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요인 인식에 따른 Brown의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

Title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요인 인식에 따른 Brown의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
Authors
백은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중고등학교가정과 교사교육과정Brow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s preference by curriculum elements of home economic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home economic(H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in the area of Seoul, In-Chon, and Keungi. Data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and contingency coefficient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majority of HE teachers respondents preferred Practical Reasoning HE Curriculum Design about the following curriculum elements : Purpose of HE education, knowledge, subject matter, teaching method, society and culture, learner, learning atmosphere, and HE teacher's role. However, most of HE teacher respondents preferred Technical HE Curriculum Design about the elements of questions to be addressed through HE cumculum. Second, the Chi-square values between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 teachers and preferences for three curriculum designs by three curriculum elements, purpose of HE education, questions to be address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ree wa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three were differences of curriculum designs pre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HE teachers and high school HE teachers value for expected frequency was less than five.;본 논문은 Brown이 분류한 세 가지 교육과정 모형(기술적 모형, 자아실현 모형, 실천적 추론 모형) 구성 요인에 대한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요인(가정과 교육의 목표, 지식, 교과내용, 학습동기, 교수방법, 사회와 문화의 입장, 학습자의 존재, 학습분위기, 강조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질문,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따른 Brown의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를 알아본다. 둘째,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에 따른 Brown의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에 따른 Brown의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의 시에 근무하는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 300명이다. 우편회수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Chi-Square, contingency coeffici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는 다음의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대해 실천적 추론 모형을 선호했다: 교육목표는 학습자에게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길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지식은 알아야할 것과 알아가야 하는 방법에 따라 전개되어야 한다; 교과내용은 학습자들이 실제로 부딪치는 문제들을 다루며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내용을 강조해야 한다; 학습동기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사고 과정을 통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교수방법은 학생들끼리 서로 돕고 참여를 높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와 문화에 대한 입장은 인간에 의해 창조되고 발달되어야 하며; 학습자는 독립적으로 비판하고 창조적으로 사고하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도덕적으로 책임을 져야하는 존재여야 한다; 학습 분위기는 협동 학습 분위기이다; 교사와 학습자는 상호작용적인 존재이다; 교사는 안내자의 역할을 해야한다;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응답자들은 실천적 추론모형을 선호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강조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질문에 대해서는 기술적 모형을 선호하였다. 둘째, 가정과 교사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세 교육과정 구성요인인 가정과 교육목표, 교수방법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해야하는 중요한 질문의 인식에 따른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와의 Chi-Square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고등학교 가정과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따른 모형 선호도의 차이에 대해서 한 셀의 기대 빈도가 5 이하였기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증거가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