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창의성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연구

Title
창의성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ture for improving creativity
Authors
김서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창의성설화교육교수-학습모형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력과 설화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의 모형과 전략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각 설화 작품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모형과 전략을 적용하여 실험한 후 설화 교육이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Ⅰ장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에서는 실험 처치의 방법을 제시하고 검사 도구와 제재 선정의 기준을 밝혀 실험할 설화 작품 11편을 확정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 7, 8학년 교과서에 실려있는 작품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고, 그 외 작품들은 교과서 밖에서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교육적인 효과가 있으며,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작품들이다. Ⅱ장에서는 설화와 창의력 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설화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설화 교육의 목적,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창의력의 개념과 창의력 교육의 의의를 살펴 본 후 설화 교육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을 위해 먼저 교수-학습 모형을 확립하고, 교수-학습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축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전략을 이용하여 각 작품들을 대상으로 창의력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을 실시한 후 학습자들이 학습 후 제출한 산출물들 중 일부를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이 학습자들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결과를 검토해 보았다. "TTCT(언어)검사"를 이용한 사전 검사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의 창의성 지수를 보여주었던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만을 대상으로 하여 설화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을 실시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성을 구축하고 있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모두 향상되어 창의력을 계발하기 위해 실시한 설화 교육이 학습자들의 창의성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가 단지 수치상으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 후 학습자들 스스로도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설화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음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으로 그 성격을 규정함으로써 창의성과 자율성의 신장을 이전의 교육과정보다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를 짐작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 우리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제재 선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임할 수 있는 학습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며, 아울러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사고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ethods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for improving creativit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narrative literature. And I applied them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verified the effect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Chapter Ⅰ is abou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n this chapter, I presented the subjec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several other researches conducted previously. Based on the criteria of subject selection, I chose 11 Korean narrative literature works for the experiment, mostly from the textbooks of 7th and 8th grade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st from out of textbooks. All of them are effective in motivating students and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imed to improve students ' scholastic level and creativity. Chapter Ⅱ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d creativity.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first, along with the objective, educational meaning and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Then, I discussed the influence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on creative thinking after taking a look at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the significance of creativity education. Chapter Ⅲ is about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 taught Korean narrative literature lesson us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and strategies and arranged some of the outputs which students handed in after class. Chapter Ⅳ is about the influence of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 creativity. Using the same test paper I carried out a post-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o were very alike in creativity quotient in a preliminary test of TTCT(language test). I surveyed the opin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find the Korean narrative literature clas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creativity. As a result,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Korean narrative literature lesson were proved to have improved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is means teaching Korean narrative literature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just meaningful in figures. Students themselves admitted that the Korean narrative literature class was helpful to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cause them to have interest in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on which Korean education puts special emphasi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oice of materials that could motivate the students and to the teaching strategies that coul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ir learning with more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