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2 Download: 0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Mother's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arenting Behavior
Authors
하유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mother's adult attachment, negative emotions,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arenting behavior. Recently, attachment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adult attachments could be described in terms of two orthogonal dimensions(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adult attachments by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nd to find out which path leads to parenting behavior through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Participants were 735 mothers of 3-to 5-year-old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nursery and kindergarten or home schooling centers in Seoul and 5 metropolitan areas(M age=33.87yrs; SD=3.4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mothers. For data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were appli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735 mothers, 34.6% were classified as secure, 28.2% were classified as fearful, 19.6% were classified as dismissing, and 17.7% were classified as preoccupied by ECR-R’s norm. Secon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model found that it was fit to the data and resulted in good fit indices. This means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measurement model is applicable for use mother with preschool children from 3 to 5 years of age.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mother’s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arenting behavior. The fina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fit to the data and resulted in acceptable model fit indic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th analysis,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had different path on parenting behavior. Specifically, anxiety attachment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Theses indirect paths were mediated by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but anxiety attachment had not direct effect on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the other hand, avoidance attachment had not direc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and had indirect effect perfectly mediated by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Also, while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had direct effect both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These results meant that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Also, it was revealed that anxiety attachment had a greater impact on negative emotions and avoidance attachment had a greater impact on emotion regulation styles.;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을 포함한 전국 6개 대도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735명으로 평균 연령은 33.87(SD=3.41)세이었으며,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ennan 등(1998)이 ‘불안’과 ‘회피’의 두 차원으로 개념화하여 측정하도록 구성한 친밀관계 경험척도(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를 개정한 ECR-R(Fraley, 2000)을 김성현(2004)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성인애착을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부정 정서 중 우울은 Radloff(1977)의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척도를, 분노는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와 Spielberger(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 표현 검사(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중 특성 분노(STAXI-T)만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윤석빈(1999)의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성연·이숙(1990)의 양육행동척도와 Block(1984)의 CRPR(Child Rearing Practice Report)을 참고로 하여 유우영(1998)이 제작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기초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론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분석을 위해 우선 어머니의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부정 정서, 정서조절양식 및 양육행동의 각 측정변인과 잠재변인의 관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 지수를 보여 본 연구 자료를 통해 양육행동에 관한 이론모형을 개발하기에 적절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부정 정서, 정서조절양식 및 양육행동 간의 이론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분매개모형인 이론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을 비교한 결과, 이론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의 이론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최종 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불안애착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하여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양식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머니의 회피애착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하여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양육행동에 서로 다른 경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양식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양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서로 다른 경로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양육행동을 하고자 하는 어머니들에게 애착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한편, 부정 정서를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부모상담과 교육의 기초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