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흡연자의 건강신념과 흡연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흡연자의 건강신념과 흡연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MOKING HABITS
Authors
李聖玉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흡연자건강신념흡연방법간호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옥
Abstract
Since an explorer to the American continent introduced tobacco to Europe in the sixteenth century, it has become a world wide (luxurious) habit. It has also caused serious health problems; mortality and disease rates are increased by smoking. Lung cancer is a particular threat because appropriate care for lung cancer has not yet been discovered.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cancer is urgently needed, but contemporary health care workers put importance on identifying preventive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smoking habits and the health beliefs of smokers. The purpose was to discover concepts that might be used by the nurse to encourage reduction of smoking. Subjects were 266 bank clerks in Seoul who were all smokers but considered themselves healthy. A questio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March 23 to April 11, 1987. Basic concepts from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measured by an instrument based on one used by Choi and Lee. Smoking habits were measur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and consultation with nursing faculty. The instruments were tested for reliability. (Cronbach's α = .70) Analysis of data was done using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the t-test. Results included the following: 1.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primarily young, aged, 30 to 39 (70.7%), had no religion (59.4%) but considered religion important (65%),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60.2%), lived in a nuclear family (79.7%), were married (79.3%), lived at home (97.6%), had an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at least once (63.9%) and had started smoking early, between 20 and 24 years of age (68.8%) 2. Health beliefs: perceived susceptability, severity, benefits, barriers and knowledge of smoking were high. (Mean; 28.7:31.9:28.0:18.1:10.4). 3. Smoking habits: numbers of cigarettes smoked daily were 11- to 20 (47.4%). More than half of the cigarette was smoked (62.0%) and smokers inhaled deeply (57.9%). 4.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lief concepts and smoking habits : more highly perceived benefits were related to more shallow inhalation (t-ratio = 1.46, p-value = 0.034, df = 1/266), and perceived barriers to stopping or reducing smoking to a higher number of cigarettes smoked daily (F-ratio = 4.523, p-value = 0.0015, df =4/266). 5.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lief concep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ore highly perceived susceptability, benefits and knowledge were related to being married (t-ratio = 7.223, p-value = 0.0077, df = 1/266 : t-ratio = 8.128, p-value = 0.0047, df = 1/266 : t-ratio = 6.518, p-value : 0.0112, df = 1/266 ), and to having had a previous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t-ratio = 8.484, p-value : 0.0039, df : 1/266, t-ratio = 5.129, p-value = 0.0243, df = 1/266 : t-ratio = 3.588, p-value = 0.0593, df = 1/266). Increased perception of severity of potential diseas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religion and to a previous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t-ratio = 1.662, p-value = 0.0091 df = 1/266 : t-ratio = 4.383, p-value = 0.0373, df = 1/266). 6. Relationships among the smoking habi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 fewer cigareffes smoked daily was related to a previous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but a greater number were smoked daily by those who had started smoking early aged before 20 (t-ratio = 13.648, p-value : 0.0003, df = 1/266 : t-ratio = 3.264, p-value = 0.0398, df = 1/266). Based on these results, nurses in their health teaching might emphasize the benefits of not inhaling and the potentially reduced difficulty in moving toward non-smoking when fewer cigarettes are smoked daily. Preventive health education must take place early. Nurses may build on an earler attempt to stop smoking and must develop the effective non-smoking program through the self-care of successor;16 C초 미대륙에 건너갔던 탐험가들에 의해 담배가 소개된지 얼마 되지않아 공업화 문명을 타고 담배는 쉽사리 대량생산되어 흡연은 대중적인 기호품이 되었으나, 반면 흡연으로 인한 질병발생과 사망율의 증가가 문제시 되었다. 특히 흡연으로 인한 폐암발병은 암이 아직도 그 결정적 치료대책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더욱 인류생존에 위협을 준다. 오늘날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사업분야에서는 적합한 간호중재에 의해 질병예방행위와 이에 관련된 모든 변수들을 확인하는데 그 중요성을 두고있다. 본 연구는 흡연으로 인한 질병발생과 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흡연자의 건강신념과 흡연방법을 조사해보고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봄으써 흡연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N은행, S은행, K은행의 은행원 중에서 현재 특별한 질환이 없이 건강하게 생활하는 남성 흡연자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3월23일부터 4월1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건강신념과 흡연방법에 관한 것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근거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여 사전에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cronbach's α=0.70)를 시행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 P. S. S Program에 의해 평균, 표준편차, 분산분석, t-test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이 30∼39세(70.7%)고, 종교는 없으나(59.4%) 중요하다(65%)고 했으며, 학력은 대졸(60.2%), 대부분이 핵가족(79.7%)으로 결혼하여(79.3%), 동거 (97.6%)하고 있었고, 금연경험이 있으며 (63.9%), 흡연시작시기는 20∼24세(68.8%)가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건강신념의 주요변수인 심각성, 민감성, 유익성, 장애성, 흡연지식은 높았다(Mean ; 28.7 : 31.9 : 28.0 : 18.1 : 10.4). 3. 대상자의 흡연방법에 대한 조사에서는 1일 흡연양이 11∼20개피인 집단이 47.4%(126명)로 가장많았고, 흡연형태는 후반부까지 피우는 집단이 62.0%(165명)이었고, 연기흡입양상은 연기를 깊숙히 빠는 집단이 57.9%(154명)이었다. 4. 대상자의 건강신념의 주요변수와 흡연방법과의 관계에서는 유익성과 연기흡입양상(t-ratio = 1.46, p-value = 0.034. df = 1/266), 장애성과 흡연양(F-ratio = 4.523, P-value = 0.0015 df = 4/266)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유익성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연기를 깊숙히 빨지않았고, 장애성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1日흡연양이 많았다. 5. 대상자의 건강신념의 주요변수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민감성, 유익성, 흡연지식이 결혼유무(t-ratio = 7.223, p-value =0.007, df = 1/266 : t-ratio = 8.128 p-value = 0.0047, df = 1/266 : t-ratio = 6.518 p-value = 0.0112 df = 1/266), 금연경험유무(t-ratio = 8.484, p-value = 0.0039, df = 1/266 : t-ratio = 5.129, p-value = 0.0243, df = 1/266 : t-ratio = 3.588 p-value = 0.0593, df = 1/266)와 유의한 차이를 보여, 결혼을 했고, 금연경험이 있는 흡연자들이 민감성이 높고, 유익성도 높았으며 흡연지식도 많았다. 반면 심각성은 종교의 중요성과 금연경험 유무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t-ratio = 1.662, p-value = 0.0091, dt = 1/266 : t-ratio = 4.383, p-value = 0.0373, dt = 1/266), 종교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금연경험이 있는 흡연자가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6. 대상자의 흡연방법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흡연양과 금연경험유무, 흡연시작시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t-ratio = 13.648 p-value = 0.0003, df = 1/266 : t-ratio = 3.264, p-value = 0.0398, df = 1/266), 금연경험이 없고, 15∼19세에 흡연을 시작한 집단이 흡연양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특히 일선 양호교사들과 산업장 간호원들은 청소년들에게 우선적으로 금연을 권장하고, 조기에 보건교육을 통하여 예방적 흡연법을 실시케하므로써 바람직한 흡연방법을 강조하고, 건강관리요원들은 흡연자들로 하여금 실패하더라도 금연을 시도해보도록 지지적 중재를 하며, 금연 경험이 있는 흡연자들의 실패요인을 분석하고 금연성공자의 자기간호 방법을 참고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하므로써 효과적인 1차건강관리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흡연자들에게 예방적 흡연방법을 교육한 후 흡연방법의 변화를 조사해 볼 것을 제언한다. 2. 흡연자의 건강신념과 흡연행위와의 관계, 금연이행과의 관계도 연구해 볼 것을 제언한다. 3. 흡연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연구를 계속할 것을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