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내면적 illustration"으로서의 새로운 Style 연구

Title
"내면적 illustration"으로서의 새로운 Style 연구
Other Titles
(A) Stydy on a New Style as "the Illustration of a Soul" :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the theme from the modern alienation
Authors
이문선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보디자인과
Keywords
내면illustrationstyle소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를 마무리하는 현대는 사회 문화를 포함한 전 영역에서 기존질서에 상반되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대인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동시에 막연한 기대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예술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해독하기 어려운 암호물일 뿐인가, 아니면 인간 문제를 해소시킬 원천으로 작용하는가? 본 연구는 인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근본적 문제와 갈등요소들에 기초를 두고, 인간을 외재적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인간의 내면을 어떠한 형상으로 조형화해야 한다는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현대인의 "소외(alienation)"라는 문제의 시각화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 이는 단순히 외부적 요인만이 아닌 나의 내부 안의 부조화로 발생할 수 있는 현대인 누구 나가 느끼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나의 내면성에 대한 탐구에서부터 비롯되었지만, 그 범위를 확장시켜 나를 포함한 동시대인들의 내적인 문제의 표출을 위한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으로써, 새로운 표현 스타일(style)에 관한 연구이다. 위의 표현을 위한 몇 가지 요소들을 정리하면, 먼저 모든 표현은 "스타일로써의 정립"이 되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스타일은 단순한 외면의 형식적 분류 뿐 아니라 작가 개인의 내면성과의 결합으로 형성되며, 때문에 스타일을 단순한 양식으로 풀이하기보다는 표현의 내용과 형식을 결합한 통일체의 개념으로 인식했다. 왜냐하면 표현은 내용과 형식을 분리해서는 올바로 제작할 수도 전달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세계에 대한 경험은 외적 현실-형식적 스타일-에 관한 의식과 내부적 인간의 자의식-내용적 스타일-에 의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제까지의 표현을 "지적"인 부분과 "감정적"인 부분으로 구분한 것과는 다른 총체적 접근방법이라고 하겠다. 물론 제작과정은 부분 부분을 거쳐서 제작되지만, 작가 내면으로는 전체에서 시작해서 부분을 거쳐 전체를 지향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때문에 표현자는 이러한 인식 하에서 스타일을 정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내적 이미지의 시각화를 본인에 의해서 "내면적 Illustration"이라 명명했는데, 본 논문의 목적은 바로 "내면적 illustration"의 style로써의 정립이다. 때문에 본인이 추구하는 현대인의 형상도 단순한 재현 적인 상(像)이 아닌 개념적이며 총체적 접근방식인 내적인 형상화를 추구했다. 두 번째로 "내적 이미지(mental image)"에 대한 개념 정립이다. 내적 이미지는 단순한 시각상(視覺像)이 아닌, "생각은 이미지를 요구하고 이미지는 사고를 포함한다"는 Arnheim의 명제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이미지는 단순히 작가만이 이해할 수 있는 특수한 개념들이 아닌 표현자의 내부 안에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상(像)을 기반으로 표현 하고자 했는데, 특히 일러스트레이터에게는 목표의 전달(communication)이 중요하기 때문에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의 시각화는 순수한 본인의 체험 하에서 추출했고, 이것이 표현의 진실성을 가능하도록 하리라 생각한다. 이상의 작품 의도와 주제를 실현시키는 방법으로 형태왜곡과 색의 중첩, 그리고 표면의 scratch에 의한 질감에 의해 마무리했다. 구조적 인식보다는 감성적으로 접근하게 되는 이 표현은 현 사회에서 상실된 인간 진실의 회복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어 삶의 깊이를 발견하도록 하는데 있다.;Today, the end of 20th century, we are experiencing many radical changes against traditional values and beliefs in the society and culture. Anxiety as well as vague expectation about the future are growing in mankind. What kind of role does art play in this uncertain age? Is it merely a conundrum to common people, or is it able to act as one source of resolving human problems preemtly in its own way? This study, based on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conflict elements of a human soul, focused on forming the image of a human soul from the inside rather than viewing humans as an external subject from the outside. Especially, the visualization of the modem alienation was mainly treated; Here the human alienation in this text intended to mean not just the state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rrounding a human being, but also 야sharmony in a soul that we are experiencing in modem life. Although the study began from an exploration on my soul, it deals with the illustration for the spiritual problems of contemporary people including me as one indivisual, and it also includes the proposal of a new expression style. To summarize a few important elements in the expression style, first, every express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 style." The concept of the style in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one used in simple external classification but also the combination of artist's soul and the external form. Thus, i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with a unified concept combing the content, and the form, of the expression, rather than a simple mode because the expression cannot be desirably achieved or delivered when the content is separated from the form. Since the process of experiencing our world combines recognizing the external reality (formal style) with realizing the self-consciousness (content style), the concept of the expression has been limitedly represented by the previous approaches that divide an expression into the intellectual part and the emotional part. In my study, different from the the partial approaches above mentioned, the holistic approach to the expression is newly proposed. This is focusing on the artists soul in action which begins on the whole, moving toward the parts, and then achieving the whole again throughout the parts, although an actual work is made up of working on a part after a part. The visualization of the image on the soul was named as "the illustration of the soul" in this study, which aim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llustration of the soul as a style. Also, the image of the human being in the modern world that I pursue in my works is not merely about reacquisition of the image, but, rather, conceptual, holistic, and internal, visualization of it.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the image of the soul." The concept of the image of the soul is based on Arnheim's thesis, "Thoughts demand image, and image involves thoughts," not a simple visual image. The image was expressed in my actual works, on the basis, of the common image in which the spectator can experience the inside of the artist, not, of an external concept which the artist only can understand.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information design where communication of the intention is emphasized. Lastly, the visualization of the image was extracted from my purely personal experience, and, thus, I believe, this inspired the truth of expression in the works. As the methods of expressing the intention and theme of my works, I primarily used color overlapping and surface scratching. This expression, based on emotional, and holistic, approach rather than structural recognition, intend to recover the truths of mankind lost in modern society by finding the depths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