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中學敎 社會科 受業에서의 Jigsaw 協同學習 效果 硏究

Title
中學敎 社會科 受業에서의 Jigsaw 協同學習 效果 硏究
Authors
김창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 사회Jigsaw협동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사회는 새로운 지식의 생산과 활용이 사회 발전의 기틀을 형성하는 지식 기반 사회이며, 급격한 변화를 겪는 사회이고,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사회이다. 이에 따라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 과정은 구성주의의 영향으로 학습에 있어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한 요소로 지적한다. 이러한 현대 사회 변화의 흐름을 <사회>과에 적용하고, 새로운 시민적 자질의 효과적 함양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수업 방법이 바로 협동학습이다. 사회과 교육의 목표인 민주 시민성은 공동의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적극적이고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며, 실제로 사회에 참여하려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실제로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각각 다른 주제의 내용을 전문가 집단에서 학습한 후, 소집단으로 돌아와 가르치면서 단원전체의 내용을 학습하게 되는 Jigsaw 협동학습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함양될 수 있다. 공동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공동으로 노력하며 다른 구성원들에게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필요한 결과를 전체 구성원이 얻고자 하는 Jigsaw 협동학습은 사회과 목표 달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사회>과를 살펴보면,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Jigsaw 협동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Jigsaw 협동학습을 제시하고, 이러한 수업을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Jigsaw 협동학습이 기존의 전통적 수업보다 사회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협동학습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과 협동 학습과의 관계 및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둘째, 경험적 연구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9학년인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의 목적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사회 교과서 내용 중 'Ⅰ. 민주정치와 시민참여' 단원을 중심으로 Jigsaw 협동학습 모형을 실제로 적용하였다. 셋째, 실험 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서울시 성동구의 H여자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체 10개 학급 중 연구자가 임의로 6개의 학급을 추출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기간은 3월 10일부터 4월 13일까지로 8차시에 걸쳐 Jigsaw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의 수업처치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지 전과 처치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생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Jigsaw 협동학습이 전통적 수업보다 사회과 목표 달성과 사회과 인식 함양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t-test이며, 95%의 신뢰구간에서 유의수준 p=0.0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Jigsaw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105명의 실험 집단의 경우 교육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사회 과목에 대한 인식면(중요도, 흥미도, 참여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승 효과를 보였으며, 성적 하위 집단 보다 성적 상위 집단과 성적 중위집단의 경우 흥미도 부분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103명의 통제집단의 경우, 교육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과 교육 목표인 민주 시민성의 하위 변인으로 제시된 민주적 질서 및 절차에 대한 인식,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민주적 기본 가치 인식, 실제사회 참여 정도에 있어서 실험 집단의 경우 처치 후 효과적으로 향상되었고, 성적 상위, 중위 집단에게 그 교육적 효과가 가장 의미 있게 나타났다. 반면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다. 셋째, Jigsaw 협동학습을 마친 후, 변화된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호응, Jigsaw 협동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것, 앞으로의 수업 방향 등을 질문하는 설문에 있어서는 모든 부분에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사회과 목표 달성에 Jigsaw 협동학습의 운영이 효과적인 측면이 많으므로, 앞으로 현장에서 Jigsaw 협동학습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현장 교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앞으로 사회과 교육에 있어 Jigsaw 협동학습의 효율성 연구와 함께 적용을 위한 자료 개발 및 여건 개선 등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21st century society is a knowledge-oriented one where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from the developmental framework, where there is a rapid change, and where we seek for democracy. Therefore,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ince 2000, we consider it an important element to socially interact in learning. We should now think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in order to apply this social stream into and to cultivate a new qualification of citizenship. The democratic citizenship,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n ability with which we can be active in drawing a common agreement, make a reasonable decision by communication, discussion, compromise and agreement, and participate in society in reality. These abilities can be fostered by a Jigsaw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Learning, members of a small group first learn each content of each subject in an expert group, and then come back to their groups and learn the whole chapter by teaching one another. They make their common learning objective, try to achieve it, and cooperate each other to get the appropriate results. Therefore, this can be effectively us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examining into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study on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In real classroom application is not going very actively. This study presents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s a way to achieve this objective of cultivating the qualifi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and intends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this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lass. For this, the followings were don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 fo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quire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effect of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econd, the Jo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in reality, experimenting the 3rd grade students, 9th grade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using the directly related chapter 'Ⅰ. Democracy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textbook. Third, during this study, 6classes were derived at random among the 3rd grade students of H girl's middle school in Songdong-gu, Seoul where the researcher is working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From March 10 to April 13,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class to controlled one for 8 times. Lastly, to prove the effect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 poll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is experiment to all students. By analyzing the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achieving the Social Studies' objective.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test. The data were verified at the 95% reliance section, by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5 The study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fter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the 105 students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recognition of Social Studies (important,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a noticeable development in interest especially highly and averagely scored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103 students of controlled group showed no big change when traditionally treate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veloped in the lower variables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that is, recognition of democratic order and process, reasonable decision making, recognition of democratic values, and participation in real society. The educational effect was also the greatest in highly and averagely scored students. Traditional classes had no change. Third, after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here were all positive reactions in the poll asking the students' feedback, what was learned in this way, what can be the future direction in clas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are many effective aspects if we apply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achieve the Social Studies' objectives. Therefore, politic support and present teacher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to activate this Learning in field. It seems that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hould be done and that the steady endeavor to develop materials for application and improve every conditions for this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