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서울지역 중학생의 과외수업 실태 및 요구 분석

Title
서울지역 중학생의 과외수업 실태 및 요구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private tutor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홍윤성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서울지역중학생과외수업교육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y improvements of Korean education.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ze private tutoring needs 2) to compare private tutoring with school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as sampled 468 middle school junior students in three different areas- kangnam area, kangbuk area, bundang area. For the survey, the multi-choice typ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x^(2) 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mong sample groups. Crosstabs, a subprogram of the SPSS, was main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84.8% of middle school junior students have ever experienced some type of private tutoring. It is notable that among three different areas, 98.1% students of the kangnam area have ever experienced some type of private tutoring. And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63.1%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eiving private tutoring at the very time of survey. The type of private tutoring were chiefly private academy(45.8%) and individual tutoring(21.9%). Third, with regard to the reasons of private tutoring, 50.1% of students replied that they took the private tutoring for the supplement of school education and 27.1%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took the private tutoring for the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Fourth,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of private tutoring, 77.5%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ver experienced private tutoring were satisfied while 53.1%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school learning. Fifth, in terms of the preference of teacher, 56.6% of students liked their private tutor. On the other hand, 12.4% of students like their school teacher.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that private tutoring(33.2%) was more interesting than school learning(27%). Sixth, 45.1% of middle school students prepared their school learning, but 6.6% of middle school students merely prepared their private tutoring. And 68.8%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that private tutoring was more effective than school learning.;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과외수업 실태 및 과외수업에 대한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지나친 사교육 의존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준화 지역인 서울의 강남과 강북지역, 비평준화 지역인 분당지역 중학생들의 과외수업의 일반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과외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셋째, 학생들이 과외수업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과외수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학교수업과 과외수업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어떠하며 특히 학생들이 인지하는 학교수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강남, 강북, 분당 등 세 지역의 중학교 2학년생이며, 조사도구로는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4.8%의 조사대상 학생이 지금까지 과외수업을 받아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남지역의 경우 98.1%를 나타내서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고, 학업성적이 우수할수록 과외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외수업을 받는 시기는 방학과 학기중 내내 받아본 학생이 전체 66.2%로 나타났으며, 과외수업을 받아본 적이 있는 학생의 63.1%가 현재에도 과외수업을 받고 있었고 주된 과업수업의 형태는 학원수강과 개인지도 순이었다. 둘째, 중학생들이 과외수업을 받는 이유는 미진한 학교수업보충이란 응답과 학교성적 향상이 각각 50.1%와 27.1%를 차지하였고, 과외수업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수준에 맞는 곳(58.4%)과 강사진의 실력(25.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계속해서 과외수업을 받을 예정인 학생이 70.4%이었다. 셋째, 과외수업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과외수업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의 77.5%가 만족하고 있었고, 과외교사의 자격으로는 자격증보다 실력있는 선생과 담당과목 교사 자격증소지자가 각각 47.4%와 31.0%라는 응답이 나왔으며 선호하는 과외교사는 쉽게 이해시키는 선생님으로 65.8%의 응답을 얻었다. 과목별 과외수업 이해도를 고찰한 결과 수학과 영어, 과학 국어의 경우 전체 수업내용의 71%이상을 이해하는 경우가 응답자 전체 50%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46.9%의 중학생이 불만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지하는 학교수업의 문제점으로 27.2%가 창의력개발이 없는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을 지적하였고 실질적인 입시와 시험에 도움이 안된다는 점에 대해 24.6%, 인성교육의 부재에 대해 20.9%가 응답하였다. 선호하는 학교교사는 이해가 빠르게 가르쳐주는 선생이 53.7%이고, 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갖는 선생이 26.0%이었다. 과외수업이 학교성적의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도움이 된다와 크게 도움이 된다가 각각 63.6%와 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학교수업의 이해도는 과외수업에 대한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과외수업과 학교수업의 연결성에 대하여 조사응답자 전체의 84.7%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