understanding of reporting system of child abuse. Over 80%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at there are the definition of child abuse and the rules of reporting system, telephone number of 1391 for child abuse report, and the department related with child abuse in the Child Welfare Law. It is shown, however, that over 80% of teachers agreed that it needs to be reported when they recognize child abuse. And also they replied they need to be educated for the obligation of child abuse. It i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ccessity of education as obligato교 reporters of child abuse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way, it is the most popular reason of unneccessity of child abuse report that child care is the rights of parents, so government or others can not intervene in their private businesses. This result reflects that there are many persons who consider child abuse is the case which can not be remedied by the public. Thus there is a necessity of education to improve the understsanding of child abuse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13.2%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xperienced detections of child abuse and 9.1% of experienced teachers have reported it. The most frequent way that teachers can recognize child abuse is through an external wound or abnormal behavior of child and that they reported child abuse to the police. The most reason why they did not report was that it could not be worth to intervene child abuse for the teachers. Through the reply it was undersood that the teachers dicide and control solutions of child abuse by their own opinions. Accoring to their replies, reporting of child abuse could be a psychological burden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nce 79.9%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lied that they had been under presure of obligation of child abuse reports. 83.7% of the teachers will report child abuse if the abuser is the parents of their students, but althoug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report child abuse without considering a person who abused the child, very low rate of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y would not report child abuse in case that the abuser would be their friends, relatives, collegues, or spouse. This result shows that the closer abuser to the teachers, the lower rate of child abuse report. Forth, in the replies, the only 3.6% of the teachers has been educated obligation of ~ child abuse report as reporter. The most reason why they did not be educated was that there were not many opportunity of education to approach it.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of obligation of child abuse report ta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en the teachers found a abused student out in school, they had taken advices dominatly from a vice-schoolmaster and a nurse-teacher. 66% of teachers never report or take a consultation of child abuse although it was investigated. However, 71% of the teachers replied it is necessary that they have counseling teachers or school social workers in school. It indicates that making a child abuse reporting system and developing, a new posi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intervention and report processing of child abuse could be a solution of lightening teachers pressure of self-deciding of child abuse treatment.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reated child abuse by or defense it passively, and have little active conducts to treat child abuse such as reporting to department of investigation, although they have a higher understanding of behavior and seriousness of child abus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of knowledge and control of child abuse need for the teachers to perform as a reporter of child abuse with duty. And also making a child abuse reporting system in school is necessary to increase efficiency of child abuse report.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