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매체특성이 어린이들의 이야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매체특성이 어린이들의 이야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Effects of Media Attribution to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uthors
都賢淑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매체특성어린이이야기이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쇄매체, 영상매체의 구별 없이 모든 메시지들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스크린을 통해 전달되는 영상시대에 살고 있는 요즘 어린이들은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컴퓨터 게임 같은 각종 영상물에 익숙하다. 어린 시절 가장 많이 접하는 동화도 이들은 책이 아닌 텔레비전이나 비디오를 통해서 더 자주 접하고 있다. 오늘날 어린이들이 처해 있는 매체 환경들을 고려해 볼 때, 적절한 매체의 사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각 매체들이 어린이들의 정보처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교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같은 이야기 내용이라 할지라도 이를 전달하는 매체특성에 따라 이를 접하는 어린이들의 이해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러한 영향을 매체 효과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매체특성과 어린이들의 이야기 이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이야기 스키마 이론과 정교화 이론을 도입하였다.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매체특성이 어린이의 이야기인지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그 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론의 핵심은 매체특성이 동일한 이야기 내용에 대한 이야기 스키마에 다르게 작용하여 이야기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매체특성의 차이는 어린이의 이야기 정보 처리의 정교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이야기 내용을 인지 처리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인지 정교화 방식을 유도하여 이야기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본 연구는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고에서는 매체특성과 관련하여,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경우와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경우에 어린이들의 이야기 이해에는 차이가 있는가?"와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를 통해 이야기를 접하는 경우와 그림정보와 문자정보를 통해 이야기를 접하는 경우에 어린이들의 이야기 이해에는 차이가 있는가?"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매체특성은 실험처치를 통해 조작되었으며, 처치는 세 가지로 고안되었다. 즉 동일한 이야기 내용을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접하는 경우와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접하는 경우, 그리고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접하는 경우로 나누어 처치되었다. 종속변인인 어린이의 이야기 이해도는 항목내의 확산적 정교화와 관련된 이야기 중심내용에 대한 기억과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와 관련된 이야기 재구성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서 측정되었다. 세 개의 실험 처치 상황에 초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30명씩 무작위로 배치하여 이야기를 접하게 하고, 이야기 중심내용에 대한 기억도와 이야기 재구성도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이야기 중심내용기억 점수가 높았고,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항목내의 확산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Ⅰ>은 검증되었다. 둘째,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과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은 그림을 이용한 이야기 재구성 점수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검증되었다. 따라서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그림을 이용한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Ⅱ>는 검증되었다. 셋째,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과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은 문장을 이용한 이야기 재구성 점수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간보다 문장을 이용한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 Ⅲ>은 기각되었다. 넷째,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이야기 중심내용기억점수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항목내의 확산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 Ⅳ>은 기각되었다. 다섯째,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동영상 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그림을 이용한 이야기 재구성점수가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그림을 이용한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Ⅴ>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를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문장을 이용한 이야기 재구성점수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이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을 통해 이야기를 접한 집단보다 문장을 이용한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 정도가 높을 것이라고 한, <가설 Ⅵ>은 검증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매체특성이 동일한 이야기 내용에 대한 이야기 스키마의 정교화 차이를 초래하여 이야기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즉 매체특성은 어린이의 이야기 정보 처리의 정교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이야기 내용을 인지 처리하는데 있어 서로 다른 인지 정교화 방식을 유도하여 나아가 이야기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의 차이를 가져왔다. 복합양식의 매체는 문자정보의 단일양식의 매체보다 어린이들의 항목내의 확산적 정교화를 활성화시켜 어린이들의 이야기 중심내용에 대한 기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처리의 정교성에 있어서의 복합양식 매체의 문자정보의 단일양식 매체에 대한 우월성은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 즉 이야기 재구성이라는 이야기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관련짓는 인지 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림정보와 문자정보의 복합양식으로 된 매체와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의 복합양식으로 된 매체는 항목내의 확산적 정교화를 활성화시키는 면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이야기 재구성과 관련된 항목간의 통합적 정교화에 있어서는 그림정보와 문자정보로 된 매체가 동영상정보와 소리정보로 된 매체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동일한 메시지일지라도 전달하는 매체특성에 따라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어린이들의 매체 선택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준다.;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different media attribution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tory schema theory and The elaboration theory were ada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media attribution an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e process in which the different media attribution activates different story schema elaboration, which in turn results in the different degrees of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bout the same story. For the above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as follow :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ocessing a story in accordance with media attribution classified as a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and a single form of information?'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ocessing a story in accordance with media attribution classified as a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and a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Three different experiment treatments were manipulated. First, in a situation where the children are exposed to a story through written form of information. Second, in a situation where the children are exposed to the story through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Third, in a situation where the children are exposed to the story through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Children's comprehension was measured through two ways. First is by the measuring the memory of the main points of the story related to within -items-expanded elaboration. Second is by measuring of the ability to reconstruction the story related to between-items-coordinated elaboration.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were 90(45 girls, 45 boys)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e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situations and exposed to one of the three experiment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 1.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had a better memory of the main points than the group exposed to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in activating the within-items-expanded elaboration. 2.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were able to process more elabo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deas within a story than the group exposed to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picture cards.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at activating the between-items-coordinated elabor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picture cards. 3.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and the group exposed to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at the between-items-coordinated elabor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sentence cards.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information has an equal effect with the single form of written information on activating the between items-coordinated elabor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sentence cards. Result 1 and Result 3 show the superiority of picture over letters is not related to the between-items elaboration, but to the within-items elaboration. 4.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and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at the within items-expanded elaboration.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picture-written information has an equal effect on activating the within-items-expanded elaboration with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and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at the between items-coordinated elabor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picture cards.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has an equal effect on activating the between-items-expanded elaboration with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picture cards. 6.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were able to process more elabo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deas within a story than the group exposed to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sentence cards. This shows that the combined form of picture & written information is more effective in activating the between-items-coordinated elaboration than the combined form of motion picture & auditory information in reconstructing the story using sentence cards. To conclude, with children at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parents and instructors should not allow them to be exposed to a limited type of media due to their interests but should expose them to the type of media appropriate to activating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