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희-
dc.creator김태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0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covered the 20th century's American dance by the assumption that political situation was closely related to dance. Dancers, who were sensitive to political situation such as ideologies on the basis of political philosophies, class structure that divided into the ruling class and the ruled class and civil rights movement, used political issues as the subject of their work. Therefore the cor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dance could be easily found in their works. To study about the political trend and its characteristics in choreographies produced in American from the middle of 1910s to the early of 1980s, this thesis discussed about many prominent dancers including Isadora Duncan who gave a great influence on the birth of Modern Dance, Edith Segal, Anna Sokolow, and New Dance Group belonged to Workers Dance League, Helen Tamirs and Doris Humphrey who danced in the same period of Workers Dance League, and Yvonne Rainer, Wallflower Order Dance Collective, and Dancers for Disarmament. Isadora Duncan, who had the free spirit of the emancipation of labors, firstly showed that dance could include political situation as the subject of choreography. Workers Dance League advocating communism showed that dance could be combined with the ideology. Helen Tamiris, who described exploited labors in her dance, expanded choreographic subject to black labors, and Doris Humphrey's dance insisted on the development of novel society. Dancers created their works considering political situations and showed influences of political situation on dance such as Yvonne Rainer who participated in anti-war movement, Wallflower Order Dance Collective advocating woman emancipation, and Dancers for Disarmament which led in the anti-nuclear movement by dance works as political expression. Dancers who possess the advanced and radical emancipation spirit, produced the works related to the ideology and class structure as a results of their participates in unstable political circumstances. Through the dance, they expressed their political message and protest against the ruling class. It was regarded as a major contribution that dancer who interpreted the political issue on the side of the public made effort to popularize the dance to public as a human art expressing a social circumstances. Current dance related to political propensity expanded their subject area by participation of politics and developed the dance changing the society as a media of cultural art. this thesis cov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political dance which appeared when political circumstances were not stable, and I hope that this work make a basis of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dance.;본 논문은 정치적 상황과 무용이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전제하에 20C 미국 무용계를 대상으로 이 문제를 다루었다. 정치사상의 기반이 되는 이데올로기와 지배계급, 피지배계급으로 분리되는 계급구조 측면 그리고 민권운동 등의 정치적 상황에 민감한 무용가들은 정치적 이슈를 작품의 주제로 다루었고 이러한 작품들의 공통된 관점에서 볼 때 정치와 무용과의 상호연관성은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10년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의 미국에서 생산된 무용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의 흐름과 그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현대무용 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 '노동자 춤연맹(workers Dance League)'에 소속된 무용가들 중 에딧 시갈(Edith Segal)과 안나 소콜로우(Anna Sokolow) 그리고 '뉴댄스 그룹(New Dance Group)'을 연구하고, '노동자 춤 연맹'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헬렌 타미리스(Helen Tamiris), 도리스 험프리(Doris Humphrey)를 연구하였다. 이어서 이본 레이너(Yvonne Rainer)와 '월플라워파 무용공동체(Wallflower Order Dance Collective)' 그리고 '무장해제 무용가들(Dancers for Disarmament)'을 연구하였다. 노동자 해방이라는 자유정신을 가진 이사도라 던컨은 무용에 있어서 최초로 주제적 대상에 정치적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고,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를 표방하는 '노동자 춤 연맹'은 무용과 이데올로기의 결합을 보여주었으며 억압된 노동자를 묘사한 헬렌 타미리스는 작품의 주제를 흑인 노동자에게까지 확대시켰고 도리스 험프리는 새로운 사회건설에 대한 지지를 보여 주었다. 반전(反戰)운동에 참여한 이본 레이너와 여성해방을 목표로 내세운 '월플라워파 무용공동체' 그리고 예술을 통한 정치적 표현으로 반핵(反核)운동의 선봉에 섰던 '무장해제 무용가들' 역시 정치적 상황을 작품에 끌어들임으로써 정치적 상황과 무용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무용가들은 진보적이고 급진적인 해방정신을 갖고 있었기에 그들이 활동했던 시기의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에 관심을 표명하여 이데올로기 및 계급구조와 연계된 정치적 성향이 나타나는 작품들을 생산해 내었다. 이들은 춤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더 나아가 지배계층에 대한 항의를 보여 주었다. 또한 대중의 편에 서서 정치적 쟁점들을 다루었던 무용가들은 무용이 모든 사회적 환경을 표현하는 범인류적인 예술로서 일반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될 것이다. 오늘날의 무용은 정치적 성향을 보이는 무용이 있었음으로 해서 작품을 통한 정치적 실천과 작품 주제의 폭을 넓혀 무용의 영역을 확대하고, 무용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문화적 예술매체로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 할 때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정치적 성향의 무용들은 정치 상황과 무용을 밀접하게 해 주는 것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무용계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치와 예술간의 상호연관성 = 6 B. 미국의 정치적 흐름 = 15 C. 미국 무용계의 흐름 = 23 Ⅲ. 미국 무용가의 작품을 통해본 정치적 성향 = 33 A. 이사도라 던컨 = 33 1. 정치적 배경 = 34 2. 무용사상 = 38 3.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 = 45 B. 노동자 춤 연맹, 헬렌 타미리스, 도리스 험프리 = 50 1. 정치적 배경 = 53 2. 무용사상 = 57 3.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 = 61 C. 이본 레이너, 월플라워파 무용공동체, 무장해제 무용가들 = 70 1. 정치적 배경 = 71 2. 무용사상 = 75 3.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 = 79 Ⅳ. 미국 무용계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의 특징 = 88 Ⅴ. 결론 = 102 참고문헌 = 106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1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국-
dc.subject현대무용-
dc.subject정치-
dc.subject성향-
dc.title미국 현대무용계에 나타난 정치적 성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a Political Propensity on American Modern Dance-
dc.format.pageviii, 11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