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윤선-
dc.creator장윤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6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6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androgyny theory. In order to inspect the strong points of the theory, the factors which compose sex role types and intelligence and their relationship are the area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o be verified. 1. Is there any gap between androgynous and masculine child in verbal ability? 2. Is there any gap between androgynous and masculine child in numerical and spatial ability? 3. Is there any gap between androgrnous and feminine child in verbal ability? 4. Is there any gap between androgrnous and feminine in numerical and spatial ability? 5. Which of the four sex role groups,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group, has the highest intellectual level? The selected subject of investigation are 235 male and female children living in Seoul area. KSRI(Korean Sex Role Inventory), developed by Kim Young-Hee(1988), was used as a measurement of sex roles and KEDI Group Intelligence Test,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o measure the intelligence level. The total tested time was approximately one hour and twenty minutes and intelligence level was tested first, then the sex role inventory was tested.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easyer, explanation was included. Data analization was done using GLM(General Linear Model) of SAS(Statistic Analysis System). From GLM ANOVA of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ex post facto investigation was done using Duncan Method. In sex role test, the tested group were classified in to four groups,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group. From the test result, the average age of the tested children was 11.04 year old and the male average age was 11.05 and female average age 11.04. The median of male and female sex point was 70 and 66. From the two medians the number of 4 groups were 75 androgynous, 48 masculine. 46 feminine and 66 undifferentiated. From the results of intellectual test, verbal, numerical, spatial and total intelligence point had p<.001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To find out which groups had gaps with other groups, ex post facto verification was done using Duncan Method. The result came out that masculine and androgynous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group in total intellectual level and verbal ability. Also, in numerical and spatial ability, between masculine and feminine, bewteen masculine and androgynous and between androgynous and undifferentiate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verage of total intellectual abi1ity came out masculine, androgynous,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group in highest order. From the tes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lligence level between masculine and androgynous children but masculine had higher average of intellectual level than androgynous group.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wa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androgyny theory. However, in intelligence test, not only androgynous group had high intellectual level but masculine group had high level. This implies that factor influencing in intellectual development is not the only androgynous variable. This study exempted the investigation about why masculine and androgynous group have higher intellectual level than other groups. However, a study focusing on how masculine and androgynous factor influence intellectual developmen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본 연구는 양성성 이론에서 출발하여 그 이론이 갖는 우월함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성성 이론의 장점을 검증해 내기 위하여 성역할 유형과 지능을 구성하는 요인과의 관계를 연구의 영역으로 설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증명한다. 1. 양성적 아동과 남성적 아동간에 언어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가. 2. 양성적 아동과 남성적 아동간에 수와 도형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가. 3. 양성적 아동과 여성적 아동간에 언어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가. 4. 양성적 아동과 여성적 아동간에 수와 도형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가. 5. 네 집단 중 지능이 가장 우수한 집단은 어느 것인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의 국민학교 남녀 아동 235명이다. 측정도구는 성역할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김영희(1988)가 제작한 한국형 성역할 검사(KSRI)를 이용하였고,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개발한 KEDI집단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측정절차는 지능검사를 먼저 하고 그 다음에 성역할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때 5학년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내용을 첨부하였으며, 검사의 총 소요시간은 1시간 20분이다. 자료처리는 SAS의 GLM으로 변량분석을 하여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후, 유의미한 차이가 밝혀져서 Duncan의 방법으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성역할 검사는 중앙치 반분법에 의해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의 평균나이는 11.04세이고, 남아 11.05세, 여아 11.04세로 나타났다. 남성성 점수와 여성성 점수의 중앙치는 각각 70, 66으로 산출되었다. 두 개의 중앙치에 근거하여 분류한 네집단의 인원수는 양성성 75명, 남성성 48명, 여성성 46명 그리고 미분화 66명으로 집계되었다. 네 집단이 지능검사에서 보인 반응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언어, 수, 도형 세 영역과 전체지능점수에서 모두 p < .001의 수준에서 매우 의미있는 차이가 나왔다. 이 차이가 어느 집단간에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Duncan의 방법으로 사후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전체지능점수와 언어 영역에서 남성성, 양성성 집단과 여성성, 미분화 집단 간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수와 도형 영역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 남성성과 미분화, 양성성과 미분화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평균점수는 남성성, 양성성, 여성성, 미분화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남성성집단과 양성성집단의 지능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온 것은 하나도 없었으나, 평균점수에서는 오히려 남성성집단이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가설은 양성성 이론의 우월함을 입증하는 것이었는데, 지능검사에서 우수한 결과를 낸 집단은 양성성집단만이 아니라 남성성집단도 포함된 것으로 나온 것이다. 이는 지능이 전체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데는 양성성이라고만 단정지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논의에서는 왜 남성성집단과 양성성집단이 지능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는지 그 원인에 관한 탐색은 제외하지만, 전체적인 지능발달을 하게 하는 데 남성성과 양성성의 어떤 메카니즘이 작용하는지를 규명해 보는 것도 앞으로의 좋은 연구 과제로 남게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새로운 성역할 정체감 : 양성성 = 4 B. 성역할 발달 = 10 C. 지능발달 및 지능검사 = 16 D. 성역할 유형과 지능 구성 요인과의 관계 = 19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측정도구 = 22 C. 측정절차 = 23 D. 자료처리 = 24 Ⅳ. 연구 결과 = 26 Ⅴ. 논의 = 32 참고문헌 = 34 부록 = 41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75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심리-
dc.subject성역할-
dc.subject지능구성-
dc.subject11세아동-
dc.title11세 아동의 성역할 유형과 지능구성 3요인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ex role types of eleven year old childre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ree intelligence variables-
dc.format.pagevi,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