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초등학교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Teacher's Perception and Role Performance of School Based Currriculum Develpoment at Elementary
Authors
최미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초등학교학교중심교육과정개발교사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연구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해 보고,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 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수행의 정도와 중요도 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현실성 있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전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연구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 계획, 실행, 평가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연구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직위와 교직경력에 따른 수행의 정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 계획, 실행, 평가 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연구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직위와 교직경력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정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수행의 정도 및 중요도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서울과 경기지역 연구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연구학교가 일반학교보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교육과정개발의 유형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는 활동과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과정에서도 연구학교는 학교의 실정과 지역 실정 학생의 요구를 고루 반영하였으며 교육과정개발이 가져온 변화에 대해서 학생의 흥미와 필요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제공이외에 전문성 향상과 연구 분위기의 활성화라고 응답하였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와 어려움에 대해서는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교사들 대부분 과다한 업무와 시간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연구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연구학교의 운영으로 인해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운영이 활성화되었고 개발에 대한 동기화가 유도되어진 결과라고 짐작된다.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수행의 정도는, 계획, 실행, 평가 단계에서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일반학교 교사들이 수행의 정도가 높았으며 일반교사들이 부장교사보다 높았고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현재 초등학교 연구학교가 장기적인 계획과 내실 있고 실질적인 교육연구를 위한 시범운영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교사들의 연구와 노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문제점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연구학교의 운영으로 인한 업무의 부담과 특히, 소관 부서별로 더 큰 책임을 맡고 있는 부장교사의 수행의 정도가 낮은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 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수행하여야 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은, 교육과정개발 계획 단계에서는 교사들이 부장교사보다 중요도 인식의 정도가 높았고, 교직경력 6-20년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실행 단계와 평가단계에서는 일반학교 교사들이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높았고 일반교사들이 부장교사들보다 높았으며,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의욕적인 교육과정관을 가진 교직경력이 낮은 일반학교 교사들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정도가 높은 것은,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밝은 전망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꾸준한 인식의 확산과 개발의 동기화가 유도되어야 하며,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인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고,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구체적 절차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교사들의 꾸준한 실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the expansion plan of the efficient and actual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object the actual state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as compared between the research school and the general school, and the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importance for the teacher's roles to attend on the step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o attend this object the actualized research subject was fix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on the actual condition in the view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etween the research school and the general school at elementary school ?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on the performance level according to the teachers position and teaching profession career between the research school and the general school in the view of teachers roles to perform the gradation of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level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position and teaching profession career in the view of teachers roles to perform the gradation of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drew up the questionnaires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state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importance for the teacher's roles. Thes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to the subject of research school and general school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Kyunggi Province area. The research from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reality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wed it as the research school was accomplished better well than the general school. The research school had higher level of cognitive faculty and necessity for school based curriculum than the general school. The development styles of curriculum were actively accomplished in actual activity to develope the new curriculum as well as both adjustment and supplement of the existing curriculum.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research school reflected through the real state of school and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And they responded to the change of curriculum development as speciality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research environment except supplement of curriculum suited to student's interestings and necessities. About the difficulties and the reasons why school based curriculum were not accomplished, they stated the reason that most of teachers both research school and general school burdened excessive affairs and had no required time enough.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se, we may evaluate that the research school diffused the recogni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by the administration of it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management and the motivation of development more than the general school. second,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the general school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in attendance of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gradation of the teacher's role than the research school teachers while the general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than the chief teachers and the short time teaching profession career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than the long time. These things considered as the present research elementary schools were not managed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substantial and actual in content of educational research in the view of long term planning. They are suggestive of realistic limitations and problems about the accomplishment by some teacher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management of research school imposes heavy burden and the chief teacher in charge of higher duty is of lower level in performance to his position. third, consider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teacher's roles to perform the developme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than the chief teachers on the planning grad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was shown higher level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6 to 20 years. On the executing and evaluating gradation it was shown that the general school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than the research school teachers and the general teachers were of higher level than the chief teachers while it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It is suggestive of the promising future prospect about school based curriculum when the teachers of general school, who had motivated view of curriculum and were short-term teaching profession career, showed of higher level in the view of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the teacher's roles. The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were suggested as follows: The continuous diffusion of recognition and the motivation of development about the school based curriculum should be induced. The supporting system both administration and finance should be planned in order that teachers, who were subjective in developing school based curriculum, may develope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continuously accomplish the practice in order to settle school based curriculum rightly in keeping the defined procedure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clear recognition of teacher's ro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