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고전문학 영역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

Title
고전문학 영역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
Other Titles
Integrated Education Methods for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Classics
Authors
김인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고전문학읽기쓰기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고전문학 읽기와 고전문학 쓰기의 통합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보다 고전작품에 대한 능동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고전문학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최근 문학 교육의 방향은 '교사 - 텍스트' 중심에서 '텍스트 - 학생'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문학의 감상 및 이해에서 창의적인 수용과 창작으로 점차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평생 독자를 기르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일선 교사들이 교실 수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문학 교육의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고전문학은 학습자와 작품 사이에 놓인 시간적 거리가 멀어 작품을 이해하는데는 여러 가지 배경지식이나 정보 등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제적 요구로 인해 실제 교수 - 학습 상황에서 작품 읽기만을 위한 주석식, 어휘 풀이식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습자는 작품에 대한 흥의를 잃고 작품 수용 의욕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고전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보다 고전문학을 친숙하게 느끼고 나아가 스스로 고전문학을 향유하고 감상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그 가능성을 읽기·쓰기 통합 교육에서 찾게 되었다. Ⅱ장에서는 현행 고전문학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제 6차 교육과정에서 고전문학을 학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이에 고전문학 교육이 읽기 중심에 치우쳐 있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고전문학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을 제안하였다. Ⅲ장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기하고 있는 원리들을 살펴봄으로써 본고의 이론적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여섯 영역을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국어 교육의 목표에 유기적으로 통합되도록 하고 있다. 즉,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인 국어 교과는 각 영역을 통합한 교과이며 '총체적 언어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성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본고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안하였다. 특히 이러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수용과 창작이라는 측면에서 보더라도 작품의 읽기를 통할 수용과, 쓰기를 통한 창작이라는 점에서 그 타당성을 지닌다. Ⅳ장에서는 '고전문학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을 구안한것으로 <九雲夢>에 실제 적용하여 교수 - 학습의 방법과 과정을 제시하였다. 교수 - 학습 과정은 '읽기 전 쓰기' '읽기 중 쓰기' '읽기 후 쓰기'로 나누고 각단계에 적합한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각 단계에 따른 활동들은 작품의 성격과 수업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Ⅴ장에서는 <구운몽>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를 통하여 의의를 살펴 보았다. '고전문학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점이다. 둘째, 고전 작품을 읽고 쓰는 활동은 읽기의 사고과정에서 일어난 생각들을 쓰기에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은 우선 작품을 읽는 것을 전제하므로 올바른 읽기 전략을 길러줄 뿐 아니라 읽기 제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점이다. 넷째, 읽기 쓰기 통합 교육은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작'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섯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은 궁극적으로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이다. 일곱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은 학습자의 토의/토론 수업을 이끌어, 학습자의 능동적인 태도를 길러주는 데 기여함으로써 정의적 영역에서도 그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여덟째, 본고에서 제시한 교육 방법은 한 작품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텍스트성을 실제 교육현장에 끌어들인다는 점이다.;This paper deals with 'integrated education methods for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classics'. Through integrating activities of reading and writing of classics, learners could be more interested in classics and understand it more actively. Recently, the center of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eacher - text' to 'text - students' and the extent has been enlarged from feeling and understanding of writings to creative acceptance and creation. So,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which are programed for producing life-time readers. it is, however, not satisfied for teachers to apply the method to students directly. For understanding classics, because time gap between a writer and readers is too long, it is difficult for readers to understand writings deeply, unless they have sufficient backgrounds and informations about the time at which the writing was made. Deficiency of backgrounds and informations lead a teacher to make a class only by taking annotations and teaching phrases. It makes students to be bored in class and decreases the passion for accepting a literary work. In chapter Ⅱ, to know the condition in which how the classes for classics were made in school and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several questions were posed to students who were taught in 6th education process. From the result, I found problems tha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classics are leaned seriously to reading and suggested solutions which consist of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of Classics(IRWEC)'. In chapter Ⅲ, reliability of this paper would be examined by investigating theoretical backgrounds for IRWEC and newly introduced principles in 7th education process. In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set for students to increase the creative us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aimed that total understanding of 6 parts is integrated organically to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e. Korean language, essentially needed class to the nation, is the class which includes each area and directs to the general language education. As a solution for embodiment of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it was given detailed description on this paper how the teacher could instruct reading and writing in combined form. Particularly,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s exactly correspondent to acception and creation which are issued in 7th education process, because acception and creation are accomplished by reading and writing. In chapter Ⅲ, a s to give a concrete method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classic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cess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steps; 'writing before reading', 'writing during reading', 'writing after reading'. Each step should be made with proper activities. Something recommended were given. Of course, the activities could be changed flexibly with the character of the classic and the situation of the class. In chapter Ⅳ, for verifying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classic', the method was applied to Korean classic, "GooWoonMong" on the theoretical base. Finally, the meaning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was arranged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s of view.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classics' has significant meanings as follows. First, It is learner-centered education. Second, the ideas which occurred to learners during reading process are directly related with writing. Third, it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reading itself as well as to set the strategy for right-reading, because reading is preceded. Forth, it gives interest to learners about classics. Fifth, it could be used as a sort of 'creation' which is emphasized in 7th education process. Sixth, it contributes to extension of linguistic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