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朴龍來 詩의 美的 距離 硏究

Title
朴龍來 詩의 美的 距離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aesthetic distance in park yong-rae's poetry
Authors
盧美英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박용래미적 거리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50년대 중반에 등단하여 향토적인 감각과 서정성을 바탕으로 꾸준한 시작 활동을 펼쳤던 박용래는 덧없음과 소멸의 정점을 정교히 포착하는 미학적 천착으로 문학사적 자장(磁場) 내에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한다. 본 연구는 시인의 태도를 반영하는 화자와 시적 대상 그리고 청자 사이의 거리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박용래 시 의식의 기본 범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Ⅱ장의 A와 B에서는 시적 대상 그 자체를 전면화하려는 시인의 의도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춰보았다. 시적 대상을 부각시키기 위한 형상화 장치의 특징은 함축적 화자의 채용과 서술어의 절제로 요약된다. 주관적 개입을 지양한 함축적 화자의 채용은 화자의 대상 사이의 상호 몰입을 억제하고 긴장과 절제의 거리 짐작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대상과의 거리가 최대한 팽창함에 따라 자칫하면 정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거리는 명사형 종결어미의 운용으로 역동적인 변모를 이룬다. 행과 행 사이에 생겨난 휴지(pause)가 독자의 능동적 개입을 활성화시켜 텍스트에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C에서는 단독시행의 운용으로 첨예하게 증폭된 미적 거리의 변용 양성을 살펴보았다. 한 행, 한 행이 독립 연으로 배치됨에 따라 휴지가 실제 이상으로 확대되어 시적 대상이 환기하는 이미지는 독자의 심리 공간에 무한히 확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인은 동적인 리듬 의식을 운율적 장치로 채용하여 독특한 소의 효과를 산출한다. 쇠락해가는 대상을 형상화하는 데 율동적 리듬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소멸 배태하는 전인의 무거움을 가벼움과 역동성으로 전환시키려는 지향 의식을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삶 속에 소멸의 내용과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시인의 태도가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Ⅲ장의 A에서는 화자의 내면으로 시적 대상을 끌어들이면서도 간접화된 어법을 구사하여 독자를 이중적 반응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현상적 화자의 서정적 발화 형태를 살펴보았다. 화자는 감정의 노출을 억제하는 '-네'의 어미를 채용하거나 표면적 언술과 내면의 태도가 상충되는 우회적인 진술 태도를 취함으로써 이중적 거리 의식을 견지해낸다. 뿐만 아니라 이중적 자아의 극명한 대립은 시적 긴장을 불러일으키면서 텍스트에 마감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시인은 가난과 각박한 현실이 불러일으키는 상실감이 양식화되는 과정에서 적절한 거리 감각을 유지함으로써 독자의 창조적 작품 수용을 촉진하고 있는 것이다. B에서는 지난한 현실과 몰락해 가는 대상에 대응하는 시인 의식의 귀착점을 규명해보았다. 박용래는 소멸이 야기하는 상실감도 항구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체만물의 생멸변화를 깨달아 집착을 無化시켜야만 무엇에도 한정되지 않는 자유로운 마음의 상태를 채득할 수 있다는 지향 의식을 드러내보인다. 시인은 그와 같은 지식의식을 변형된 독백체의 발화에 담아냄으로써 복합적인 반응을 유도해낸다. 화자나 청자 兩者를 공동 행위자로 상정하는 청유형 연결어미를 운용함에 있어서 화자 단독의 발화 달성 행위를 촉구함으로써 독자의 기대감을 무너뜨리는 독특한 어법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박용래는 다양한 미적 의장을 도입하여 텍스트를 역동적 의미 체계로 구축한다. 소멸의 정점을 생동감 있게 형상화해내는 그의 詩作 태도는 한국 현대 시사의 방법론에 독보적인 맥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생성과 소멸의 대립을 지양하여 이를 통합하려는 지향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Park Yong-Rae entered upon a literary career in the midst of 1950s and had written steadily since then. At last he established the personal foundation swaying Korean poetry circles in 1970s with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frailty of We and aesthetic excavation capturing craftly the climax of extinction. This study purposes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category of Park Yong-Rae's poetry by considering the speaker reflection poet's attitude, poetic object and the distance peculiarity among listeners. In A and B of chapter Ⅱ, the focus is fixed on the poet's intention expressing the poetic object itself in wholesale way. Shaping strategy to bring poetic object into relief is summarized by the speaker's implicative appointment and the moderation of the predicate. The poet's implicative appointment sublating subjective intervention contributes to the restraint of mutual absorption between speaker and object and establishes the distance sense of tension and control. The distance apt to be fixed statically in the course of the maximum distance extension, makes dynamic variation by using the concluding ending with noun form. The pause between verse and verse animates the text by activating reader's positive intervention. In C, the varied mood of aesthetic distance amplified sharply with monetary verse was examinated. By arranging each verse independently, the pause was more magnified than that of in real, so the image made with poetic object can be extended endlessly in mental space of readers. In addition, poet produce peculiar alienation effect by using dynamic rhythm consciousness as rhythmic device. By using rhythmical rhythm device in embodying destructed object, it express the direction sense to convert the heaviness from extinction to lightness and dynamic by surpassing discomfort and loss evoked by extinction. This reflects the poet's attitude accepting the content and value of extinction in life positively. In A of chapter Ⅲ, lyric utterance pattern of appearing speaker leading readers into the dual response space by constructing indirect wording as well as pulling poetic object into speaker's mind was examined. The speaker adheres to the dual distance sense by taking roundabout statement attitude making conflict between surface mention and inner attitude or using the "-ne" ending controlling the exposure of emotion. In addition, the evident discord of dual ego originates the poetic tension and favors the aesthetic sense into text. The proper distance sense maintained in the course of moulding the loss sense caused by poverty and hard life work as dynamic resource accelerates the reader to accept the poetry creatively. In B, the reaching place of poet's sense facing the tough reality and falling object was examined. The loss sense mentioned in Park Yong Rae's extinction expresses that the real free mental state not confined by anything can be experienced, only after making self-greed and excessive fondness by leading birth and death variation of all creation into nothing because the loss sense itself also changes. Poet forms complex response space by expressing such direction sense through varied monologue. In using the request connection ending making speaker or listener, or both as common actors, by urging the monetary utterance accomplishment activity of speaker, it produces peculiar wording collapsing the expectation of readers. Like above, Park Yong Rae establishes text as dynamic meaningful system by introducing various aesthetic designs. His aesthetic attitude shaping the climax of extinction actively is composed of the advanced system in the methodology of Korean modern poetry history and reflects the direction sense to sublate the conflict of birth and growth and extinction and unite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