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1 Download: 0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간의 관계 연구

Title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간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서미례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혈액투석환자자기효능감환자역할행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165 hemodialysis patients from 1 general hospital, 2 university hospitals, 1 dialysis clinics.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posing questionnaires and using physiological measures for 20 day period from March 10 to March 30, 1997. The questionnaires includes tools for measuring the self-efficacy developed by Kim Ju Hyun(1995), self-reported patient's compliance developed by Jang Mi Young(1996) and quality of life developed by Kim Ok Soo(1993). Physiological measures being considered were interdialytic weight gain, predialysis potassium level and predialysis phosphorus lev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ctual number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and sheffe tes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os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from 19 to 77, averaging 51.32, majored by 50-59 age group, which was 24.8%. The male was 55.8% and the female was 44.2%. The married were 73.3%. The high school graduate was 38.2%, above university graduate was 27.3%. The unemployed was 72.7%. In terms of monthly incomes, 49.1% were 600,000 to 1,200,000 won, 34.5% below 600,000 won and 16.4% above 1,200,000 won. In terms of religion, 35.8% were Christians, 27.3% Irreligious, 27.3% Buddhists.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cerned about the diseases. The hemodialysis period of the subjects was : 1-3 years(33.3%); less than 1 years(21.2%); 3-5 years(20.6%); 5-7 years(7.9%); more than 7 years(l7%), averaging 3 years and 5 months. The dialysis frequency was : 3 times a week(83.6%); twice a week(16.4%). The largest number of belief about diseases that the subjects perceived were : "One can maintain his health if one should pay consistent control himself, if any discomfort"(52.7%). The health condition that the subjects perceived showed being average up to 49.7%. The degrees of self-conscious physical change were : "Not feeling any disgrace and being appreciate to remain alive anyway."(32.1%), which was the largest group, "Feeling painful to death."(3.6%), which was the smallest. 3. self-efficacy, compliance, quality of life 1) The total mean scores of self-efficacy was 634.24 with a mean score of 70.47, showing a relatively high score of self-efficacy. Medication in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with a mean score of 88.79, physical exercise was the lowest with a mean score of 53.88. 2) The total mean scores of self-reported compliance was 28.53 with a mean score of 3.17, showing a relatively high score. Keeping hemodialysis schedule in self-reported complianc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score of 3.90, exercise was the lowest with a mean score of 2.44. The mean score of the predialysis potassium level of serum, was 3.39, the predialysis phosphorous level of serum was 2.64, interdialytic weight gain was the lowest with a mean score of 2.16, which were physiological measures. 3) The total mean scores of quality of life was 123.03 with a mean score of 3.00, showing a relatively high score. Attitude toward life in quality of life was the highest with a mean score of 3.58, social activity was the lowest with a mean score of 2.61. 4. self-efficacy, complianc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019), compliance(F=6.6305, P=.0000), physiologic measures(F=2.8941, P=.0157) according to age. The elder group showed higher self-efficacy, lower compliance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 younger one. 2)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according to the matrimonial state(F=7.3409, P=.0075). The single group showed higher degrees in self-reported compliance than coupled one. 5. The self-efficacy, complianc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1) The correlationship between dialysis period and physiological measures show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F=5.8378, P=.0002). Therefore the longer dialysis period, the lower scores of physiological measures. 2) The correlationship between dialysis frequency and physiological measures show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F=5.8378, P=.0002).The group being a twice weekly dialysis was a low physiological measures. 3)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patient's belief about disease(F=4.1353, P=.0074). The stronger belief about disease, the better self-efficacy. 4) The relationslip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condition perceived by oneself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F=5.5835, P=.0011). The better health condition perceived, the better self efficacy. 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mpliance 1) The relationship between fluid restriction(r=.4131, p=.000), exercise(r=.7185, p=.0003) medication(r=.6563, p=.000), vascular access care(r=.2212, p=.009), diet restriction(r=.5138, p=.003) in self-efficacy and self reported compli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2) The relationship between fluid restriction in self-efficacy and predialysis potassium level of serum(r=.2619, p=.009), interdialytic weight gain(r=.2868, p=.0000) in physiologic measur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t restriction in self-efficacy and predialysis potassium level(r=.2094, p=.007) in physiologic measur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compliance and physiologic measur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fluid restriction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r=.2938, p=.000), medication and predialysis phosphorous level of serum(F.2204, p=.004). 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hemodiaysis patient's self-efficacy and a primary factor of emotional status(r=.3840, p=.000), social activity(r=.2696, p=.000), physical activity(r=.3485, p=.000), family relationship & financial status(r=.3889, p=.000), attitude toward life(r=.4953, p=.000), self-recognition with health(r=.4494, p=.000) in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a positive correlation.;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에 따라 혈액투석치료를 요하는 전체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증의 대체적 치료법으로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기는 하나 일생동안 계속 받아야 하는 치료법이므로 기계에 대한 의존, 사회적 고립, 신체적 피로, 정신적 우울, 그리고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서 환자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다. 혈액 투석치료시 환자에게 요구되는 역할행위 이행은 환자의 생존에 중요한 것이나 환자들의 역할행위 이행도는 매우 낮아 간호의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 실무현장에서는 기존의 교육적 간호중재가 사용되어 왔으나 많은 제한점이 있어 간호계획 및 중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 자기의 행위에 의해 결과가 결정된다는 자기효능감이 환자역할행위 이행 및 삶의 질과 양의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구미옥, 1992; 김주현, 1995; 오복자, 1994; 오현수, 1993; 신성례, 1996; 장미영, 1996).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간호계획과 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해 있는 4개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165명을 임의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3월 10일부터 3월 30일까지 총 20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관련 특성 5문항,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9문항(김주현, 1995),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 측정도구 9문항(장미영, 1996), 환자역할행위의 생리적 이행지표, 삶의 질 측정도구 41문항(김옥수, 1993)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한 Cronbach's α값은 자기효능감 .75, 환자역할행위 이행 ,74, 삶의 질 .90이었다. 자료수집은 혈액투석을 받고있는 동안 환자자신이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환자가 직접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간호사가 읽어주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생리적 이행지표는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총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Pearson 상관계수와 t-test, ANOVA그리고 Sheffe test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연령분포는 19세에서 77세까지로 평균연령은 51.32세였고, 50~59세군이 24.8%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남자 55.8%, 여자가 44.2%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73.3%였고, 교육정도는 고졸 38.2%, 대졸이상 27.3%였다. 직업은 무직이 72.7%였고, 월수입은 60만원에서 120만원이 49.1%, 60만원 미만이 34.5%, 120만원 이상이 16.4%였다. 종교는 기독교 35.8%, 무교 27.3%, 불교 21.8%순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혈액투석 실시기간은 1-3년 미만 33.3%, 1년 미만 21.2%, 3-5년 미만 20.6%, 7년 이상 17%, 5-7년 미만 7.9%였고 평균 3년 5개월이었다. 투석횟수는 일주일에 3회가 83.6%, 2회가 16.4%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가 지각한 질병신념은 “지속적으로 관리만 잘하면 어느정도 불편함을 지닌 채 건강을 유지할 수가 있다”가 52.7%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건강상태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는 경우가 49.7%로 가장 많았다. 신체적 변화에 대한 환자의 인지정도는 "부끄럽지도 않고 이렇게나마 살 수 있다는 데에 감사하다”가 32.1%로 가장 많았고, “죽을만큼 괴롭다”가 3.6%로 가장 적었다. 3. 자기효능감,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 정도 1) 본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총평균 634.24, 평균평점 70.47로 보통이상의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중 ‘약물복용’이 평균평점 88.79로 가장 높았고, ‘운동’이 평균평점 53.88로 가장 낮았다. 2)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는 총평균 28.53, 평균평점 3.17으로 보통이상이었다. 자가보고에 의한 환자역할행위 이행중 ‘투석스케줄 지키기’가 평균평점 3.90으로 가장 높았고 ‘운동’이 평균평점 2.44로 가장 낮았다. 환자역할행위의 생리적 이행지표인 투석전 혈중 칼륨수치의 평균은 3.39, 투석전 혈중 인수치는 2.64, 투석간 체중증가량은 2.16이었다. 투석간 체중증가량의 이행이 가장 낮았다. 3) 삶의 질 정도는 총평균 123.03, 평균평점 3.00으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요인중 삶의 태도가 평균평점 3.49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활동이 2.50으로 가장 낮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 1) 연령에 따라 자기효능감(F=4.0093, p=.0019),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F=6.6305, p=.0000), 생리적 이행지표(F=2.8941, p=.0157)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결혼상태는 자가보고된 환자역할이행 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7.3409, p=.0075) 미혼인 군이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도가 높았다. 5. 질병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 1) 투석기간과 생리적 이행지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5.8378, p=.0002), 투석기간이 길수록 생리적 이행지표 점수가 낮았다. 2) 투석횟수와 생리적 이행지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5.4885, p=.0204), 주 2회 투석군이 생리적 이행지표 점수가 낮았다. 3) 질병에 대한 환자의 신념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4.1353, p=.0074), 질병에 대한 신념이 좋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좋았다. 4) 환자가 지각한 건강상태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5.5835, p=.0011) 환자가 지각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좋았다. 6.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간의 관계 1) 본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중 수분제한(r=.4131, p=.000), 운동(r=.7185, p=.0003), 약물복용(r=.6563, p=,000), 혈관관리(r=.2212, p=.009), 식이제한 영역(r=.5158, p=.003)과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간에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중 수분제한 영역과 투석전 혈중 칼륨 수치(r=.2619, p=.009), 투석간 체중증가량(r=.2868, p=.0000)사이에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저염식이영역과 투석전 혈중 칼륨수치(r=.2094, p=.007)간에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생리적 이행지표관의 관계는 수분제한 이행과 투석간 체중증가량(r=.2938, p=.000), 약물복용 이행과 투석전 혈청 인수치(r=.2204, p=.004)간에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간의 관계 본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정서상태(r=.3840, p=.000), 사회적 활동(r=.2696, p=.000), 신체적 증상(r=.3485, p=.000), 가족관계 및 경제상태(r=.3889, p=.000), 삶의 태도(r=.4953, p=.000), 건강에 대한 인식(r=.4494, p=.000)간에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 측면 혈액투석환자의 운동이행이 가장 낮았으므로 환자교육을 위한 운동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실무 측면 1) 임상간호사는 혈액투석환자의 운동, 투석간 체중증가의 이행도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해야 한다. 2) 임상간호사는 혈액투석환자가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해야한다. 3) 혈액투석환자 역할행위 이행의 수분제한, 운동, 약물복용, 혈관관리, 식이제한 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임상적 적용을 제안한다. 4) 삶의 질의 정서상태, 사회적 활동, 신체적 활동, 가족관계 및 경제상태, 삶의 태도, 건강에 대한 인식요인에서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임상적 적용을 제안한다. 3. 간호연구 측면 1) 연구 대상자수를 확대하여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삶의 질간의 관계를 반복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2) 환자역할행위 이행중 수분제한, 운동, 약물복용, 혈관관리, 식이제한 영역과 삶의 질의 정서상태, 사회적 활동, 신체적 활동, 가족관계 및 경제상태, 삶의 태도, 건강에 대한 인식요인에서의 자기효능감 증진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제안한다. 3) 생리적 이행지표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통제하면서 자가보고된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생리적 이행지표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