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3 Download: 0

수묵화의 현대적 추상표현

Title
수묵화의 현대적 추상표현
Other Titles
Modern Abstract Expression of India Ink Painting
Authors
金昭希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수묵화현대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유(思惟)를 형상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본원적인 의식의 심연(深淵)에서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라고 본다. 본인이 경험한 모든 것은 내면안에 어떤 흔적을 남겨 놓았고 그것들은 어디론가 흘러갔지만, 본인의 의식 안에서 어떤 변형된 모습으로 살아있다. 움직이는 생명체, 특히 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을 만큼 느리지만 끊임없이 계속되는 자연의 생성과 성장, 그 생명의 순환에 주목하게 되었다. 자연의 보이지 않는 움직임과 내재된 힘 속에서 본인의 내적 경험을 필묵을 통해 화면에 솔직히 드러내는 작업을 꾸준히 시도해 보았다. 이렇듯, 본인이 경험하고 사유하는 내면안의 본질이 작품이라는 視覺의 세계를 통해서 어떻게 표현되어야 하는지의 답을 얻고자 노력했다. 동양화의 현대적 표현 연구는 동양의 역사속에서 그 해결책을 모색해야 된다고 보고, 본인은 옛 선인들이 작품에 있어서 시각적인 감각과 정신을 어떻게 만족시키고자 했는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러한 관심이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形似의 기본에서 시작하는 필묵이 단지 필묵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필묵속에서 寫意가 함께하는 氣韻의 단계에 이르고자했던 동양미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가는 대상을 시각과 더불어 대상의 보이지 않는 내부의 본질까지 파악함으로써, 形似에 氣韻을 불어넣고 더 나아가 작품에 작가의 내면적인 정신을 나타낸다. 이때 화면상의 氣韻은 필묵으로써 표현되므로 形似와 寫意의 조화를 이루려는 氣韻生動으로의 선의 중요성은 동양미술의 특성이다. 이처럼 氣韻生動은 한 작품의 전체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작가의 정신이 일필일묵 사이에 집중해 形似를 나타냄으로써 대상과 작가가 서로 융합되어 작가의 정신이 작품의 전체적인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이에 작품에 있어서 본인의 감정과 의지의 표현을 자연이라는 대상에 융합시키고자 했고, 수묵의 선묘를 통해 추상적 형상을 표현함으로써 동양화가 지닌 기운을 바탕으로 한 표현적 특성을 현대적인 각도에서 추출해내고 연마시키고자 하였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본인의 작품은 자유로운 필선과 생명력을 암시하는 선의 결합이 이루어내는 墨面의 형상으로 인간에서 자연으로 환원하는 작업이다. 이런 본인의 노력은 서양미술에 길들여져 동양미술을 시각예술이라는 좁은 견지에서 보아, 추상이라는 흐름앞에 동양화가 서구 추상화의 일종으로 종속되어 우리가 갖고 있는 귀중한 전통을 스스로 져버리는 오류를 극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작품계획과 그 실천에 있어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으나, 동양화의 중심적 매제인 水墨이 지니는 표현의 가능성과 작품에 내재한 동양적인 정신세계의 현대적 수용에 대한 탐색을 연구하여 본인의 작품에 대한 반성과 함께 발전의 기회로 삼고자 하는데 본 논문은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Making shape of thinking seems a matter of how and what to express out of very essential abyss of consciousness.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continuously attempted to reveal her inner experiences through the invisible movements and inherent power of nature frankly on canvas with brush and ink. Consequently speaking, she has tried to get answers of the problem of how essential quality through which human beings experience and think something can be expressed into something visible through the visual world of ar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Painting, in which brush and ink is not confirmed to painting only but has outstanding elegance with spirit will be discussed. As the author realizes the visual object as well as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inner part. The outstanding is involved in the elegance, and the work is reacted the artist's spirit. And the elegnace shown on the work is expressed with brush and ink. The importance of the elegant line which matches with the outstanding and the spirit is the character of the oriental art. Therefore the elegance is shown as the total image of one work. The artist's work combined one with the object on the canvas and finally the spirit is expressed. The author of this study tried to harmonized her expression of feeling and will with the object of her work, nature, and to extract and cultivate expressional traits from modern point of view based on the elegance contained in Oriental Painting by present abstract forms through the line description of India ink painting. The author's effort is to overcome the misunderstanding about Oriental Painting which has often been regarded as somewhat narrower field than Western's, and that abstraction is mainly subordinated to the Western art, therefore renouncing our precious tra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