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3 Download: 0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work practicum on career development : Laying stress on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uthors
김선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pplies the value, knowledge, theory of social welfare to reality through social work practicum. From the practicum, he/she learns practical works in the field and cultivates professional ability in his/her work. Furthermore, he/she tries to find his/her fitness for the work by continuously questioning his/her own qualifications as a social worker. Therefore, social work practicum not onl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field, but also it could work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imself as a social worker. Whil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e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social work, there has been few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nd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we need to identify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one's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cultivate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practicum by examining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crete, I would like to notice the factors considered of affecting social work practicum such as students, supervision, institution, and college. I also would li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development that explain career awareness and behavior differences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By the method mentioned above, I tried to establish factors considerably important in the education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one's career. There are four main questions o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like? Second, how does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 develop his/her career? Third, how does social work practicum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Finally, what is the main factor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that influence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Responden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four-year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380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 colleges, and selected 33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om the study, I could notice the following facts. Frist, most of the students experience the social work practicum in their third year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not only major itself but also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they estimated the curriculum offered in the college was bellow the expectation. The interesting fact was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 career plan as a social worker, but they were relatively passive in the preparation for the achievement of the plan. Regarding social work practicum in particular, students evaluated practicum environment as 2.91/4 and practicum curriculum as 2.85/4, which means it wa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relation to supervisors, most of them were female, holding Master of social welfare. Besides, majority of them were positioned in head of a department, and had more than 5years of career at work. The frequency of the supervision were regular, and supervision was offered mainly in the form of group at determined practicum guiding perio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tudents was evaluated as 3.06/4, supervis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as only 2.81/4. In regard to satisfaction measuremen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acticum curriculum, students evaluated it as 2.72/4. Enough information on the practicum institutions was not provided, and considerable students even did not know their adviser's career experience. Curriculum offered prior to practicum was not enough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took the curriculum were mostly between 20 and 30. The study showed that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having had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did not show high level of career development. Vocational identity is higher as it closes to 1, and lower as it goes to 0. Respondents showed the average of 0.47.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2.65/4,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2.40.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finished social work practicum showed the average level in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vocational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career development is shown as following.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and career development, it was reveal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higher for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chose in social welfare as their major. Students who had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as social worker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have direct connection with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the selection of its own major, and frequency of volunteering. When it comes to practicum institution, practicum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for practicum contents did not directly affect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career development, students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hen they were instructed by male supervisor. Besides,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they were educated by supervisor who had degree of higher than Master. As the level of supervision of supervisor goes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scored higher. In particula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students had by supervisors, and it was relatively high when supervised by college advisor who had less than 5years of experience. There were some meaningful factors that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maj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mostly affected by satisfaction measurements of selection of major, supervision, and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whil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influences on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and large,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upervision positive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 suggest that since measurements for supporting positiv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ere not enough, a minimum of systematic criteria on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Second, not only the support of supervisor and college, but also personal effort is important to obtain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Third, in order to improve specialty of supervisor, social work institution needs to offer appropriate education opportun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measurement of supervision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Finally, systematic curriculum for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and it leads to positive career development.;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 기관이라는 조직에 속해 사회화되고 전문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 정체성 확립 및 결정, 준비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복지 교육의 중요한 교과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사회복지현장실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성을 밝히는 연구만 조금씩 진행되어 왔을 뿐, 졸업 후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배출될 예비 사회복지사들인 사회복지전공생들과 사회복지현장실습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볼 기회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실천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직으로서의 사회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실제로 사회복지학을 배우고 있는 사회복지 전공생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습의 주요요인들이라고 밝혀지고 있는 학생요인, 수퍼비전요인, 기관요인, 학교 요인들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의식 및 행동의 차이를 나타내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성 여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 및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첫째, 사회복지전공생들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전반적인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6개 학교에 총 38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350부였으며,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누락된 사례가 많은 20부를 제외한 총 33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의 실습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3학년 겨울방학에, 사회복지직접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많이 하였으며, 실습기관선정에 대한 만족도 및 실습 커리큘럼 충실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여학생이 많고, 대부분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며 사회복지학문에 대한 관심 때문에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전공생 본인 및 부모의 전공선택 만족도는 대체로 높으며, 전공 교과내용 및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 실습관련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경험하였으며, 사회복지현장실습 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에 대한 확신은 부족한 편이며, 진로계획 달성을 위한 준비에도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의 실습환경 수준 및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실습환경 수준에 대해서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91점, 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해서는 평균 2.85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의 일반적 특성 및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수퍼비전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수퍼바이저의 성별은 대부분 여자이며 사회복지를 전공하였다. 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많으며 직위는 과장, 실무경력은 5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수퍼비전의 횟수는 정기적인 경우가 많으며, 시기는 기관에서 정해준 실습지도 시간에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형식은 집단 수퍼비전을 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수퍼바이저와 실습생과의 관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3.06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이며, 수퍼비전 만족도는 평균 2.81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교수, 실습수업의 일반적 특성 및 학교 실습수업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지도교수 지위는 교수가 가장 많으며, 학생들은 대부분 지도교수의 임상경력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수업은 실습 후 다음 학기에 많이 하며, 실습이전에 실습관련 교과목을 일부만 받은 경우가 약간 많으며, 실습수업의 수강인원은 20-30명 사이가 가장 많았다. 셋째, 학교의 실습기관 정보제공방법은 지침서 배부나 아예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72점으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정체감의 경우 0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고, 1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낮은데 평균 .47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총 4점 만점에 평균 2.6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40점으로 보통수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습생 개인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실습기관 선정시 개인의사가 많이 반영될수록, 남자 실습생일수록, 기타 개인적인 계기로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실습생일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에 확신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 달성을 위해 준비를 시작한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실습생 본인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실습생 부모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곱째, 실습관련 자원봉사경험 정도와 진로준비행동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관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실습기관의 실습환경수준과 실습기관의 실습내용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퍼비전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남자 수퍼바이저에게 실습지도를 받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석사, 박사 학력의 수퍼바이저에게 실습 지도를 받은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기, 비정기적 등 수퍼바이저로부터 복합적으로 수퍼비전을 받은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준이 높을수록 실습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교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교수의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일수록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만족도이다. 둘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이다. 셋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에서는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 수퍼비전 요인 중에서는 수퍼바이저 학력(대졸이상)과 수퍼비전 만족도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개인전공 선택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전반에, 실습 수퍼바이저 학력, 수퍼비전 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전공생의 긍정적인 진로발달 지원을 위해 실습생들이 어느 정도 표준화되고 체계화된 기준에 의거하여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실습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실습 지도자 교육 및 지침서 배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그 수준을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이 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좀 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천현장의 실습기관 및 수퍼바이저, 실습전반에 대한 학교의 지원뿐 아니라, 실습과정을 자신의 이론적 지식과 정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학력, 수퍼비전 만족감이 실습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관의 지원과 적절한 훈련기회의 제공, 수퍼바이저의 올바른 역할인식, 수퍼비전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강화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는 사회복지실천현장과 학교교육이 적절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습 선수과목 지도 및 학생들의 실습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부정적인 실습경험을 감소시키고, 실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지원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