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정신지체인 보호작업시설 근무에 대한 부모만족도 연구
- Title
- 정신지체인 보호작업시설 근무에 대한 부모만족도 연구
- Authors
- 전하연
- Issue Date
- 2007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in Korean through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working in such facilities. It examined how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changes with regard to paren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ly retarded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rough such examinations, the study intended to generat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made some phone calls to find out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whose staff can be interviewed and whose services were used by mentally retarded children's parents. Then the researcher selected 17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10facilities in Seoul, 7facilities in Gyeonggi and Incheon area) and distribute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160 questionnaires(80% return rate). After discarding 10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used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3.0.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in all content of the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parents'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with resp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typ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
To the question how mentally retarded children began working in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accepted friends, relatives and children's school teachers recommended. The main reason why their children worked in the facilities was that it helped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employment. In addition, lots of respondents said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facilities, gave their families psychological and sentimental comfort. When asked about the way to facilitate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government support'.
Overall, mentally retarded workers' parents display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Parents' satisfaction scale score was an average of 2.9458, well above 50%. Especially, their satisfaction score for the program of the facilities was 2.9713, a little higher than their satisfaction score for the environment of the facilities.
Specific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work facility staff, one of the factors that decide parents'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working in the facilities,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parent age, one of par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arents' satisfaction regarding environment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one of the factors that decide parents'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 workings' in the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parents have a job or not.
Secon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work facility staff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gender, one of mentally retarded worke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reover,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of protection work fac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mentally retarded workers' academic level.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ype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n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s working in such facilities was examine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little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length of children's employment in the facilities, transportation and commuting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First, the principles of state responsibility need to be applied.
As employment protection for the disabled constitutes people's rights(labor rights and living rights) guaranteed by Korean constitution, the government has a duty and responsibility to provide support for the disabled employment protection. Therefore, it should take a variety of systematic measures to enhanc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t also needs to increase and connect facilities and institutions which can be used by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ir families and offer continuous and systematic support for the convenient use of such facilities.
Second, protection work facilities which offer disabled people protection employment should lead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Especially, the mentally retarded are not able to address and resolve problems, their parents and families, professional experts and society members work together to improv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us, responding to demand of patents whos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ork in the facilities, protection work facilities should extend the length of the disabled employment as long as possible. In addition, they also need to enhance economic activities though product diversification and sales channel facilitation to increase wages for the disabled. Moreover, they should guarantee long term employmen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to pursue self-actualization.
Third, disabled workers should receive the benefits of labor welfare through workers' rights. According to 「2007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profits created through the disabled workforce should be used for wage increase for the disabled 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s for them in the fist place. It also said that if a protection work facility fails to pay two thirds of the disabled workers more than 50% of minimum monthly wage set by the government, a disabled life facility or a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y can operate the disabled employment program instead of the disabled protection work facility. However, in reality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still being maintained, although most mentally retarded workers in the facilities are being paid less than 50% of minimum monthly wage. This indicates the disabled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still being considered as protection or welfare facilities rather than rehabilitation or production facilities. Thus, consistent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see whether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being operation according to its establishment objectives through detailed examination of facilities' working conditions such as work hours, monthly wage, and the duration of employment
Fourth, the parents whose children works in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required to work actively for th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s their children can not handle problems in the facilities due to their retarded mentality, parents should resolve the problems instead of their children. Therefore, parents should demand that the government and other similar organization provide various supports to help their disabled children to maintain employment and to become productive citizens. At the same time, they also need to 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지체인의 부모를 중심으로 현재 정신지체인 자녀가 근무하고 있는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요인, 보호작업시설 근무환경 특성요인들이 정신지체인 보호작업시설 근무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보호작업시설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전 전화연락을 통해 협조요청을 하여, 연구자의 인터뷰가 가능하거나, 연구자의 교육 후 시설종사자의 인터뷰 조사협조가 되는 곳을 이용하는 부모가 있는곳을 알아보고, 이를통해 서울시역 보호작업시설 10곳, 경기인천지역 보호작업시설 7곳, 총17곳을 선정하여 총200부를 배포하여 160부(회수율 80%)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한 총 150부의 자료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설문내용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빈도분석(Frequency)을 사용하고, 일반적 특성과 근무 형태에 따른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게 된 주된 동기는 친구, 친척, 학교선생님 등의 소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하는 중요이유로는 직업재활서비스와 취업도움을 위해서임을 알 수 있다.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함으로써, 장애인 가족들에게는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얻었다가 가장 많았으며, 보호작업시설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보호작업시설 부모 만족도는 4점 만점 척도로서, 평균 2.9458로 중간치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여 보호작업시설을 이용하는데 만족함을 나타냈다. 특히 보호작업시설의 프로그램 만족도가 2.9713로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067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부모 만족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서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 중 하나인 직원에 대한 만족도와 부모의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직업유무에 대해서도 근무만족도 중 하나인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서 장애인의 성별은 보호작업시설 이용 만족도 중 하나인 직원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장애인의 학력은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 중 하나인 환경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근무 형태가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근무 형태 중 입사 후 근무기간, 최대근무기간, 교통수단과 소요시간은 서비스이용 만족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작업시설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장애인에 대한 보호고용제도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적 권리(근로권과 생활권)이기 때문에 국가가 의무와 책임을 가지고 국가 책임주의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당연하다. 보호작업시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따라서 중증장애인의 보호고용 강화 및 다양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신지체인이나 가족들이 잘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나 기관들을 확충하고 연계하여 근무를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보호고용을 제공하는 보호작업시설에서도 근무장애인 및 부모에게 긍정적인 보호작업시설 인식을 유도하여야 한다. 특히나 정신지체인은 본인 스스로가 나서서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하는 부모나 가족 또는 전문인력이나 사회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보호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설운영에 있어서도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을 둔 부모들의 욕구에 최대한 부응하기 위해 근무기간을 최대한 확대하도록 하고, 급여 증대를 위하여 생산품의 확대, 판로 촉진 등의 경제 활동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장기간의 고용상태를 보장하여 중증장애인들이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근로장애인이 최소한 근로자로서의 권리를 통하여 근로복지의 혜택을 누려야 할 것이다. 「2007 장애인복지사업안내」에 따르면 근로를 통해 발생하는 이익금은 근로장애인에게 보다 많은 임금을 지급하거나 복리후생을 개선하는데 우선해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근로장애인의 3분의 2이상에 대해 최저임금의 50% 이상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호작업시설 보다는 장애인생활시설이나 지역사회 재활시설의 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대부분의 정신지체인이 최저임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임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침과는 별개로 장애인 보호작업시설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 이는 보호작업시설이 아직도 재활이나 생산시설이 아닌, 보호나 복지시설의 역할을 하는 시설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근무시간, 월평균임금, 근무기한등의 근로조건과 운영 현황을 세밀히 파악해 시설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근무 장애인을 자녀로 둔 부모들의 당사 주의적 입장에 의해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한다. 정신지체인의 경우 장애특성으로 인해 부모들이 실질적인 이해당사자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모들이 장애자녀들이 지역사회 내 직업과 근무를 통한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적극적인 의미에서 생산적 시민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정부나 유관기관에 요구함과 동시에 보호작업시설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