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한국산 풀솜대속(Smilacina desf.)식물의 형태분류학적 연구

Title
한국산 풀솜대속(Smilacina desf.)식물의 형태분류학적 연구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과학과
Keywords
한국산풀솜대속식물Smilacina desf형태분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산 풀솜대속 식물(Smilacina Desf.)로 발표된 자주솜대(S. bicolor), 민솜대(S. davurica), 풀솜대(S. japonica), 왕솜대(S. japonica var. mandshurica)와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S. robusta의 종간, 집단간 변이와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34개의 정량적 형질과 25개의 정성적 형질을 바탕으로 외부 및 내부형태학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을 위해서 외부형태학적 형질들 중에서 상관이 있는 형질을 제외한 정량적 형질의 측정된 치수를 사용하였고 정성적 형질은 0,1,2의 형질상태로 구분하여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줄기모용의 유무, 염병의 유무, 잎표면 모용의 유무, 잎맥의 표면형태, 잎의 상표피세포 형태, 화경의 표면형태 등이 분류군을 구분하는 중요한 형질임이 밝혀졌다. 지리산과 백두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주솜대가 덕유산에도 분포하고 있었으므로, 남한에서의 자주솜대의 분포지가 지리산에 국한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및 러시아 도감에는 염병이 없는 것이 민솜대의 중요한 분류형질로 나타나 있으나, 국내도감에 기재되어 있는 민솜대에는 염병이 있고 영양기관의 형질, 화서, 화분의 표면무의에 있어서 중국산 민솜대보다는 자주솜대와 더욱 유사하여 자주솜대의 변종으로 처리하여 S. bicolor var. flavovirens N. Lee & J. Kim(연두솜대)로 명명하였다. 풀솜대와 외부형태학적으로 유사하나, 전형적인 풀솜대에 비해 식물체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았던 제주도집단과 줄기에 모용이 분포하지 않았던 계방산 및 오대산 집단은 지하경, 줄기, 잎, 화서 및 화부구조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형질이 전형적인 풀솜대집단과 유사하므로 동일중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풀솜대의 변종으로 되어있는 왕솜대는 식물체의 길이, 잎의 상표피세포의 크기와 형태, 잎맥의 표면형태, 자방의 길이에 대한 화주의 길이(ratio), 주두의 형태에 있어서 풀솜대와 구분되었다. 또한, 일본에 분포하는 S. robusta Makino & Honda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어 미기록종임이 확인되어 한국명을 큰솜대로 신칭하였다. 큰솜대의 잎과 암술의 특징은 왕솜대와 같으나 지하경의 특징에서 왕솜대와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었다.;The morphological study about the genus Smilacina in Korea was done. The materials were 4 species. S. bicolor, S. davurica, S. japonica, S. robusta and I variety, S. jaonica var, mandshurica. The variation and relationship among these taxa were studied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s. Thirty four quantitative characters an twenty five qualita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For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quantitative characters except correlative characters and qualitative characters presented numerically by the character state 0,1,2 were used. As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key characters of Smilacina were whether hairs are on the stem of not, whether petiol is present of not, whether hairs are on the leaf surface of not, surface pattern of abaxial leaf vein, shape of adaxial leaf epidermal cells and surface pattern of pedicel. S. bicolor has been known to be distributed in Mt. Chiri and Mt. Paekdu but it is also distributed in Mt. Dukyou, so i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bicolor in South Korea is not limited in Mt. Chiri. The key character of S. davurical is that it doesn't have the petiol of leaf, but S. davurica described in Korean flora has the petiol of leaf and it is more closely related to S. bicolor than S. davuric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vegetative characters, inflorescence type and surface pattern of pollen. There were two taxa which were similar to typical S. japonica. One is S. japonica collected form Cheju Island whose total length is shorter than typical S. japonica and the other is X-group, hairs are not distributed on the stem of this group, collected from Mt. Odae and Mt. Gyebang. Finally, these two taxa were inclued in S. japonica based on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typical S. japonic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rhizome, stem, leaf, inflorescence and floral parts. Total length, shape and size of adaxial epidermal cell, surface pattern of leaf vein, ratio fo length of style to ovary and stigma type are good characters to distinguish S. japonica and S. japonica var. mandshurica. And S. robusta Makino & Honda which has been known to be distributed in Japan was found to be distributed in Cheju Island. S. robusta is similar to S. japonica var. mandshuric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f and pistil but differ from S. japonica var. mandshurica by the rhizome charac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