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永熙-
dc.creator金永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13-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질병등으로 40대 남성사망율이 세계 최고 일 뿐아니라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등으로 최근 이혼이 급증하여 새로운 편모가정을 양산시키고 있다. 모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모자세대는 주소득원였던 남성세대주의 부재로 말미암아 빈곤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1994년 말 모자복지법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는 모자세대는 전체 모자세대의 35.7%나 되고 따라서 요보호모자세대의 자립은 빈곤탈피 차원의 사회복지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활등급표상 7등급 이하의 요보호모자세대를 일정기간 수용하여 자활자립을 유도하는 모자보호시설은 1996년말 현재 전국적으로 37개소가 있고 서울에만 7개소가 있으며 모자세대 수용인원은 2,392명이고 퇴소자수는 2,330명이다 요보호모자세대 중에서 모자보호시설에 수용되어 일정기간 경과후 퇴소시 가난을 탈피하여 생활보호상 거택보호에서 자활보호대상자 또는 일반소득계층으로 자립을 성취한 퇴소 모자세대의 자립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함으로써 경제적 자립을 필요로 하는 빈곤모자세대를 위한 사회복지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개의 모자보호시설 퇴소가정으로 생업자금융자를 제외한 부채가 없으며 퇴소시 저축이 천오백만원 이상이고, 현재의 수입으로 모를 포함한 가족의 생활과 자녀교육이 가능한 10가정을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1회에서 3회 실시하였고 면접시간은 약 120분에서 180분간 실시하였다. 면접의 내용은 사례들의 개인력, 결혼전 고용상태 및 기술유무, 모자원 입소동안의 고용상태 및 행동과 태도, 퇴소시의 준비와 느낌, 현재 생활전반과 노후대책까지를 총괄하였다. 연구 결과 퇴소가정들의 자립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모의 자립의지이다. 자립의지는 자녀애착과 교육, 모의 독립심과 성숙함,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내, 그리고 계획과 수행능력으로 분석되었다. 자립한 모자세대의 모는 사회복지수혜에 대해 장기적이거나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았고 최선의 선택이고 꼭 필요한 혜택이지만 일시적이고 벗어나야 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가족지지체계의 물질적 정신적 지원이 자립을 도왔으며 종교기관의 물질적인 지원 외에 종교가 주는 영적 위로와 평안이 모에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삶을 추구하도록 모를 격려하였다. 또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기회를 활용하는 것이 자립을 성취한 모의 또하나의 특성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실용적 함의(practical implication)으로 빈곤모자세대의 자립을 조기달성하기 위한 모자보호시설의 효과적 운영과 관리는 다음과 같은 차원과 수준으로 수행되어야한다. 첫째,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관한 보호를 강화하여야 한다. 어린 자녀의 탁아는 모의 일 가능성 여부와 직결되고, 취학아동의 경우 모의 늦은 퇴근으로 방과후 학습과 생활지도를 필요로 하며, 중고생은 학습과 더불어 상담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저임금 단순일용직에서 탈피하고 안정된 직장을 확보하기 위한 직업기능훈련을 하되 현실적 취업가능 한 기능을 개발하고 지도함과 동시에 적정한 훈련수당을 지급하여서 생계유지를 이유로 직업훈련을 기피하지 않고 참여를 높힐 수 있어야한다. 셋째, 모의 자립의지를 배양하기 위해 모자보호시설내에 전문적 사회복지전문체계가 확립되어 전문적 상담과 자원연결등 모자세대의 사회복지적 욕구에 부응하도록 한다. 넷째, 모자세대와 가족외의 비공식적 지원체계인 종교기관 및 민간지원체계와의 연계를 도모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종교기관은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할 뿐아니라 소외와 혼란을 경험한 모에게 영적 인도와 안정을 주기 때문이다. 다섯째, 모자세대들의 이별유형, 모의 연령과 가족구성 및 종교적 배경 등을 고려하여 입소한 모자세대와 자립한 퇴소가정 결연관계를 맺는 것을 적극 추진하고, 자립한 퇴소가정을 포함시킨 모자세대의 자조집단(self-help group)을 구성하고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면 자립을 원하는 모와 자녀 모두에게 정신적 지지와 함께 정보교환, 취업알선, 자립의지 배양의 산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Korean society has recently witnessed a steady increase of the number of female-headed households. There are a number of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an extremely high mortality rate of males in their forties due to industrial calamities, traffic accidents, and various illnesses as well as the growing number of divorce boosted by the rapid change of values and norms in the highly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society. These female headed families, especially when they have children to support, are in great danger to fall into poverty because of the loss of their male head of the household, who was their main source of income. As of 1994, 35.7% of all the female-headed households are dependent on the social welfare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for such families. Therefore, the issue of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female-headed households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pressing concerns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and as such it mandates a research on the various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transition of female-headed households from poverty to economic stability. There are special shelters which accomodate those female-headed households who belong to the seventh category and under on the of official scale of poverty and help them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According to some of the recent statistics, there were 37 such shelters nationwide, including 7 in Seoul. as of 1996. Currently, 2,392 people are housed in those shelters. Also, 2,330 other people have had the experience of living there. This thesis project is an attempt at a close observation and a social-scientific analysis of the process of exiting from poverty of some of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ho successfully managed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f their stay in such shelters. The project aims at constructing a potentially efficient social service program for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ho are in need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ir future financial independence. This project selected 10 female-headed families from four shelters located in Seoul as interviewees for case studies.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are: 1. Those who had managed to save at least \15,000,000 in various forms of assets at the time of their leaving the shelter 2. Those who currently do not carry any outstanding debts. 3. Those who have a stable source of income which is suitable to support themselves. One to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family with approximately 120 to 180 minutes taken per each interview. The content items of interviews included personal history, employment history prior to marriage, special skills, employment history during the time of their stay at the shelter, conditions at the time of their leaving, current financial situation, retirement plans, etc.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and their analysis have demonstrated that the most crucial factor for the exit from poverty of a female-headed family is the will of the female head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What the project has discovered as the contributing elements for the will of the female head are their affection for their children, their concrete plans for educating children, their own emotional maturity, their determination to endure hardships, and their ability to carry out plans. Most successful female heads did not take it for granted to receive welfare benefits but they regarded it as a temporary measure which they had to outgrow. Many of them found additional resources of help from their family ties and from the material as well as spiritual support provided by religion.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lso characterizes those successful cases.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of this project, a few suggestions for providing optimal environments for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female-headed households are in order. First, a well designed child-care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for female-headed households. Different age groups may need different support systems, such as nursing care for infants, study guide as well as counseling for school age children. Second, an efficient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hould be made easily available for them so that they move from low-paying day-to-day labor to a stable employment. Such a program should be able to pay the trainees at least minimum wages during their training period in order to make their participation possible. Third, a professional social service system is needed in order to encourage the female household heads and to enhance their chance to exit poverty. Fourth, a close network system with religious or private organizations will be helpful. Religious communities are especially helpful because they not only have rich resources for human power and financial support but they are also able to provide spiritual support for those who are experiencing alienation and emotional crisis. Lastly, a self-supporting association consisting of those current residents in the shelters and those former residents, who successfully advanced on to financial stability, would facilitate fellowship between them, provide opportunities for exchanging useful information, and encourage the former to find a good role model from the lat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내용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내용 = 4 3.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요보호모자세대 = 6 1. 개념과 유형 = 6 2. 모자보호시설 실태 = 9 3. 우리나라 모자복지 제도적 지원과 현황 = 11 4. 미국의 모자복지정책 = 14 5. 일본의 모자복지정책 = 15 B. 관련 선행연구 = 17 1. 모자세대의 문제점 및 강점 = 17 2. 자립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방법 = 25 B. 사례 선택 = 26 C. 조사도구 = 27 Ⅳ. 사례를 통한 자립과정 분석 = 28 A. 일반적 특성 = 28 1. 생애력과 결혼전 고용상태 및 기술유무 = 29 2. 모자원 입소전 경제상황과 사회복지욕구 = 38 3. 모자원 입소동안의 고용상태 및 행동, 태도 = 47 4. 모자원 퇴소시 준비와 느낌 = 52 5. 현재 생활-직업, 수입, 저축, 자녀, 건강, 생활환경, 저축 = 55 6. 장래계획과 노후대책 = 63 B. 퇴소가정의 자립요인 분석 = 69 1. 자녀 관련요인 = 69 2. 교육 관련 요인 (직업 및 기술훈련) = 71 3. 건강 관련요인 = 72 4. 종교 관련요인 = 73 5. 원가족 관련요인 = 75 6. 성격 관련요인 = 76 7. 사회적 지지체계 = 78 Ⅴ. 퇴소가정 자립과정에 대한 논의와 해석 = 81 A. 자립의지 = 81 1. 자녀애착과 자녀교육 = 81 2. 모의 독립심과 성숙도 = 83 3. 목표와 인내 = 86 4. 계획과 수행능력 = 88 B. 사회복지수혜에 관한 태도 = 90 C. 가족 지지체계와 사회적 지지체계 = 92 D. 기회의 활용 = 94 Ⅵ. 결론 및 제언 = 96 A. 결론과 요약 = 96 B. 제언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6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80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자립-
dc.subject모자보호시설-
dc.subject퇴소가정-
dc.subject요보호모자세대-
dc.title요보호모자세대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모자보호시설 퇴소가정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Process of Exit from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dc.format.pagevii, 12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