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42-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purpose of welfare of the handcapped is the complete social integration of the handicapped, and it is mainstreaming that this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is applied to early nursery. It is important to give administrative, financial, curricular, and social supplies, but the understanding mainstreaming and coorperation of nursery teachers, which greatly affect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nursery teachers are preferentially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what people working in general day care centers. Seoul think of integration,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indentify the most effective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among variables. Also, what peo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require, and how they recognize the check factors of mainstreaming are examing to suggest a developing plan for mainstreaming of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peoples working in Seoul's nursery centers (principals, managers, nursery teacyhers, and other teachers), and I gave them questionnaires, on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the recognition of check factors of mainstreaming' to suggest a developing plan for mainstreaming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llected materials are treated with statistical methods in an SPSS PC program such as t-test, one way ANOVA, interrelationship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atio analysis. The results of ty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of Seoul's nursery center teachers were relativly neutral, and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the concept of integration compared to other areas in subareas, and the most negative attitudes appeared in the speciality of general nursery teachers. 2. Variable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of poe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according to backgrounds were 'Completing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Experience of mainstreaming' , 'Preparation for facilities for integration', and 'Age', and the first one( 'completing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on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3. The requirements of peo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on mainstreaming were 'Arranging teacherss for the handicapped', 'Training teachers', and 'Lower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a teacher', related to teachers, and other requirements related to nursery programs were 'Changing the existing nursery programs', 'Standardized integration programs' and 'Individual educating propgrmas'. Also, requirements related to facilities were high in 'Rebuilding facilities and installation', '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change of facilities', and others related to systematic,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Reinforcing the existing laws', 'Regular implementing of supervision', 'Government's bearing added nursery costs', but there was no agreed poinion on 'Lowering the age of mainstreaming', divided in similar proportions Requirements on parents' pariticipation in mainstreaming courses were relatively higher in 'Parents education', 'Parents counseling', 'Parents meeting' as a regular program than others, Also, requirements on utilizijng the resources of communities were high in ' Supporting service of qauthorities concerned' , 'Utilizing man power in each community ' and 'Publicity' 4. Opinions of people working in nursery centers in practicing mainstreaming were the highest in 'not to be executed because of bad conditions' and 'to be executed regardless of bad conditins', followed by 'to be executed because of proper conditions' and 'not to be executed regardless of good conditions' in order. 5.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peo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on the check factors of mainstreaming, first, 'Lacking in consideration on the handicapped infants' and second, 'Lacking in consideration on mainstreaming', 'Lacking in nursery teachers' speciality' and then 'Overflowing number of infants' were high. 6. Plans for developing mainstreaming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sed on acknolwedgements on th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requirements and cahck factors of poe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tallations for mainstreaming should be expanded in quantity. Second, There should be reformation in systems. Third, personnels for mainstreaming should be specialized. Fourth,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instreaming should be prepared, and the government should give their support for this. Fifth, there should be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ies, and also the transition of though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should be programs improving the attitudes of peopl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on 'mainstreaming in preschool age' and following policies, and I think mainstreaming will be activated based on this.;장애인 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이며, 이러한 사회통합의 개념을 조기보육에 적용시킨 것이 통합보육이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교육과정적, 사회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보육교사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내 일반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변인들 중 통합에 대한 태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요구는 어떠하며, 통합보육의 저해요인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유아기 통합보육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기본 보육 종사자 (시설장, 총무, 보육교사, 기타 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통합에 대한 태도' 와 '통합보육에 대한 요구', '통합보육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5.0 프로그램으로 t 검증, 일원변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비율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내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는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영역 중 다른 영역에 비해 통합의 개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일반보육교사의 전문성 영역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즉 통합의 개념 자체에는 찬성하지만 일반 보육교사들이 통합보육을 하는 것에 대해 가장 회의적이었다. 2.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장애인 복지와 교육에 관련된 과목 이수여부', '장애아에 대한 태도', '통합보육 경험',‘통합을 위한 시설 준비 정도', '연령'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력이 큰 변인은 '장애인 복지 또는 교육 관련과목 이수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3.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요구는 교사와 관련하여, '특수교사의 배치', '교사교육의 실시', '교사 일인당 담당 아동수의 하향 조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현재의 보육프로그램 변경', '표준화된 통합프로그램'과 '개별교육프로그램' 준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 설비면에서의 요구는 통합보육에 적합하도록 '시설, 설비의 변경'요구와 '시설 변경에 따른 국가의 재정지원'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도적, 행정적 지원과 관련해서는 '현행 법규 강화'와 '수퍼비젼의 정기적 실시', '추가보육경비의 국가부담'요구는 높게 나타난 반면 '통합보육연령의 하향조정'에 대해서는 비슷한 비율로 요구가 나뉘어 통합보육 연령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간의 일치된 의견을 보이지 않았다. 통합보육 과정 중 부모 참여에 대한 요구는 '부모교육', '부모상담', '부모모임'이 반드시 정규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요구가 기타 다른 요구에 비해서 높은 편이었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대한 요구는 '관련기관 서비스 지원'요구와 '지역사회 인적 자원의 활용', '홍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4.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보육실시에 관한 의견은 '통합보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아 실시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보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은 되지 않지만 실시하겠다'는 의견이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는 '통합보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므로 실시하겠다', '통합보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은 되지만 실시하지 않겠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보육시설 종사자의 통합보육에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장애유아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가장 큰 저해요인이라고 인식하였고, 둘째로는 '통합보육에 대한 관심부족', 그 외 ‘일반보육교사의 전문성 부족', '아동수 과다'의 순으로 인식하였다. 6.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와 요구,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장애유아 통합보육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반수 이상이 통합보육실시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모든 보육시설에 대해서 사회복지 시설로서의 정책적 지원을 과감하게 하여 장애유아들에게 편리한 설비와 보조장치, 도구, 충분한 교수자료를 갖춘 통합보육시설이 양적으로 확충되어야 한다. 둘째, 현행 영유아 보육법상에는 통합보육을 위한 구체적인 법규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통합보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미미한 실정이므로 통합보육의 제도적 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통합보육 담당인력을 전문화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 다수의 보육교사들이 일반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보육의 질이 보육교사로 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보육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사전교육과 실제적인 보수교육을 실시하고, 담당 아동수를 하향 조정하며, 대학의 보육관련학과에 장애인 복지 또는 교육 관련과목을 설치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넷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내용을 전문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통합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하며, 치료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내용중 개별교육프로그램이 반드시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정규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통합보육에 대한 부모 이해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인 통합보육을 하려면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현재 보육시설의 시설과 설비가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시설의 변경은 장애유아의 장애정도, 유형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국가는 재정지원을 해야 한다. 여섯째, 통합보육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하고, 사회전반의 의식전환이 있어야 겠다. 지역사회 관련 기관의 전문가와 서비스 지원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장애인에 대한 의식과 행동이 다른 이중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회전반에 대한 의식 전환을 위해서 적절한 홍보대책과 보육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태도개선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프로그램과 통합보육 발전방안에 따른 후속 조치가 정책적으로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통합보육은 활성화되리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고찰 = 7 A. 통합보육 = 7 1. 통합보육의 정의와 이념 = 7 2. 통합보육의 효과 = 9 3. 통합보육의 구성요소 = 14 4. 장애아 보육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 = 23 B.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태도 = 24 1. 보육시설 종사자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24 2. 보육시설 종사자의 태도와 통합보육의 실시여부와의 관계 = 30 C.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요구와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 3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대상 = 35 B. 연구도구 = 35 C. 자료수집 절차와 자료처리방법 = 40 Ⅳ. 연구결과 = 41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1 B.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 = 42 C. 배경변인별 통합에 대한 태도 = 43 D.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요구 = 65 E. 통합보육실시에 관한 의견과 통합보육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 73 F. 우리나라 장애유아 통합보육 발전 방안 = 75 Ⅳ. 결론 = 82 A. 요약 = 82 B. 연구의 제한점 = 85 C. 제언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3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74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장애유아-
dc.subject통합교육-
dc.subject발전방안-
dc.subject서울시내-
dc.subject보육시설 종사자-
dc.subject통합보육-
dc.title장애유아 통합교육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 요구와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DEVELOPING PLAN FOR MAINSTREAMING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c.format.pagex, 10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