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연구

Title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연구
Authors
서수정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성역할정체감심리적적응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유형의 분포를 살펴보고 둘째,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심리적 적응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며 세째,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에 대한 남성성 변인과 여성성 변인의 상대적 공헌도를 알아봄으로써 성역할정체감유형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세가지 이론적 모델인 전통적 일치모델, 양성성 모델 및 남성성 모델 중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 모델을 지지하는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대학생 78명과 여자대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중앙치분리법에 따라 양성성정체감, 남성성정체감, 여성성정체감, 미분화정체감 등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으로 분류한 후 일원변량분석으로 각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에 대한 남성성 변인과 여성성 변인의 상대적 공헌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유형을 살펴보면 남자대학생의 경우 남성성정체감, 양성성정체감, 미분화정체감, 여성성정체감의 순서를 보이고 있고 여자대학생은 여성성정체감, 미분화정체감, 양성성정체감, 남성성정체감의 순서로 분포하고 있다. 2.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집단 모두 남성성정체감과 양성성정체감 집단이 여성성정체감이나 미분화정체감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고(P< .0005) 더 내적통제적이었으나(P< .05) 남성성정체감집단과 여성성정체감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에 대한 남성성 변인과 여성성 변인의 상대적 공헌도를 알아본 결과 남성성 변인만이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을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성집단과 양성성집단의 심리적 적응이 여성성정체감집단이나 미분화정체감 집단보다 높으며 그 이유는 남성성 변인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성 모델을 지지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회가 여성적 특성보다는 남성적 특성을 더 가치있게 여기고 있으며 우리사회의 문화적 요인들이 일반적으로 남자에게 유리하게 여자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남성적 특성과 여성적 특성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성역할사회화 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해주고 있다.;The aims of this study is : firs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type of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sex: second,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level according to attaining by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sex-role identity,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third,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sex-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level by test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masculinity component and feminity component to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78 male college students and 86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androgynious, feminin, masculine, undifferentiated, by median-split method. ANOVA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each the type of sex-role identity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masculinity component and component factor to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The type of sex-role identity of male college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masculine, undifferentiated, feminine. whereas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feminine undifferentiated, masculine. 2) Self-esteem was higher in the masculine group than the feminine or the undifferentiated group (p< .0005), and more internal in locus of control(p< .05) in both sexes, but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masculine, group and feminine group was not observed. 3) It appeared that the masculine factor was the only paramater predicting the self-esteem and the locus of cont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sculine and the androgynious group did better psychological adujstment than the feminine group and undifferentiated group owing to masculinity factor. These reflect that male characteristics are of more value than fema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society, and that the cultural factors i n Korea act more favorably for male in general. So, a need for a new sex-role socialization which can integrate male characteristics and female characteristics is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