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4 Download: 0

사회복지기관 후원자의 후원지속기간과 후원노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기관 후원자의 후원지속기간과 후원노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donor continuation period and philanthropic effor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uthors
원치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사회복지기관후원자후원노력후원지속기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Non Governmental Welfare resources and managerial dimensions; impacts of donor continuation period and philanthropic effort on out comes of actual donation have been attended. The most essential element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donation considered are the period of donation and philanthropic effort. In the light of this interest, actual effects of demographic, socioeconomic attributes, and degrees of other donor involvements and donor satisfaction on the two variables of the activation of donation have been predicted to find the more effective ways to manage donors. Five-Likart scal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1,000 Korean 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K.F.H.I.) donors---500 each from the two groups of donors who have continually supported K.F.H.I. since and stopped after 1997. 225 of them have returned. As a means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effect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PSS 10.0, Multi-Regression, T-test, and X^(2) test have been acquired.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and suggestions are made accordingly to improve donor management for increase of donor participation: First, unlike some previous studies on the matter, this study measures the effects of the sam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future use. Secondly,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demographic attributes of donors in reality, it might be best to distinguish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provide differentiated managerial strategies respectively. Thirdly, donation-transfer and payment-methods and the satisfaction on donor managerial activities a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iod of donation continuation. Therefore, by encouraging donors to use regular automatic banking transfers monthly and increasing the trust of the organization with monthly issues on current events of the organization,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donors can be maintained. Fourthly, in the case of donor satisfaction, as one of facets of desire satisfaction of donor participation, social responsibility needs to be considered and to promot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strategies to enhance its trust is needed. Fifthly, upon the conclusion that a majority of donors have begun their participation via public promotion, newsletters, public media, internet, and other various metho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be continually used to advoc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ir activities as a means to develop active publicity. Sixthly, it has been concluded that as the incomes of individuals increase, the donor participation decreases. But as the desire satisfaction increases, donor participation increases. This finding implies that as individual and households incomes increase, strategies to continually motivate donors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are needed. So by donors satisfaction increases and motivating strategy is adopted so then would be his/her income. Lastly, as managerial satisfaction increases, donor maintenance period and participation also seem to increase. This implication can indicates that by systemization of regular donation transfer and payment methods, and ramification of donors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motivation of donors, they can be managed in various way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In the following,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in continuation of this study have been made based on it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re exists som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 in that subjects are limited to one organization. Especially, it has a strong tendency in Christianity that study on differentiations of religious and donor motivation cannot be found. But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vision or the belief it pursues on donor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 needed and in what degree these factors affect the period of donation and philanthropic effort needs to be studied in detail. Secondly, unlike the sampling method of differentiating the donor stopped and donor continued, the returned is biased/ concentrated on the donor continued. Furthermore the donor stopped are generally those who stopped very recently.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stopped with the definite reason are those who responded. Henceforth, by increasing the returned rate of the slopped, actual reasons for donor stopped can be learned. By doing so, desires of donors can be accurately found and their future managerial strategies can be assessed. Thirdly, in the shortage of prior studies, without the subject specification, the predicting elements of donor continu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have been studied. In the future, in order to obtain detailed results, it is necessary to specify donor subjects to see the effects of their differences in its following studies.;사회복지 영역에서 민간자원 동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져 왔다. 최근 우리나라 사회조직들의 재정에 있어서 정부에 대한 의존도는 점점 낮아지는 반면, 일반시민 및 기업을 포함하는 민간복지 자원에 대한 의존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비영리 조직에서 후원자가 최고의 자산'이라는 사실에는 동의하지만, 새로운 후원자를 개발하는 것 만큼 기존의 후원자 관리에 대해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후원자 관리의 성패는 중단후원자의 최소화에 달려있다. 즉, 후원금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길 수 있는 것이 후원 지속기간과 후원노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후원자의 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후원활동, 후원활동 만족도등의 특성들이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해 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후원자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의 대상은 100% 민간자원으로 국내외에서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인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의 후원자 중 지속자와 중단자를 대상으로 각각 500명에게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SPSS 10.0을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응답자 225명을 통계분석 하였다. 주요통계방법은 빈도분석, 백분율과 같은 기술적 통계방법과 X^(2) 검증, t-test,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원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인구학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55.2%로 남성 44.8%를, 연령은 40대가 32.7%, 30대가 30.9%로 30-40대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종교는 기독교가 88.3%로 나타났다. 이러한 종교적 성향의 분포는 본 연구대상자들이 기독교 성향의 단체인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를 표집으로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로 파악된다. 사회·경제적 특성은 직업에서는 가정주부가 22.3%로 가장 많았고, 회사원, 전문직, 공무원의 순으로, 가정주부를 제외하고는 전문직, 회사원등의 비중이 높아 안정적이고 고정된 수입을 갖는 사람들의 참여가 보다 활발함을 알 수 있다. 학력에서는 과반수 이상(68%)이 대학교 이상의 졸업자 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 전반의 전체적인 학력수준의 증가와도 맞물려 생각해야 할 문제로 파악된다. 개인 평균소득은 1백만원에서 2백만원이하가 43.3%, 2백만원에서 3백만원이하 17.2%, 1백만원에서 3백만원 사이의 소득자가 전체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가구 평균소득은 1백만원에서 2백만원이하가 28.5%로 가장 많지만, 2백만원에서 3백만원이하가 25.2%로 가구 평균소득 또한 1백만원에서 3백만원 사이에 있는 사람들로 조사되었다. 가구구조는 기혼이 70.5%, 미혼이 25.5%이며, 가족이 활동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는 86.6%이다. 또 인지하는 경우, 긍정이 67.6%, 참여를 원하는 경우가 27.6%로 나타났다. 후원자들의 후원활동 특성으로 후원종류는 일반후원과 해외아동결연 후원이 각각 44.6%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후원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39.3%가 홍보물을 통해, 대중매체 광고(16.1%)와 기판의 이벤트(3.1%)를 합하면, 과반수 이상이 기관의 홍보노력에 의해 시작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후원동기는 '종교적 가르침을 실천하고자'가 42.4%, '나보다 어려운 환경에 있는 사람을 돕고 싶어서'라고 응답한 비율도 42%로 나타났다. 후원금 송금방법은 자동이체가 63.8%, 지로납부는 33.5%이며, 자동이체 중에서도 은행자동이체가 78.0%로 가장 많았고, 납부방식은 85.3%가 매달 정기적으로, l2/l%가 부정기적으로 보내고 있다. 개인후원액은 2만원에서 3만원미만이 53.8%로, 1만원에서 2만원미만은 23.7%로 대다수가 1만원에서 3만원 사이를 후원하고 있으며, 가족후원액은 2만원에서 3만원미만이 47.3%로 줄어들면서 3만원에서 4만원 미만이 17.8%로 늘어나고 있다. 기관의 후원관리 활동에 대해서는 94.7%가 후원을 시작한 후 후원기관으로부터 회지의 발송이나 행사초대 등을 받아본 일이 있다고 하였고, 후원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가 66.7%, 매우 만족하고 있다가 19.1%로 전체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후원자들의 후원만족도를 기관만족도와 욕구만족도로 나누어 살펴보면, 각각의 만족도 점수가 높은데, 기관만족도가 욕구만족도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 만족도를 5개의 하위 항목으로 나누었을 때, 사회적 책임감에 관한 욕구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과 존경의 욕구가 가장 낮은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후원지속 이유는 종교적 소신이 62.2%, 중단 사유는 경제적 사정이 60%로 가장 많았고, 후원지속중 후원기관은 1인당 평균 2.6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기관 또는 단체를 기준으로 개인의 월 후원금액을 개인 월 평균 소득으로 나누어서 얻어지는 후원노력의 분포를 보면, 그 중간값이 1.3%, 평균은 2.3%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 연구질문에 대한 검증을 위해 인구학적특성, 사회· 경제학적 특성, 후원활동 특성, 욕구만족도 등의 독립변수군별로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 되었다. 첫째, 각 변수와 후원활동 지속자와 중단자를 비교분석해 보면, 인구학적 특성의 경우는 연령에서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결혼여부, 가구소득과 가족구성원 후원인지 여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후원활동 특성에 따르면, 후원금 송금방법과 후원자 관리활동에 따라 후원활동 지속자 집단과 중단자 집단간의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금 송금방법에 있어서 자동이체로, 매달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종류의 후원관리 활동을 접하게 될 때, 후원활동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만족도는 기관만족도에서만 후원지속자 집단이 중단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수와 후원노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후원노력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평균이상의 후원노력을 하는 후원자와 평균이하의 후원노력을 하는 후원자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개인소득, 결혼여부와 가구소득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혼여부에 미혼의 경우, 보다 많은 후원노력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변 후원여부에 따라 후원노력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후원활동 특성에서는 후원관리 활동에 대한 만족 정도에 따라 후원노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만족도와 후원노력 정도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욕구만족도에 따라 후원노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별히 욕구만족도 세부항목 중에서 자아성장 욕구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은 욕구만족도가 후원노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χ^(2) 검중과 t-test 분석결과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후원지속 요인으로는 연령, 가구소득, 결혼여부, 가족인지, 후원관리경험, 후원관리만족도, 송금방법, 납부방식, 기관만족도 등의 9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고, 후원노력 요인으로는 개인소득, 가구소득, 결혼여부, 주변후원, 후원관리만족도, 욕구만족도와 같은 6가지 요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요인들이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후원활동에 대한 예측요인 변수가 후원지속 기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가구소득과 결혼여부, 기관의 후원관리와 만족도, 납부방식에 있어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구소득과 후원활동 지속여부가 비례한다는 점이다. 후원노력에 대한 예측요인변수가 후원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개인소득과 욕구만족도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후원자들의 후원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후원자의 결혼여부와 가족인지여부, 후원금을 납부하는 방법, 후원자가 기관에서 해주는 관리활동에 관한 만족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소득과 욕구 만족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작업들을 통해 후원자들의 후원기간을 지속시키고, 후원노력을 높임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후원자를 개발하고 관리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함의는 민간자원을 동원하여 후원사업을 하는 기관들에게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선행연구에서는 후원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로 대상을 다르게 하여 각각 연구하였으나, 동일한 대상자에 두 종속변수에 같은 독립변수를 설정하여 파악해 봄으로써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실제적으로 후원자들을 관리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에 관한 것이다. 우선 후원자들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은 기관이 통제하기는 어려우나, 세분화하여 각각 다른 전략을 세움으로써 후원자를 관리하는 전략을 세워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난 후원금 송금방법과 납부방식, 후원관리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로송금보다는 은행자동이체로 매월 정기적으로 송금하도록 유도하며, 기관지를 매월 정기적으로 발송하여 기관의 활동을 알려주므로써, 기관의 신뢰도를 높이고, 후원자의 관심이 끊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후원관리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후원 지속기간이 늘어남과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넷째, 후원만족도의 경우 후원행위에서 얻을 수 있는 욕구충족으로서 사회적 책임감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며, 기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기관의 신뢰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과반수 이상이 기관의 홍보를 통해 후원활동을 시작했다는 결과는 앞으로 사회복지기관이 기관의 소식지, 대중매체, 인터넷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기관의 활동과 사회적 책임의식 등을 알리는 등 활발한 홍보활동으로 민간자원을 동원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개인의 소득이 늘어날수록 후원노력이 줄어들고, 욕구만족도가 높을수록 후원노력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의 소득과 가구의 소득이 늘어날 수록 후원금을 증액할 수 있는 동기를 꾸준히 일깨워주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후원자의 욕구만족도를 높여주므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후원액도 증가할 수 있는 동기를 심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 기관에서 행하는 관리 만족도가 클수록 후원지속 기간과 후원노력이 높아짐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이는 후원자가 후원금 납부를 규칙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고, 후원자에 대한 data를 철저히 분석하여 연령별, 직업별, 후원동기별 등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다양한 후원자 관리활동을 통해 후원자로부터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해 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