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방언시(詩) 교육 방법 연구

Title
방언시(詩) 교육 방법 연구
Other Titles
This thesis intend to make the proper model that studies dialect poetries effectively, apart from poetries
Authors
김에스더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시에서 방언시를 분류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적절한 모형을 만드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방언시란, 방언을 의도적으로 활용하여 시에서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 문화의 특색을 살리고 시적 정조를 극대화하며 시인이 의도하고자 하는 정감을 잘 살린 현대시를 뜻한다. 방언시는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학습자의 실제적인 구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화의 지역성과 다원성을 경험하게 하며, 학습자의 지역정체성을 신장시킴은 물론 작품을 보는 심미안을 형성시켜준다. 제7 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두드러져서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교과서와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권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교육과정 내용의 지역화는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에 방언이나 지역 문화에 관한 언급이 없어 교과서에 방언시가 따로 구분되어 수록되어 있지는 않은 형편이다. 따라서 현 교육과정에서 방언시는 일반적인 현대시와 같은 방법으로 교수·학습되고 있으며, 방언시만의 고유한 특징들이 발현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실제 교실의 교수·학습 상황을 살펴보면, 시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나 이론화도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방언시만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논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언시는 방언시만이 갖는 어휘적, 의미적, 문화적 특징이 있으므로 일반적인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르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시를 일률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오히려 수업의 한계를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언시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일반적인 시 교육 방법론과 방언시 교육 방법론 사이의 연계성을 구축한다. 특히 독자 반응 중심의 시 교육 방법론과 대화적 관점에 의한 시 교육 방법론, 문화 교육으로서의 시 교육 방법론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또한 방언시 교육의 범주를 확정하기 위해 시 교육에서의 방언시, 국어학에서의 방언시로 나누어 방언시 교육과 연구 실태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시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검토 과정을 통해 방언시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논한다. 또한 현 교육과정에서의 방언시 교수·학습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인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국어 과목에 수록된 방언시와 문학 교과서, 문법 교과서에서 활용되는 방언시의 교수·학습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개선할 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을 위해 최미숙의 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과 경규진의 독자 반응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을 비교·고찰하고, 여기에 방언시의 특색을 살린 활동들을 창조한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은 방언시를 소리 내어 읽고 의미를 추론하고 분석하며, 그 결과를 동료 학습자와 선생님과 나누고 또 방언시를 써 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듣기·말하기·읽기·쓰기·문학·국어지식의 영역 통합적인 능력을 신장시켜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방언시를 통해 지역 문화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체험하고 지역 정체성을 간접 경험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본 논문은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백석의 <여우난곬족>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이에 맞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고, 본 모형의 의의와 효과에 대해 정리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학습자는 한 차원 더 높은 시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ntend to make the proper model that studies dialect poetries effectively ,apart from modern poetries. Dialect poetries is modern poetry that uses a dialect on purpose to reveal a local culture and express a poet's intention that enhance the poetic mood and deliver the meaning of poet. Dialect poetries have an educational effect on a leaner that improve ability to use spoken language and experience the cultural pluralism and think creatively and have the local identification and aesthetic sense to read the poet. The 7th curriculum aimed at regionalism and emphasized textbooks, specific methods and contents that fitted with features of local area. However, regionalism of curriculum is making slow progress. Besides, the textbooks contained no dialect poetries and mention of local culture. So, dialect poetries are studied in the same way of studying modern poetries and learners doesn't learn specific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Many people are questioning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s of dialect poetrie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study and theorization of modern poetries's teaching methods. But, dialect poetries have not only cultural but also grammatical features. So it is have a difficulty in teaching dialect poetries in the same way of modern poetries. Regardless of diverse features, teaching of poetries uniformly can bring about difficulty in taking lessons. This thesis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 in teaching dialect poetries and builded connection between teaching methods of modern poetries and dialect poetries. Moreover, it classified teaching methods of dialect poetries into two category - dialect poetries in education of poetries and dialect poetrie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o verify category of teaching dialect poetries. And it studied educational meaning of teaching of dialect poetries and proved need for teaching dialect poetries. It studied dialect poetries in Korean Textbook and Literature Textbook and looked for the problems and solve them. And it compared Choi, Mi-Sook's teaching-learning model that studied modern poetries using conversation with Kyung, Kyu-Jin's teaching-learning model that studied in response of readers in order to design new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In addition to, it set out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mphasized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Learners can read dialect poetries loudly and infer the meaning of it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And they shared their thoughts with teacher and friends and composed dialect poetries by themselves.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can improve ability to listen to, speak to, read and write language and gain total korean language skills. Moreover, they can go through particularity of local culture and confirm their identifi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was applied to the Baek-suk's poem and designed new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mphasized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in this thesis. And it discussed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new teaching-learning model. Learners can advance ability to appreciate poetries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