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계숙-
dc.creator문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and its problems. This study will also show the reform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aspect.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problem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are the relevant particulars which are related to HSP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Among all the records, 72% of them are remained as medical records while medical social work records occupied the rest of the total. In this occasion, intake secured a high position while progress note, consultation, and conclusion note occupied just little portion of all. 41% of all respondents answered they cannot record fully and completely even though medical social work serviced ought to be recorded substantially. In the aspect of the recording method, respondents appeared to prefer problem-oriented record and progress record However they did not fully aware of each term and it characteristic. Next let's look into the matter of aspect of the deadline,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sultation should be done in 3 to 4 days after the request, and intake should be done in 5 to 10 days. Progress note ought to be reported at least once in every other day. Conclusion nose, the final stage, must be recorded in a weak after patient's discharge. Time required does not exceed 120 minutes usually, but it amount of work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ime required is about 50 minutes or below, It takes almost a year to attain proficiency is medical social work record. These records are remained as written form as well as computerized form. Most of the respondents regarded recording work as important but some did not, In this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medical social work record and clinical business, respondents showed two different points of view-one is affirmative and the other is negative. The former claimed that substantial records can be a measure of conducting business ability. They also said workers self-awareness and techniques could be enhanced by recording system, Meanwhile, the latter manifested their dissatisfaction on recording system. That is because it takes them too much dine to record all the data. Plus, they could not get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proficiency in medical social work record. Second of all, 96% of respondents replied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is essential. Among them, however, only 68% have experience of education in that field. Educational institutes are divided into medical field institute(31%), medical social work internship training institute, and each college. Medical social work internship training institute was the most widespread one. More than 86%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surely helps thorn to carry out their work. Most of the people those who did not get proper education or training said they were supervised by their predecessor. Trainees considered the medical social work internship training institute was the most helpful of all.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and clinical business surely do exi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OVA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and the period of time to master the record system,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institute have an effect on the period of time. And the amount of time is reduced when the trainees get their education or training step by step each college, medical field institute, medical social work internship training institute, and at last, the clinical business. Major subjects on a school curriculum were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Medical Social Work, and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Generally, the recording methods such as progress record, problem-oriented record, narrative record, and essential recording were instructed. Meanwhile, many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regular school education did not help them at all. There were a couple of reasons for that. Firstly, they claimed they could not apply their fragmentary knowledge the practical business, Secondly, there was no retraining program which is continuous and efficient. Problem-oriented recording method is used for education by 59% of the total number. They prefer this recording method because it has a couple of merits such as clearness of assessment, brevity of document, and smooth communication with experts in other fields. On the other hand, 41% of the people those who do not use the problem-oriented recording method answered they did not get proper education in that field before. The present study has shown reform measures which can improve the educational condi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The suggestion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are as follow: Firstly, consolidating of the recording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s in an urgent need. Secondly, continuous retraining of the social work record ought to be activated. Lastly, a guide book which specify the minimum rate of standard on the matter of the medical social work should be arranged.;의료계에서는 의학교육의 질적 개선, 의료의 질 향상, 총체적인 질 관리 개념으로 발전하여 적용되고 있는 병원표준화심사 등을 통하여 의료사회사업 업무의 질에 대한 평가가 점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기초연구로서 의료사회사업 기록과 기록교육의 현황,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는다. 첫째, 의료의 질,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 사회사업 기록방법 유형 등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고찰한다. 둘째, 병원표준화심사와 관련된 의료사회사업 기록 사항, 의료사회사업 기록방법,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회송, 의료사회사업 기록이 실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현황,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과 보수교육 등에 대한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보건분야의 학제간의 협력 증진과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문제지향식 기록 방법의 사용과 교육에 대한 현황 은 어떠한가? 다섯째,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기록에 대한 학교와 실무기관의 교육을 통한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제22차 의료사회복지사협회 Workshop'에 참석한 의료사회복지사협회 회원인 의료사회복지사 128명중에서 8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료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미비하여 Kagle이 기술한 '사회사업 기록', 2001년도 병원표준화심사요강, 유수현의 '종합병원내 의료사회사업가의 전문적 지위에 관한 연구' 논문, 미국의 뉴욕병원 사회사업과 의무기록 규정 중에서 기록부문을 참고로 하여 조사하였다. 현재, 의료사회사업 기록 현황과 기록교육 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관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병원표준화심사와 관련된 의료사회사업 기록 사항으로 의료사회사업 부문의 기록이 의무기록과 부서내 기록, 의무기록으로 남기는 경우가 72%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사례진행기록이 사회사업기록부문의 기록으로 관리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조사결과, 면접기록 보다는 진행기록, 협의기록, 종결기록이 낮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표준화심사에서 요구하고 있는 의료사회사업 서비스 내용이 모두 충실하게 기록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41%가 기록을 전부 남기지 못하고 있다라고 조사되었다. 의료사회사업 기록방법(의무기록)에 대한 현황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무기록의 방법으로 현재 사용하는 기록방법과 바람직한 기록방법은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문제지향식 기록방법, 과정기록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의료사회사업 기록에서 바람직한 기록 방법의 명칭과 그 특성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의료사회사업 기록 회송 기간의 현황을 살펴보면, 협의의뢰기록의 회송기간은 의뢰된 이후 3∼4일 이하, 면접기록은 5∼10일 이하, 경과기록은 2일에 1회, 종결기록은 퇴원후 일주일이내에 주로 의료사회사업 기록을 남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의료사회사업 기록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60∼120분 이하, 의료사회사업 업무량을 고려하여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기록 시간은 60분 이하, 직위에 따른 집단별 평균 기록 소요시간의 차이 여부는 수련의료사회복지사가 선임의료사회복지사와 일반의료사회복지사에 비하여 각각 73분, 52분 정도 의무기록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사회사업 기록(의무기록)을 작성하는데 있어 업무 숙달 기간은 1년 정도, 기록방식은 문서화와 전산화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의료사회사업 기록이 실무에 미치는 영향으로 의료사회사업 직무중 기록의 중요도에 대한 조사결과, 대부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의료사회사업 기록이 임상실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순위 결과, 1순위는 '기록은 실무능력을 반영하다.', 2순위는 '자기인식과 전문적 기술을 향상시킨다.',라고 조사되었다.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문제점으로 1순위는 '기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2순위는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하였다.', 3순위는 '간소화하기 어렵고 지나치게 방대하다.',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96%가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의료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가 68%, '없다'는 32%로 조사되었다. 기록교육 기관은 의료 실습기관이 31%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사회사업 수련기관, 대학, 대학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사업 기록교육을 받은 기관 중에서 가장 도움을 많이 받은 기관은 의료사회사업 수련 기관이 38%, 그 다음으로 의료 실습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사업 기록교육이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조사결과 어느 기관에서 교육을 받았는지에 상관없이 도움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사업 기록교육을 통하여 도움 받은 이유에 대하여, '서비스 개입과 진단적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다.'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임상실무에 도움을 받았는지에 대하여 86% 이상이 사회사업 기록교육이 임상실무에 도움을 받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의료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면, 어떤 방법으로 의료사회사업 기록을 습득하였는지에 대하여,'기관의 선임사회복지사에게 교육과 수퍼비전을 받았다.'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기록교육 기관과 기록교육의 만족도는 의료 실습기관 교육이 9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순으로는 수련기관(의료사회복지 수련, 정신보건수련)에 대한 만족도가 96%로 나타났다.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도움정도와 임상실무의 도움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회사업 기록교육 경험과 기록 숙달기간에 대한 ANOVA 분석 결과, 각 교육기관이 특징적인 요인이 의료사회사업 기록 숙달기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사회사업 기록교육에 대하여 학교, 실습, 수련, 임상을 단계적으로 밟을 경우 숙달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 교육기관과 면접 회송기간에 대한 ANOVA 분석 결과는 사회사업 기록교육기관인 학교(대학, 대학원), 의료실습기관, 병원수련기관, 임상 실무기관 별 집단간에 면접 회송기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라고 조사되었다.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과 보수교육에 대한 부분에서 현재 사용하는 기록에 대하여 어느 기관에서 누구로부터 최초로 교육받았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 '실습기관, 수퍼바이저', '임상기관의 선임사회복지사', '수련기관 수퍼바이저'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교(대학, 대학원)에서 기록에 대하여 교육받았던 학과목은 '사회사업실천론'(23%), '의료사회사업론'(23%), '사회사업실천기술론'(15%)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육받았던 기록 방법에 대하여, '과정기록'(31%), 문제지향식 기록'(28%), '이야기체 기록'(17%), '핵심기록'(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교의 기록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관련 학과목에서 단편적으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실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학교 교육 후에 지속적이며 효율적인 기록에 대한 재훈련 교육이 없었다.' 등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보수교육(재훈련)에 어떤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문제사정, 개입계획, 평가에 있어서 전문적인 사고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구조화되어 있어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문서화하는 방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바람직한 교육기관에 대하여, '의료 실습기관'과 '수련기관'이 같은 비율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문제지향식 기록방법 사용과 교육에 대한 현황으로 59%가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받은 기관은 '수련기관', '임상실무기관', '의료 실습기관'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지향식 기록방법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문제사정의 명료화', '개입 목표와 개입 과정을 초점화 시키고 간결하게 기록', '의료기관의 타 전문직의 전문가들과 원활한 의사소통' 등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지향식 기록방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기록방법을 교육받지 못하였다.'가 41%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따른 의료 사회사업 기록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 향상을 위한 기록교육이 정립되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는 사회복지학과의 학과목에서 차지하는 기록교육 부분의 강화, 둘째는 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지속적인 재교육, 훈련 프로그램 활성화, 셋째는 의료사회사업 기록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지침서가 마련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토대로서 기록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정도와 기록방법의 내용적인 차이에 대한 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의료사회사업의 기록 지식과 기술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8 C. 연구의 한계 = 9 Ⅱ. 이론적 배경 = 10 A. 의료의 질 = 10 1. 의료의 질 = 10 2. 의료사회사업 서비스의 병원표준화심사 = 11 B.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 = 12 1. 의료사회사업 서비스의 질 = 12 2.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질 = 17 C. 의료사회사업 기록 = 19 1. 의무기록 = 19 2. 사회사업 기록의 역사적 배경 = 22 3.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이론적 접근 = 28 4. 사회사업 기록 = 31 5. 사회사업 기록교육에 사용되는 기록유형 = 39 6. 사회사업실천에 활용되는 기록유형 = 42 7. 의료기관의 기록유형 = 44 8. 의료사회사업 의무기록 지침서 = 54 D.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 55 1. 대학의 사회사업 기록교육 = 55 2. 의료사회사업 기록 실습 = 55 3. 의료사회사업 기록 수련 = 58 Ⅲ. 조사설계 및 조사방법 = 62 A. 조사 설계 = 62 B.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62 C. 조사도구 및 측정방법 = 63 D. 자료 분석방법 = 66 Ⅳ. 조사결과의 분석 = 67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67 B. 의료사회사업 기록의 현황 = 71 1. 병원표준화심사와 관련된 의료사회사업 기록 사항 = 71 2. 의료사회사업(의무기록) 기록방법 = 75 3. 의료사회사업 기록 회송기간 = 77 4. 의료사회사업 기록(의무기록)이 실무에 미치는 영향 = 87 C.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현황 = 91 1.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의 현황 = 91 2.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과 보수교육 = 101 D. 문제지향식 기록방법 사용과 기록교육 현황 = 105 E.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개선방안 = 111 1. 학교(대학, 대학원)의 기록교육 = 112 2. 의료기관 실습 기록교육 = 112 3. 수련사회사업 과정에서의 기록 훈련 = 114 4. 임상실무 기관이 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 116 Ⅵ. 결론 및 제언 = 118 A. 결론 = 118 B. 제언 = 130 참고문헌 = 133 부록 1 뉴욕대학 의료센터 의료사회사업 기록 지침서 = 136 부록 2 설문지 = 140 ABSTRACT =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62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의료사회사업-
dc.subject기록교육-
dc.subject개선방안-
dc.title의료사회사업 기록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 of medical social work record and its reform measure-
dc.format.pageix, 1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