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2 Download: 0

당뇨병 환자의 족부 합병증 위험요소와 발관리 지식 및 이행의 상관성 연구

Title
당뇨병 환자의 족부 합병증 위험요소와 발관리 지식 및 이행의 상관성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 among the foot risk factors,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uthors
이정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당뇨병환자족부 합병증위험요소발관리지식이행상관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oot complications are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for people with diabetes. Complications on foot may contribute to the incidence of amputation and subsequent disabilities, high mortality, and may increase the costs of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among the foot risk factors, diabetes patients'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car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in hospital and outpatients with diabete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city within the period of Sep. 23 and Oct. 20 in 2002.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Mi young Moon(1999),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the ques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scales in the study were Chronbach's Alpha 0.75 and 0.85, as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and Chi-square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ge ranged from 24 to 89, with average of 57.4(±11.16). Subjects in 60's were 34.2%, that was the most, and included 57% men and 43% women. 2. In terms of subjects knowledge for foot care, subjects showed great knowledg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foot care (76.2%), temperature of water washing foot (74.1%), and in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f visiting physicians when they have a foot injury(68.0%). The subjects showed low knowledge in measuring foot temperature (21.8%) and pulse on foot (23.3%), and in caring senseless foot (25.4%). 3. In foot care habits, the mean score for wearing new socks everyday (4.58±0.86), choosing cotton socks(4.29±1.06), wearing shoes which was wide and easy to put on and take off(4.19±1.06), wearing socks that had wide ankle(4.09±1.09), not keeping warm with water bag or hot-holding machine(4.02±1.20), and quitting smoking(3.95±1.66) were high, but the mean score for measuring foot pulse(1.49±0.81), observing with hand mirror(l.75±1.12), checking foot temperature(l.79±1.06), questioning foot condition while treated(l.93±1.15), asking help for foot observation (2.05±1.22), and rubbing cream or lotion on foot(2.20±1.38) were low. 4.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sex affected on the knowledge for foot care: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women vs. man)(t=-2.073, p=0.039). Young People compared to the old peopl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r= -233, p=.00l). In addition, attending training course affected the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courses (attend vs. not attend)(t=-4.640, p=.000) 5. For the foot-care behaviors,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better performance (women vs. man) (t=-3.168, p=0.002). In addition, attendance in the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to be treated for foot injury affected the foot care behaviors: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t=-3.650, p=0.000). People who have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t=-2.667, p=0.010). 6. Among the foot risk factors, 38.8%-42.6% were insensible to a monofillament and 45.9%-47.5% had a callus or corn. Among foot risk factors, insensibility to a monofillament and having a corn or callus were increased in by the longer disease contraction period, older age, having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and presence of complication(s). 7.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ion (r=.375, p=.000). In terms of the findings, diabetes patients had better foot care behaviors when they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This finding supports the importance of diabetes education. Particularly to improve the foot care behaviors that needs not only the knowledge but also skills, repetitive training are needed. By providing nursing counseling and education, more patients with diabetes may perform effective foot care; therefore, save their foot from amputation and other complications. Nurses should take time to identify people in a high risk who are in need foot care. In addition, nursing research studies that ensur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Key words: type2 diabetes, foot care knowledge, foot care behaviors;당뇨병은 지속적인 관리와 조절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서, 최근 의과학의 발전으로 질병의 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여러가지 당뇨병성 만성합병증들에 이환되는 율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당뇨병성 족부병변(diabetic foot lesions)은 당뇨병 환자의 하지절단,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예방적인 발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A종합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도구와 문헌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질문지를 작성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관리 지식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0.85이었고, 발관리 이행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0.75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24세에서 89세로, 평균 57.4(±11.16)였으며 60세-69세가 34.2%로 가장 많았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2.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에 대한 지식은 발관리 중요성(76.2%), 발 씻는 물의온도(74.1%), 발 상처시 병원방문(68.0%)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반면에 발의 온도 측정(21.8%), 발의 맥박 측정(23.3%), 무감각한 발의 관리(25.4%)에 대해서는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발관리 지식은 성별(t=-2.073, p=.039)과 발관리 교육유무(t=-4.640, p=.000), 연령(r=-.23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연령이 낮은 대상자들의 발관리 지식이 높았다. 3. 발관리 이행은 양말을 매일 갈아 신기, 면양말 선택하기, 볼이 넓고 신고 벗기 편한 신발 신기, 목이 조이지 않는 양말을 신기, 물주머니나 온열기로 발을 보온하지 않기, 금연이 이행도가 높은 반면에 발의 맥박 측정, 손거울을 이용한 관찰, 발의 온도 확인, 진료시 발상태에 대해 질문, 발관찰 위한 도움을 요청, 발에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기는 이행이 낮았다. 발관리 이행은 성별(t=-3.168, p=.002), 발관리 교육유무(t=-3.650, p=.000), 발상처 경험 유무(t=-2.667,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발상처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발관리를 더 잘 이행하고 있었다. 4. 족부합병증 위험요소는 모노필라멘트 검진에서 감각소실이 있는 경우는 38.8%- 42.6%였고, 티눈이나 굳은살이 있는 경우는 45.9%-47.5%였다. 이들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중 모노필라멘트 요소와 궤양이나 염증요소가 대상자의 특성 중 질병이환기간, 연령, 발 상처 치료경험, 합병증과 유의한 관계가 있어 질병 이환기간이 길고 연령이 높고 발 상처 치료경험이 있고 합병증이 있는 경우 족부 합병증의 위험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r=.375, p=.000), 발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발관리 이행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당뇨병 환자들이 발관리 교육을 받은 경우 발관리 지식은 높으나, 무감각한 발의 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발의 혈액순환 확인, 온도 확인에 대한 지식과 이행이 부족하고, 발관리를 위한 타인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보조용품의 사용이 적고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는 행위의 이행도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위험군 선별 및 관리, 특히 무감각한 발의 관리, 발관찰을 위한 타인의 도움요청 등 실제적인 발관리 수행방법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 지식을 향상시키고, 발관리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발관리 고위험군을 발견하여 추적 관리하는 환자관리 프로그램과 실제적인 발관리 기술과 이행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그 효과검증연구를 제언한다. 주요어 : 당뇨병,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