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실(絲) 이미지를 통한 관계성의 표현

Title
실(絲) 이미지를 통한 관계성의 표현
Other Titles
(An) Expression of Relationships through Thread Images
Authors
정혜원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Keywords
실 이미지관계성Thread ImagesRelationship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삶이라는 커다란 테두리를 두르고 자신을 비춰 보면 현대 사회에 포함된 '나'는 때로 공허한 자화상을 바라보게 된다. 주체의 의미는 사라져가고 각 개체들의 연결로 이루어져가는 오늘날, 자아는 소외되고 점차 지워져 간다. 본인은 현대 사회에서 의미를 잃어가는 한 인간의 삶을 바라보면서 그의 본질적 실체를 풀어보고 그 과정의 결과들을 작품으로 시각화 해 봄으로서 그 희미한 대답을 듣는다. 자신의 정체성이 사라져가는 현상은 오늘날의 삶이 수동적인 구조를 극대화 함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본다. 본인은 인간의 삶과 존재가 가지는 본질적인 구조를 '관계'의 개념을 바탕으로 받아들이고 작품을 진행한다. 다시 말해 인간을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시작으로 삶을 엮어 끊임없는 그 관계의 고리를 생산해가는 객체로 판단하고 현대 사회에서 더욱 포화 되어가는 그러한 속성을 드러내고자 함이다. 이처럼 본인은 인간이 소유한 수동성을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그 이미지를 담고 있는 모이라이(Moirai) 신화와 꼭두각시 인형(Puppets)을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인간의 운명을 짠다는 구조의 이 신화에서 이미 짜여진 삶과 타자와의 끊임없는 관계의 움직임이라는 개념을 발견하고 한 인간이 순수한 자신만의 결정체를 찾지 못하는 현실이, 이렇게 신화에서 만들어져 있듯이 거스를 수 없는 힘에 의한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줄 string 에 당겨 움직이는 꼭두각시 인형은 타인을 의식하고 또한 그에게 의존하는 타성에 젖은 현대인의 상징으로 받아들여 보이지 않는 인간의 끈에 대한 문제를 작품 속에 담고자 한다. 이어 작품의 표면적인 현상을 바탕으로 개념을 이야기한다. 먼저 회화작업에서 보여지는 반복되는 사각형의 나열은 본인이 계속 쌓아올리는 직조물의 확대된 구조로 천으로 짜여진 세계를 들여다보는 시도이다. 시간의 관계를 담기 위해 중첩의 효과로 층을 만들어 가고 조각조각의 파편들을 유기적으로 얽혀 있으면서도 하나의 단위로 남게끔 한다. 단위 실들이 모여 하나의 천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나'라는 독립된 존재는 어쩌면 세계라는 전체속에서만 존재 가능한 단위의 개념일지 모른다. 여기서 자기 닮음을 속성으로 하는 프랙탈 도형을 떠올리며 그것은 전체인 세계와 축소된 세계의 예시모형이라 할 수 있다. 회화 안에서 인간의 본질 자체와 삶에 있어서의 관계를 풀어보고 이어 실제 실이라는 물질의 속성을 이용하면서 작업을 진전시킨다. 실은 유동적이고 부드러운 물질로서 관계적인 구조를 만들기 용이한 소재가 되어 직접 실을 감고 큰 직조물을 엮는 작업의 바탕이 된다. 사물이 갖는 양면적인 구조속에서 인간의 정신과 신체가 혼재된 상태를 경험하고 보이는 것과 그 이면의 문제들을 짚어본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은 직조물의 교직구조처럼 하나의 몸체에 있는 이면과도 같다. 이는 정신과 신체, 나와 타자 그리고 세계의 문제를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 ponty, 1908~1961)의 살(chair)의 얽힘관계(chiasme) 속에서 재인식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사고이다. 또한 보이지 않는 면을 보이는 세계에 잠시 옮겨 놓는 작업을 하면서 경험한 애매하고 모호한 입장들을 정리하고 작품 속에서도 풀어본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을 발견한다는 개념이 중요한 화두가 되는 것처럼, 자아의 모습은 잠기고 묻힌 상태, 그 자체이다. 본인은 작업을 시작하면서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가 얼마나 전체 사회만을 바라보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었으며, 비록 단위체인 한 인간일지라도 '의미 있는 축소된 세계'로서 존재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거울이 보여주는 나의 모습 이상의 실체를 찾고자 하는 일련의 작업 과정들은 본인에게 앞으로의 더 많은 관찰과 사고를 필요로 할 것이다.;We who are living in this modem society get to look at our self-portraits of voidness whenever we think of ourselves from the verge of the huge framework called life. The meaning of the subject is increasingly getting lost while the connections made among the objects are more and more complex. In the middle of it, the self gets isolated and gradually disappears. Joining the modem people whose meaning is getting lost in the modem society, I looked at life, tried to understand its true nature and visualiz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in a work, and hoped to get an answer from the work, however faint it was. I believe that we can ascribe our disappearing identity to the modem life, which is structured to maximize passivity. I saw the essential structure in human life and existence as the concept of 'relationships' and applied the approach throughout the process. Put in another way, a man was regarded as an object to start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world and keep on making more links of relationships in leading a life. What I wanted to express in the work was the attributes of the relationships that were about to reach a state of saturation today. Taking the innate passivity of humans as an inevitable phenomenon, I took into the work with puppets, and the Moirai myth The Moirai myth tells us a story of humans weaving the net of their destiny. I could discover the ongoing movements in the already woven life and the endless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the myth makes us realize, a man cannot resist the reality in which he cannot find the pure crystal of his own. A puppet is operated by the strings. It represents a modern man who is strongly controlled by the force of habit to be constantly aware of others and to depend on them. I wanted to express the issue of invisible strings that linked modern men. I tried to create the superficial phenomena in a way that I could talk about concepts. First, I painted a picture that had repetitive arrays of squares which were the enlarged form of the structure of fabric I kept on piling. It'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world made of fabric. I made layers to represent the time relations and to produce the effect of overlay. The pieces nee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and remain as a single and independent unit at the same time. Every single unit thread contributes to a whole piece of fabric. Perhaps "I" that exists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am a unit that can only exist in the context of the whole called the world. The fractal figures whose major attribute is self-resemblance represent modern people who lead a life that's a mere unit in the vast world and exist anonymous in the eternal time and endless space. In the painting, I tried to resolv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ssential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 life, which was followed by the use of thread, representing physical attributes of the relationships. Thread is flowing and soft. It makes a perfect material to make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s. The very basic of my work was to wind thread and weave a huge fabric. In the ambivalent world of a thing, I experienced the state of body and soul combined in a way that caused confusion and thought about the matters that were seen in front and those that were in the back. What we can see and what we don't see are like the blended structure of a fabric and thus are together to make the whole thing. This way of thinking can be approached from the chiasme and the chairs by Maurice Merleau Ponty( 1908-1 96 l), who devised the concept to explain about the body and soul, the self and the other, and the world matters. I came across uncertain and vague thoughts and ideas while transferring what were not to be seen into the world of seeing, and tried to express them in the work. In the modem society, the self is so buried and subsides that the concept of self-discovery can stir such a sensation. Working on the project, I could see how committed we all were to looking at the entire society and wanted to show that a human being existed as ''a meaningful reduced world", no matter how he was regarded as a unit consisting of the society. In the process to create my work, I could find my actual self feeling much closer to myself than the image in the mirror and realized that I was denied my real self by the 'whole.' Thus I thought that I would need much more observations and thinking in the future, leaving something that inevitably felt missing behi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