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저소득 재가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Title
- 저소득 재가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 Authors
- 김주희
- Issue Date
- 2007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Prolongation of human life expectancy led to bring about diverse issues surrounding the aged persons, especially with the results of a sharp increase in the aged persons committing suicide, in the face of crisis of diverse modes of life, pos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And it is urgent to clarify the causes for aged person's suicide and work out ways of intervening in its prevention. Since only one factor only can hardly account for the causes for aged person's suicide, it is necessary to make a multilateral, comprehensive study, considering the complex relationship of diverse working facto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look into these factors, eco-system perspective, with the emphasis placed on mutual exchanges between the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attempts were made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the aged persons falling under the group of hazards of suicide attempt, and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uch variables and their thinking of suicide. For the same purpose, the aged persons' eco-system level was analyzed separately by the individual system, family system influencing the individual system, and local community system.
Collection of this study data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from 29 April until 25 may 2007, with the study targeting 162 the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over 60 who were registered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eoul, with the use of "SPSS/Win 12.0" for statistical processing.
Outcome of this study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on part of the survey target aged persons marked 7.69 points (maximum of 34 points), and the survey revealed that 14.2 percent of the survey target individuals experienced suicide attempts in the past.
Second, differences in the aged person's suicidal ideation were noted, depending on variable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d persons, individual system, family system, and local community system. In other word, more males than others, live in the independent housing or multi-family villas, and the more depressed or the more desperate they feel, the more did they experience suicide attempts. It was turned out that, in case of the individuals who committed suicide or attempted suicide among their friends or neighbors, their family relations were unsatisfactory, and the lower is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becomes the level of discriminative perception against the aged persons, and that the more suicide impulse was felt after watching the mass media's reports of suicide, did they think more of suicide.
Thir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different system was made in order to look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ged person's suicide thinking, with the results that, as general characteristics noted through analysis made with variables of the individual system added ,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was influenced by in order of desperate feeling,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the past, and sex, and then influenced by in order of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the past, family relations, influencing of the mass media, and desperate feeling, when variables of the family system were added. Finally, when variables of local community system were added, it was turned out that the aged person's suicide thinking was influenced by in order of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the past, family relations, influencing of the mass media, and desperate feeling. The outcome indicates that suicide takes place not by any one factor, but through complex processes, requiring a study from multilateral, comprehensive standpoints.
Following are propositions made on the basis of the study outcome:
First, since the career of suicide attempt in the past constitutes the most hazardous factor of suicide or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upon suicide, control of suicide hazard groups should be effected on the spot of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 through diverse survey on the aged persons' career of suicide.
Second, it is noteworthy that the aged persons as well as the young men are also influenced by the mass media. Sinc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previously overlooked in connection with the aged persons' suicide, is the critical field where it is influenced relatively by thinking of suicide, mass media reporting exaggerating or inflammatory reporting of cases of suicide should be discontinued.
Third, the men working at the spot of carrying on social welfare service are found in a key position of preventing suicide, and therefore, they should play the role of suicide prevention expert through the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 execution and actively intervene in the activities of preventing the aged persons exposed to suicide hazards from committing suicide.
Fourth, as virtually there are no programs targeting the suicide hazard groups in our country,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to which the local community may be able to intervene should be developed and active suicide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spot of carrying on local community's welfare service practically targeting aged persons' suicide hazard groups.
Fifth, it is necessary for the aged persons and individuals working at the spot of carrying on local community's social welfare service to enhance their perception of the suicide issue, and a follow-up study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ame issue needs to be made.;인간의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노령인구가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노인문제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여러 삶의 위기상황 속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노인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자살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개입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노인 자살의 원인을 한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고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는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나므로 개인적 차원의 설명을 넘어 개인적, 개인 상호간의, 사회문화적 요인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고려한 다차원적, 포괄적으로 밝힐 수 있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을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교류를 강조하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자살을 시도할 위험군에 속한 노인들이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변수와 자살생각간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의 생태체계적 수준을 개인체계와 개인체계에 영향을 주는 가족체계와 지역사회체계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여러 선행연구 결과 저소득층 재가노인이 자살에 노출될 위험성이 클 것으로 판단하여 저소득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7년 4월 29일부터 5월 25일까지 4주간 이루어졌으며,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60세 이상 저소득 재가노인 1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노인의 자살생각 정도는 7.69점(최대 34점)이었으며, 자살관련 경험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 대상자 중 14.2%가 과거에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다.
둘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 변인에 따라 노인 자살생각에 차이를 보였는데 즉 남자일수록, 단독주택이나 다세대/빌라에 거주하고, 우울감과 절망감이 높을수록, 과거에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고, 주변 친구나 이웃 중 자살자 및 자살시도자가 있는 경우, 가족관계가 좋지 않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을수록, 노인차별인식 정도가 높고, 대중매체를 통해 자살보도를 보고 난 이후 자살충동을 느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개인체계 변인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절망감, 과거 자살시도 경험, 성별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며, 가족체계 변인을 추가한 결과 과거자살시도 경험, 가족관계, 절망감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체계 변인을 추가한 결과 과거 자살시도 경험, 가족관계, 대중매체의 영향, 절망감 순으로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이 어떤 한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나며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으로 밝힐 수 있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의 자살시도 경력은 자살의 가장 위험한 인자로 가장 영향력 있는 자살의 예측 요인 중 하나로 꼽히므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는 노인 자살력에 대한 사정을 통해 자살 위험군으로서의 관리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특이할 만한 사항은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노인 또한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노인 자살과 관련하여 간과하였던 대중매체의 영향이 다른 요인에 비해 자살생각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언론을 통한 자살사건 확대나 선정적인 보도를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를 근거로 하고 있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무자들은 자살 예방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자살예방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자살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사업에 적극 개입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에서는 자살위험군에 대한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노인 자살위험군을 실제로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개입할 수 있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역사회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과 실무자들의 자살문제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현재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