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희-
dc.creator김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14-
dc.description.abstractIn Korea, welfare families that have been the main target of the anti-poverty policies have been either getting out of the poverty through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receiving public welfare assistance from the nation, or not. These g.o.p(getting-out-of-the-poverty) issues have effected as major variables on the equalized development of the nation beyond guaranteeing the individual life quality of the welfare families. So this study, with the data of the 334 welfare families dwelling in the p.r.a(permanantly rental apartment) in Chung-gye 3-dong, Nowon-gu, is focusing the points on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sibilities and the period of the g.o.p and on presenting the alternatives. To obtain these objectives this study is ; First, drawing out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s.w.f(surveyed welfare families) and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g.o.p. Second, examining the effect of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s.w.f on the possibilities of the g.o.p. Third, examining the effect of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s.w.f on the period of the g.o.p. This study was performed on a series of stages in making 『the follow-up data』 from the 『Welfare Family Assistance and Counseling Recording Files』 which for seven years have been recorded and managed by 'Public Social Worker' of the Chung-gye 3-dong public office, encoding the longitudinal data and analyzing the data through frequency distribution, X^(2) tes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regarding on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s.w.f, the average age of the householders was 47.7 years old and the ratio of the female householders was 52.7%. And the healthy householders were only 37.7%. The school career was the most at 41.6% in the gradu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56.3% of the householder had jobs. The average age of the spouses was 45.2 years old, and the school career was the most at 50.4% in the gradu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50.4% of the spouses had jobs. This means most of the healthy spouses(54.0%) had jobs. The average age of the eldest youngster dwelling with the family was 20.9 years old and the female ratio was a little higher at 50.3%. And the job occupancy of this group was 14.8%, 64.2% had no capability to work because 50.3% of this group were students. Average number of the family members was 3.54 and this number was more than 2.83, the average number of Seoul City's welfare family members in 1992.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co-dwelling youngsters was 2.01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co-dwelling youngsters above 18 years was 0.59. Among the family types, the fatherless family was the most at 49.4%, and the couple-only family at 36.2%, the motherless family at 8.1%, the family of householder above 65 years old at 6.3%. Second, regarding on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g.o.p, annual statistics showed the steady decline, and the average ratio of the g.o.p was 16.2% until 1994 when there had been medical only assistance program by the end of the year. Afterward that stastistics showed average 8.9% and 46.4% were the long-term poor families which needed more than 6 years for g.o.p and average period of g.o.p was 3.77 years for the g.o.p familes and 6.82years for un-g.o.p families.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ossibility of the g.o.p were the age · sexes · health · school career · job occupancy of the householder, the age · sexes · school career · job occupancy of the eldest youngster, the existence of the spouse, the youngster members dwelling with the family, and the youngster members above 18 years old. It shows that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attributes of the youngsters had effected on the possibility of the g.o.p more than that of the householders. Fourth,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iod of the g.o.p were the job occupancy of the householder, the school career of the eldest youngster, the youngster members above 18 years old and the family members. The family membe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of the g.o.p and the others had negative one. Among them, the youngster members above 18 years old and the school career of the eldest youngster were having more effect on the period. But the job occupancy of the eldest youngster showed no meaning. It is because that the family, when the youngster above 18 years old graduated the high school, was regarded as the g.o.p family on the reason of the capability of the youngster to work. The period of the g.o.p by family types showed that the fatherless family was the shortest at 4.67 years, and the motherless family was the longest at 5.67 years. 74.6% of the fatherless families reached the g.o.p family within 6 years, only 55.4% of the couple-only families, 47.6% of the families of the householder above 65 years old, 44.4% of the motherless families did that. Upon the above results, I present several alternatives for the g.o.p of the welfare families as below; First, the programs which can make high the school career of the youngster members above 18 years old and the eldest youngster who have more effect on the g.o.p, should be developed. Especially like Chung-gye 3-dong, in the nationwide p.r.a area of 190,000 families, the rising frequency of the juvenile delinquencies resulting in the run-away from the home, and the withdrawal from the school have made the poverty last longer and the g.o.p families re-enter the poverty. Thus, the total re-examination on the p.r.a policies is needed. Second, because the fatherless families take bigger part among the welfare families, and the period of these families' g.o.p is shorter than other types of families, the effect of the g.o.p policies is very high. But there are almost no programs for these families, so the specialized programs for these families through Welfare Act for Fatherless Family should be developed. Third, through the intensive study on the families categorized as g.o.p families not by the actual income increase beyond welfare family care criterion but by the number of the youngster members above 18 years old, these familie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public care and the concrete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these families' re-entering should be made. Fourth, I suggest that sequential studies be made on the fields - which this study did not deal with - like the single member families, the children only families, the mixtured comparisions of p.r.a area & non p.r.a area or the urban & rural area, and existing welfare families and new welfare families at a certain time.;우리나라 빈곤정책의 주요 대상인 생활보호대상자는 국가로부터 복지 급여를 받다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빈곤으로부터 탈피하거나 빈곤에 계속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빈곤탈피문제는 생활보호대상자 개개인의 인간다운 생활보장의 차원을 넘어 국가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계3동의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생활보호대상자 334가구를 대상으로 빈곤 탈피여부와 탈피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조사가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빈곤탈피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조사가구의 일반적인 특성이 빈곤탈피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조사가구의 일반적인 특성이 빈곤탈피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중계3동사무소의 사회복지전문요원에 의하여 7년간 기록관 리되고 있는 「생활보호대상자관리카드」에 의해 「추적조사표」를 작성하고 이들 종적(longitudinal)자료를 전산부호화하여 SPSS/PC+프로그램의 빈도분포, X^(2) 검증, T-test, 중다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가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특성은 연령의 평균이 47.7세이며, 여자가 52.7%이다. 건강한 가구주는 37.7%로 적으며 국졸이 41.6%로 가장 많았고, 56.3%만 근로를 하고 있다. 배우자의 특성은 평균연령이 45.2세이며, 국졸이 50.4%로 가장 많고 50.4.%가 취업하고 있는데 이는 건강한 배우자(54.0%)의 대부분이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하는 큰자녀의 특성은 평균연령이 20.9세이고 여자가 50.3%이며 14.8%만이 취업하고 있고 64.2%는 학생(50.3%) 등의 사유로 대부분이 근로활동을 할 수 없는 자로 구성되어 있다. 가구규모특성에서 평균 가구원수는 3.54명으로서 '92년 서울시 생활보호대상자 평균 가구원수 2.83명보다 많으며, 평균 동거하는 자녀수는 2.01명이고 평균 동거하는 18세이상자녀수는 0.59명이다. 가구형태의 특성에서 모자가구가 49.4%로서 가장 많고 부부가구 36.2%, 부자가구 8.1%, 노인가구주가구 6.3%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탈피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연도별 빈곤탈피추이는 꾸준한 감소를 보이고 있는데 의료부조제도가 있던 '94년까지 평균탈피율16.2% 이며 그후 8.9%의 평균탈피율을 보이며 조사가구의 46.4%가 6년이상 걸리는 장기빈곤가구이며 평균탈피기간은 탈피가구가 3.77년, 잔류가구가 6.82년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탈피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구주의 연령·성별·건강·학력·취업, 큰자녀의 연령·성별·학력·취업, 배우자유무, 동거자녀수, 18세이상의 자녀수이며 이중 가구주의 건강·취업, 큰자녀의 연령·성별·취업, 동거자녀수, 18세이상 자녀수가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가구주의 특성에 관련된 변인보다 자녀의 특성에 관련된 변인이 빈곤 탈피여부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빈곤탈피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구주취업, 큰자녀학력, 18세이상자녀수, 가구원수로 나타났으며 가구원수는 정적인 영향을, 나머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중 18세이상 자녀수와 큰자녀학력이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큰자녀의 취업은 유의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자녀가 18세이상으로 성장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일단 근로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여 빈곤탈피가구로 분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구형태별 빈곤탈피기간은 모자가구가 4.67년으로 가장 짧고, 부자가구가 5.67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모자가구는 74.6%가 6년이내에 빈곤에서 탈피하는 반면에 부부가구 55.4%, 노인가구주가구 47.6%, 부자가구 44.4%만이 6년이내에 빈곤에서 탈피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활보호대상자의 빈곤탈피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빈곤탈피기간에 영향력이 큰 동거하는 18세이상의 자녀수가 많아지고 큰자녀의 학력이 높아질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지역과 같은 전국 19만호의 영구임대주택지역은 청소년 비행율 증가 등으로 빈곤탈피의 주요 변인인 자녀가 어린 나이에 가출하거나 퇴학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면서 이로 인한 빈곤장기화 및 재진입 등이 우려되는 바 영구임대주택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시급하다. 둘째, 생활보호대상자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모자가구는 다른 가구에 비하여 빈곤탈피기간이 짧아서 빈곤탈피정책의 효과성이 높은 반면에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미비하므로 모자복지법에 의해 특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셋째, 취업으로 인한 실질적인 소득향상이 아니라 근로가능성이 있는 "18세이상 자녀수"라는 척도로 인하여 빈곤탈피가구로 분류된 가구에 대하여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서 실질적인 빈곤가구들이 보호에서 누락되지 않으며 이들 가구가 빈곤으로 재진입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단독가구와 소년소녀가장, 영구임대주택지역과 일반주거지역, 서울과 타지역, 그리고 어느 시점에 빈곤했던 가구와 새로 빈곤가구로 선정된 가구 등이 고려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한계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빈곤탈피와 생활보호제도 = 5 1. 생활보호대상자 = 5 2. 생활보호의 내용 = 7 3. 생활보호탈피현황 = 10 B. 빈곤탈피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12 1. 빈곤가구의 특성에 대한 고찰 = 12 2. 빈곤 탈피와 탈피기간에 대한 고찰 = 14 Ⅲ. 연구방법 = 18 A. 조사대상 = 18 B. 조사지역 = 18 C. 조사방법 = 19 D. 연구의 분석틀 = 20 E. 분석방법 = 23 F. 연구질문 = 24 Ⅳ. 연구결과 = 25 A. 조사가구의 특성에 대한 분석 = 25 1. 조사가구의 일반적인 특성 = 25 (1) 가구주의 특성 = 25 (2) 배우자의 특성 = 27 (3) 동거하는 큰자녀의 특성 = 28 (4) 가구규모의 특성 = 30 (5) 가구형태의 특성 = 31 2. 빈곤탈피의 일반적인 특성 = 32 (1) 연도별 빈곤탈피 현황 = 32 (2) 가구별 빈곤탈피기간 = 33 B. 빈곤탈피여부에 대한 분석 = 34 C. 빈곤탈피기간에 대한 분석 = 38 Ⅴ.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7 부록 = 50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89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생활보호대상자-
dc.subject빈곤-
dc.subject영구임대아파트-
dc.subject탈피-
dc.title생활보호대상자의 빈곤 탈피여부와 탈피기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계3동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의 생활보호대상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Possibilities and the Period of the G.O.P of the Welfare Families-
dc.format.pageviii, 5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