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유경-
dc.creator권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5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5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본질적 표현 형태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함축적이고 명쾌한 평면구성을 현대자수작품에 적용하여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조형공간을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하학적 형태는 인간의 이지적인 사고체계에 의해서 창조된 자연의 형태 혹은 정제된 형태이며 현대인의 합리성을 대변해주는 의식의 단편이다. 기하학적 형태가 가지는 공간표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20세기 구성주의의 이론과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형과 형태의 의식을 알아 보았다. 또한 형태를 표현해내는 방식에 있어서 기하학적 형태는 환원된 사물의 본질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러한 사물을 인식하고 표현해 내는 과정에서는 분석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형태와 배경이 공(共)개념적인 공간(空間)으로 설정 되 주제와 배경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화면 안에 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서 염색된 바탕천과 수가 놓여지는 자수면의 조화가 주제와 배경이라는 전후 관계가 아니라 같은 공간의 개념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질감의 강조 보다는 매끄러운 평면위에 실크와 견사의 광택을 이용해 공간 안의 빛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이 기하학적 형태를 자수작품에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조형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하학적 형태는 그 고유의 합리성을 통해 자수작품의 간결하고 명쾌한 느낌을 주는 데 적합한 형태이다. 기하학적 형태는 회화나 조각 그리고 건축에 이르기 까지 현대의 조형예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형태가 주는 간결함은 현대 미술로서의 자수작품의 특성을 새롭고 다양한 각도로 인식케 한다. 둘째, 자수작품의 제작에 있어서 실은 굵기 조절이 가능하며 실이 놓여지는 방향과 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자수작품에 있어서 실이라는 재료만을 가지고 부조적 또는 입체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자수작품에서 실의 굵기는 자유롭게 선택해서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실의 굵기에 따라 부조적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재료가 된다. 또한 실의 굵기는 부조적 표현 이외에도 꼬임의 정도에 따라 광택의 느낌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질감을 나타낼수 있다. 견사의 경우 실이 놓이는 각도에 따라 빛을 반사하는 정도가 다르다. 다시 말해 실이 수평으로 놓일 경우 견사의 광택이 가장 밝게 보이며 수직일 경우 가장 어둡게 보인다. 사선일 경우에는 밝음과 어두움이 함께 나타나는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어두워진다. 특히 60°정도의 각도에서는 그 은은한 광택의 변화가 가장 아름답고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셋째,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자수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Frame이 작품 속에 적극적인 선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음으로써 공간의 확장을 유도할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는 즉, 곡선에 의해 조형되어지며 Frame을 이용한 선의 처리는 기하학적 형태의 확장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이 기하학적 형태를 자수 작품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간과할 수 있었던 재료의 특징을 확인하고 응용함으로써 빛의 느낌을 통한 공간 표현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기하학적 형태가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범위를 넓혀 줌으로써 Frame에 의한 공간 확장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ll human express themselves. Expression is an active conduct for communicating one's ideas. It is not only human who possess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imals and plants also have means of communication. It may be expressed through sensual functions such as sound and color, form and tactile sensation, or fragrance and temperature. Visual af is an expressional languag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form and color and is a way of perception that can explain visual thought. This study aims to create a formative space through geometric forms(a basic form of object), using simple and explicit geometric plane composition in contemporary embroidery work, Geometric form is a natural or refined form created by the human conceptual system and is a facet of the consciousness that speaks for the rationality of modern man.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of geometric form, the writer reviewed the theory of 20th century constructivism and the consciousness of shape and form through the works of the constructivists. Geometric form expresses the essence of a reduced object. Objective and analytical elements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is object. The artwork composes simplified human form and the background in one composition, focusing on the main theme and the background coexisting in a single space. The dyed fabric and the embroidered surface are set in a single spatial concept rather than a theme and background relationship. The works focus on expressing the spatial light through the flat and smooth silk surface and the luster of the silk thread rather than emphasizing the overall tex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form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pplying geometric forms in embroidery. First, geometric form, through its essential rationality, is an appropriate form of expression to give a simplistic and explicit feeling to embroidery works. Geometric form greatly influences the modern formative art, from paintings, sculptures and architecture and the simplicity of its forms can be recognized in embroidery as modem art, eliminating the decorative aspect of classical embroidery. There are a few essential instruments in employing characteristic of the fabric, materials to prevent spreading must be employed and in using the instruments(e.g.- ruler), the fabric must be tightly fixed onto the tambour to draw straight lines. Secondly, the thread, as a material to express geometric forms through embroidery techniques, is suitable to express the basic forms of dot, line and space. The thickness of the thread can be easily manipulated and dots and line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itch. The thread is a material that is directly influenced by force, which is the formative element of a line. Thirdly, the expression of geometric form through embroidery techniques allows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of what is essentially aflat surface. Two dimensional painting uses object as a means to express realistic three dimensionalism while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in embroidery is somewhat different: styrofoam or other objects are placed on the fabric and are embroidered over to give a three dimensional feeling. Fourthly, the frame can induce spatial enlargement through being expressed as an active line, as a part of the art work. The use of the frame to outline the work is an extension of geometric forms, which is created through straight and curved lines. In applying geometric forms to embroidery works, confi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helped efficiently create the spatial expression through light. Also, the use of the frame to exp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geometric forms presented the potential of spatial expan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기하학적 형태의 역사적 고찰 = 3 1. 구성주의 이론 = 3 2. 구성주의 작가 = 5 B. 기하학적 형태와 공간 = 10 1. 기하학적 형태 = 10 2.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공간 = 18 C. 현대자수에 있어서의 기하학적 조형 표현 = 22 1. 현대자수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형태 = 22 2. 현대자수 작품의 조형적 공간표현 = 23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39 A. 작품 제작 = 39 B. 작품분석 = 43 Ⅳ. 결론 = 56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152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하학적-
dc.subject형태-
dc.subject조형공간-
dc.title기하학적 형태의 조형공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수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rmative Space by Geometric Form : based on embroidery works-
dc.format.pageix, 6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