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의미치료의 이론에 따른 삶의 목적 수준과 부적응과의 관계

Title
의미치료의 이론에 따른 삶의 목적 수준과 부적응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BASED ON THE LOGOTHERAPY AND THE MALADJUSTMENT
Authors
김찬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교육심리학의미치료삶의 목적부적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치료의 기본개념인 삶의 목적수준이 대학생에게 있어서 그들의 부적응적 반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상담에서 의미치료의 기본이념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받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く연구1>에서는 삶의 목적 수준에 따른 내외통제성의 경향성을 조사하고, 실패라는 경험후에 의미집단과 공허집단이 보이는 불안정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조사 하였다. 삶의 목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PlL Test가 사용되었고 그 점수에 의해 M±1SD를 기준하여 의미집단과 공허집단을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미집단은 내적통제 경향성이, 공허집단은 외적통제 경향성이 있었다. (t(58)=-5.59, p<.001). 2. 실패 경험후에 공허집단은 의미집단에 비하여 더 높은 상태불안을 보였다 (t(28)=-8.39, p<.001).그러나 수열문제를 통해 본 수행능력의 결손 정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く연구2>의 목적은 삶의 목적 수준과 불안간에 어떤과정이 매개되는지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생활 사건에 대한 인지적 판단과정과 대처방법에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인지적 판단과정과 대처방법은 스트레스의 인지 현상학적 모델에 기초한 것으로, 인지적 판단과정은 지금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가, 이것이 위협적인가, 어떤 대처행동을 해야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며 대처방법은 그 문제를 다루어 나가는 노력을 뜻한다. 인지적 판단과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각된 스트레스의 유형과 정도를 조사하였고 대처방법으로는 적극적-소극적 대처 행동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있는 E여대의 신입생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입학한 후 3째주에 실시되었다. 각 변인이 삶의 목적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상태불안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각된 스트레스의 유형이나 정도는 삶의 목적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2. 삶의 목적 수준이 높을수록 적극적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56, p<.()01), 소극적대처에 대해서는 삶의 목적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모든 변인 (삶의 목적 수준,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함께 상태불안의 전체 변량의 56.9%를 설명하였으며 이들 변인중 상태불안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변인은 삶의 목적 수준이었다. 적극적 대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it is meaningful to apply the logotherapy to the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Thus, the ra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urpose in life-founded on Frakl's general idea- and the maladjustment i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are;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tendency, :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in terms of the state anxiety and the performance after the experience of the failure. PIL Test is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the meaningful group and the exitential vacuum group are classified from the result(M±IS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ingful group show the internal control tendency than the existential vaccum group(t(58)=-5.59, p<.001). 2.The existential vaccum group show the higher level of the state anxiety than meaningful group after the failure(t(28)=-8.39, p<.001).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meaningful group and the existential vaccum group show no difference. The objective of' is to explore what process is mediated between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the anxiety. Perceived stress and coping method-founded on the cognitive-phenomenological approach to stress-are surveyed. Type of the stress and the importance are measurd to identify the perceived stress and active-passive coping method are measured. The subjects are 170 freshmen in E Woman's university in Seoul. The experiment was done three weeks after the entrance.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are: 1. The type arid the importance of the perceived stress show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2. The meaningful group use more active coping than the existential vaccum group(r=.58, p<.001). But the passive coping method show no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in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3. All variables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perceived stress, coping method) explained 56.9%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anxiety.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is the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The active coping method is seemed the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