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영상회화

Title
영상회화
Other Titles
Visual Work : a Record of Personal Microstora
Authors
최민수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Keywords
영상회화미시사개인회화판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y visual work is a record of personal microstora that has as its origin the pictoral sensibilities of drawings that I had made before I was exposed to the medium of video. The concepts that began in those drawings continue into my video projects. Those drawings were like entries in a personal diary, a record of specific events both real and imaginary, and those records are now further explored and elaborated through my video work. At this point, video becomes a tool to progress the personal narrative, a tool of self-discovery through self-expression. I used the Premiere Software program to make use of the digital media's abilities of perfect duplication and manipulation; my visual work progresses though the transformation and compounding of images. However, even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um realized a new possibility in expression, it still remained that what was most important in a visual work was not technology, but content. Not reproduction for the realities of object but imagination makes the visual images. And an intervene of imag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visualization a record of specific events both real and imaginary; and although my work was produced through a digital medium, underlying the content were still acts and concepts that were deeply rooted in the analog. Short of meanings of identical narrative with drawings circulate in a digital space. My video works to narrative and performance combine with various code like a film, play, poetry and memory of childhood etc, which are created a meaning of extension. The digital medium is sufficient for conveying the immediate sensations of the story's attributes, which is developed in a virtual space of false continuity like a psychological drama. This virtual space is created by the use of the long shot, which creat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creen providing the key to imagination. This thesis explains the production process in terms of my visual work, which is then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specific thought processes and methods of expression.;본인의 영상작업은 회화적 감수성에서 시작된 개인적 미시사(微視事)의 기록이다. 드로잉 작업에서 시작된 이야기들은 영상작업과 연결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일기를 쓰듯이 현실의 사건과 상상의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영상을 위한 드로잉은 디지털 서사(e-narrative)로 전개된다. 이때 비디오는 개인적 이야기 전개의 도구가 된다. 이것은 자기 표현을 통한, 자기 발견을 위한 것이다. 본인은 디지털 미디어의 완전 복제성(perfect duplicability)과 조작 가능성(manipulatability)에 기초하여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프리미어(premiere)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변형, 합성하여 영상작업을 전개한다. 영상 이미지는 현실의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상상력의 개입은 현실의 사건과 상상의 사건을 영상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인의 작업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제작되지만, 내용적인 면에서 아날로그적 사고와 행위가 공존하고 있다. 드로잉과 동일한 내러티브 선상에 있는 단편적 의미들은 디지털 공간에서 순환한다. 영화나 연극, 시적인 것, 어린시절의 기억 등 다양한 코드와 결합한 내러티브와 퍼포먼스적 비디오 작업은 정체성, 사회적 조건반사 등의 확장된 의미를 생성한다. 디지털 매체는 이야기하기의 속성을 즉각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하기에 적당하다. 심리적 드라마와 같은 개인적 미시사의 기록들은 거짓 연속성을 가진 가상 공간에서 전개된다. 가상 공간은 상상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화면과 일종의 거리두기를 통한 롱 쇼트(long shot)의 사용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본인의 영상회화 작업을 중심으로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구체적인 사고의 전개와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확인되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