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된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및 지도 실태 연구

Title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된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및 지도 실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dvanced methods of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uthors
황숙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국어과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 5차 교육과정부터 6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최대의 목표로 설정하고 말하기/듣기 영역을 하나의 독립된 단원으로 설정,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6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말하기/듣기 지도 체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조명해 봄으로써 말하기/듣기 지도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지도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얻을 수 있었다. 1) 현행 국어과 교육 과정은 국어과 교육과정 구조의 체계화, 목표 체계의 구조화, 내용의 정선 및 내적 구조화, 지도 평가에 관한 사항의 구체화의 네가지를 기본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따라서 교육과정 중 처음으로 국어과의 성격이 규정되었고 일관성있는 목표가 설정되었으며 내용의 하위 항목을 내용과 내용체계로 분리하였고 구체적인 학습지도 방법, 효과적인 평가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2) 현행 국어과 교과서의 단원 체제는 다섯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되어 있으며 총 81개 단원 중 언어 기능 영역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이 45개 단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그 중 말하기, 듣기 단원은 12개이고 학년간에 큰 차이없이 비슷한 내용과 활동이 반복되며 말하기와 듣기의 경우 주된 지도 요소는 자신의 생각을 논리에 맞게 정화하게 표현하고, 정확하게 듣고 판단하는 '내용면'으로 나타났다. 3) 말하기/듣기 영역의 경우 교사용 지도서에는 평가 방법이나 기준은 잘 제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예시나 참고 자료의 풍부한 제공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지도 모형과 풍부한 참고 자료 제공 등이 시급히 요망된다. 4) 교사들의 설문 조사 결과 언어 기능 영역의 중요성은 충분히 인식되어 있었으나 특히 말하기/듣기 영역의 경우, 지도에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분야라고 답하였고, 그 이유로는 시간의 부족, 과밀 학급, 구체적인 지도의 예시나 지도 방법의 부족 등을 들었다.;The 6th Korean Education Course puts the extensional capabilities of language usages by students as its prime goal. It has also established the 'Speaking and Listening' branch as a singular independent field with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uidance. This research was done to attain a utilization of the teaching about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by analyzing the 6th Korean Education Course, the text and the teacher's guidebook, and also by closely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although the speaking section had relatively good results in refle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purpose of unit studies, the results for the listening section had been shown to have done quite poorly. second, unit structure of the text had been devided into five separate fields while forty-five units out of the whole eighty-one, which is more than half, were of language capability units. Twelve units consisted of ' Speaking and Listening', most of the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similar and repeated. And, the main element of guidance within the contents wa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understand their thoughts logically and accurately. Third, the teachers' guidebook was lacking in tangible ways of teaching and was not efficient for use. the evaluation Structures had to be concreted for helping the evaluations. Also, The guidebook had an insufficient supply of reference data. Therefore, various guidance models, evaluation articles are desired. Most of all, the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is necessary. Last, refering to the answers of the teachers', although they absolutely knew the importance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t was also the hardest section to teach. Because of the time shortage in teaching, over populations of students,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he deficiency of teaching ref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