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연희-
dc.creator곽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40-
dc.description.abstractSocial workers' work satisfaction is affected by professional education training related to their individual personality, social work value system, demands in work, componsation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itself such as the sociostructural status of social work in democratic society, especially in the case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a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m to have les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xpert qualitie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emphasizing ability as a generalist rather than a specialist. Among them, in the case of senior social workers who have some work experience and specialized knowledge, they have a lot of chance to play a role as a quasi-administrator, and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ir work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sense of value of the institute they belong to and work condition.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basic materials for management based on the essential function of a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more value-oriented than community welfare centers by grasping senior social workers' work satisfaction and its effects through the results of their own evaluation on the given cond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management. Both literature study and actual proof study were done in this study. The actual proof study collected materials by mail and phone surveys with the subject of 88 senior social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from April 21 th May 10, and 57 of them were treated as actual analysis material As a study tool, question paper used in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management and model development' practic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Social Affairs from 1993 to 1994 was reused for the evalu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service and programs, and JDI was restructured for the evaluation of senior social worker's work satisfaction Collected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PC+ program, proportion an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nior social workers' work satisfaction rate was turned out to be 3.24 at the scale of 5, which was a little bit over the normal score, and it indicated that they we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ir work 2.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social workers, the variable which affects their work satisfaction was their work experience in the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es, and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the higher their work satisfaction was. Also, each interrelationship with subvariables in work satisfaction was all high except some parts related to colleague groups and intentions of transterring or quitting, 3. In the case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or other juridical person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e item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e items like 'prensent work is promising and helpful to individual development' and 'socially recognized compared with other welfare facilities comparatively, senior social workers working in non-profit corporations or social welfare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community had lower satisfaction in the items mentioned above. 4. Among the manpower of local community welfare centers, bigger number of senior social workers and work satisfac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institute. 5. As the result of analyz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size of a loca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enior social workers satisfaction, the bigger the size of work is, the higher their work satisfaction becomes. 6. The senior social workers, who evaluated that the management of consulting committee helps community welfare center work, was highly satisfied with their work, institution, colleague relationship promotion and payment. 7. As the results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ravity of administrative work, counsel busines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work satisfaction with the scale of how much the senior social workers devote themselves to specialized social welfare business, the more administrative work they had, the lower their satisfaction in supervision among subvariables was. Also,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ling level and work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senior social welfare workers who mainly do further counsellings had high satisfaction in their institution, supervision, promotion, and payment, and institutions practicing meetings or trainings for speciality consideration were highly satisfied in social welfare value or ideology practice level of welfare centers 8. 54.4% of responding senior social workers negatively evaluated the contribution of full-time or part-time work programs. In the result of analyzing work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pondents' contribution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ut the senior social workers, who positively evaluted contribution rate, had high scores in general work satisfaction. 9. 80.7% of the senior social workers gave a positive answer on a func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youth, and there was a statisf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valuation and work satisfaction 10. As the result of evaluating how effective the whole busines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is to the increase of residents' welfare, positive evaluation was 73.7%. And work satisfa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whole work satisfaction, work itself, instituion, colleague relationship, and promotion. 11. In the question of accord rate between the residents' cooperation, local community's characteristics and the importance of business considering the residents' desire, only 11.0% answered "very congrunt", and most of respondents evaluated "a bit congruent'' or "not congruent at all."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evaluations on accord rate, the more positive an evaluation on the accord rate was, the bigger the satisfaction score turned out, and especi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work itself, intitution, and promotion.;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인성과 사회사업 가치체계와 관련된 전문교육훈련, 직업상의 요구와 보상체계, 조직구조, 그리고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복지 사업의 사회구조적 위치와 같은 사회사업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직무만족에 커다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Specialist로서의 능력보다는 Generalist로서의 자질이 강조되어지는 업무의 특성과 성격에 의하여 더욱더 전문적인 자질을 발휘하고 발전시킬 기회가 부족하여 질 가능성이 있다. 이중 일정정도의 실무경력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선임사회복지사의 경우, 준 행정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가치관과 사업 여건에 따라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운영여건에 대하여 선임사회복지사가 스스로 평가하게하여 그 결과를 통하여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보다 사회복지 가치지향적이고, 사회복지관의 본질적인 기능에 충실한 사업운영을 할 수 있는 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실증연구는 1997년 4월 21일 부터 5월 10일 까지 총 88명의 서울지역 소재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선임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전화조사, 우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중 실제 분석대상이 된 자료는 57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사회복지관의 서비스 및 프로그램 평가를 위하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3년도 부터 1994년도 까지 시행한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측정을 위하여는 JDI를 기초로하여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율분석, T-test, ANOVA, Correlation 등의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처리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조사결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선임사회복지사의 전체 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보통 정도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인 3.24로 나타나 선임사회복지사들이 직무에 크게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2. 선임사회복지사의 개인적인 특성 가운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복지 관련기관 근무경력으로 사회복지 관련기관에 근무한 기간이 길수록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직무만족의 각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는 동료집단에 관한 부분과 전·이직 의도 관련부분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복지법인과 기타 법인의 경우 '현 직무가 장래성이 있고 개인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항목과 '타 복지관과 비교할 때 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는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상대적으로 비영리법인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사회복지관 근무 선임사회복지사는 위의 항목에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4. 지역사회복지관 근무인력 중 선임사회복지사와 일반사회복지사의 수가 많을 수록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실시 규모와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시하고 있는 사업의 수가 많을 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자문위원회의 운영이 복지관 사업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 선임사회복지사일수록 직무자체, 기관, 동료관계, 승진, 보수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7. 선임사회복지사가 얼마만큼 전문적인 사회복지사업에 열중할 수 있는가의 척도로 행정업무의 비중, 복지관 실시 상담사업의 수준을 채택하여 그것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정업무가 많을 수록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중 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또 실시하고 있는 상담사업의 수준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층상담을 주로 실시하는 복지관의 선임사회복지사일 수록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나 기관과 감독, 승진,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 제고를 위한 모임이나 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일 수록 타 복지관과의 인정정도, 복지관의 사회복지적 가치관 및 이념실천 정도 등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8. 직·부업 훈련프로그램에 대하여 응답 선임사회복지사의 54.4%가 프로그램의 기여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기여정도 평가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기여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경우의 선임사회복지사가 전체 직무만족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9.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기능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 선임사회복지사는 80.7%였으며, 이러한 평가 견해와 직무만족도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성을 가지는 프로그램이라고 응답한 선임사회복지사일 수록 전체 직무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복지관의 전반적인 사업이 지역주민의 복지 증진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가를 평가하게 한 결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경우가 73.7%를 차지하였으며, 이에 따라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감독과 보수의 영역을 제외한 전체 직무만족도, 직무자체, 기관, 동료관계, 승진 등의 영역에서 높은 관계를 나타내었다. 11. 실시중인 단위 사업에 대한 주민의 호응도와 지역사회의 특성과 주민의 욕구를 감안한 사업의 중요성간의 일치정도를 질문한 결과 매우 일치한다는 견해는 14.0%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이 약간 일치한다고 평가하거나 일치하지 않는다고 평가하였다. 일치정도의 평가에 따라서 직무만족에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주민호응도와 사업중요도간의 일치정도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 수록 직무만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직무자체, 기관, 승진 등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지역사회복지관 = 6 B. 지역사회복지관의 선임사회복지사 = 14 C. 직무만족 = 1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7 A. 조사대상 = 27 B. 측정도구 = 27 C. 자료 수집 및 처리 = 31 Ⅳ. 연구 결과 = 32 A. 조사대상 사회복지관 및 선임사회복지사의 일반사항 = 32 B.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 35 C. 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 38 Ⅴ. 결론 및 제언 = 50 A. 결론 = 50 B. 제언 = 55 참고문헌 = 58 부록 = 64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4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사회복지관-
dc.subject운영여건-
dc.subject선임사회복지사-
dc.subject직무만족도-
dc.title사회복지관 운영여건이 선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