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용 분석 및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성 제고 연구

Title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용 분석 및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성 제고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content of Korean language text of high school and a study on improving effectiveness in the field
Authors
권영순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국어교과서교육현장효율성 제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analyse the texts of Korean language of high school and diagnose the feasibility of directions take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analyse problems actually appearing at the time of using the texts in field so that it can contribute something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malization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it is considered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else that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containing description on its objective and content are presented rationally in terms of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this writer studied changes in the course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until now and the characteristic of philosophy for is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writer studied questions such as whether or not goal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is reflected in its texts, are the materials contained proper and is ther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subject to be covered and study hours. In connection with system and editing of text books this writer pointed out that weakness found with printed media should be supplemented by visual editing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 to the aspect of external system of the text in view of its significant effect on outcome of study. Furthermore through survey by means of questionnaires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a and field for learning was analysed and functions of text books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perused. In consequence of such study this writer could discover that many impractical elements are contained in the text books for the 6th curricula although they were compiled by a new approach. Problems with these text books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reason to overcome such elements and to realize effective learning by means of the 6th text books under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measure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ailored to such text books and there is also need for developing and distributing education aid and related machines and materials. On the basis of study of this research this writer can sum up the several results as follows: 1. The 6th text books are emphasizing the voluntary and crea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o the process of study; 2. Philsophy for educating language as reflected in these books is function-centered and in the content of text books use of language is emphasized.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function for using language there were many expressions in diverse ways such as 'let's speak,' 'let's write' etc. demanding practical actions. Howev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due' to requirement for professional competence in teaching method, objective standard for evaluating practice and overcrowded classes. 3. The balance between volume of subjects to be covered and hours of study assigned was not maintained. The problem was with over- emphasis on providing sufficient data for autonomous study of students by the text books thus leading to shortage of hours for study. 4. Pictures and pictorial reports were not used as essential part for assisting understanding materials visually but they remained as nothing but supplementary and decorative functions. 5. The reason why curricula and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not be realized in the field is due to overcrowded classes, system for entrance examinations of Korean language course. Due to such reality in the field planned curricula can not be reflected as they are to teaching and it can not be specifically realized by students. For this reason when compiling text books realizable in the field it should be preceded by sufficient research on reality of the field of education.;제6차 교육 과정에 맞추어 새롭게 개편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분석 검토하여 국어과 교육 목표가 충실히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고 현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서 실제 활용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진단하여 국어과 교육이 지향하는 방향 설정과 국어과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국어과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기술된 국어과 교육 과정이 교육적으로 합당하게 제시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국어과 교육 과정의 변천과 각 시기의 국어 교육관의 특색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국어교육 목표가 교과서에 구현되어 있는가, 제재는 적절한가, 수업량과 시간 배정은 균형을 이루었는가 등을 살펴보았다. 교과서의 체재와 편집을 통해서는 인쇄 매체가 갖는 취약점을 시각적 편집을 통하여 보완해야 함과 교과서의 외형 체재도 학습 효과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설문을 통하여 교육 과정과 학습 현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서의 교과서 기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제 6차 교과서는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 속에 나온 교과서이지만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요인을 지니고 있다. 교과서의 문제점은 곧 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연관된다. 그러므로 이 요인을 극복하고 현재의 교육 환경에서도 6차 교과서를 통하여 효율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교수·학습의 개선 방안이 연구되어야 하고, 보조자료, 기자재 등의 개발과 보급이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제6차 교과서는 학습자가 자주적이고 창의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것을 강조하고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을 도모하였다. 2. 교과서에 반영된 언어 교육관은 기능 중심이며 교과서 내용은 언어사용 활동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하여 실제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말해 보자' '써보자' 등의 문제가 많은 양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지도 방법의 전문성, 실기 평가의 객관적 기준, 과밀 학생수 등으로 여건상 실행이 어렵다. 3. 교과서의 학습량과 시간 배정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였다. 자율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를 만들기 위하여 충분한 자료 제공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이 시간 부족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되었다. 4. 화보와 사진은 내용을 시각적으로 이해시켜 주는 필수적 기능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보조적이고 장식적인 기능에 그쳤다. 5. 교육 과정과 국어 교육 목표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천되기 어려운 요인은 과밀학급 학생수, 대학입학시험 제도, 국어과의 통합성과 미분화에서 오는 전문성 결여 등이다. 이러한 교육 현장의 여건으로 말미암아 계획된 교육 과정이 수업 속에 그대로 반영될 수 없으며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 환경 속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교과서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만들 때 충분한 현장 연구가 있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