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6 Download: 0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유형에 따른 운영실태 연구

Title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유형에 따른 운영실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ANAGEMENT OF AFTER SCHOOL CHILDCARE BY THE TYPE OF FACILITIES
Authors
장보경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방과아동지도시설유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chool education has some limits in cultivating the ability and aptitude of the child who is curious about every things and people around him and extending its creativity. And the functional weakening of family due to the economical development and increase of woman's employment has increased the number of child without adult's protection after school. By these reasons, there has been a growing tendency that children are left along under the threat of sexual abuse, abandonment and the other harmful environments. Under this circumstance, after school childcare has become an alternative for supplementing the functions of school and family to protect the child safely and helping it to develop emotionally, socially and physically. In Korea, concern for after school childcare began to increase in the 1990s, and various institutes began to carry out after school child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after school childcare by the type of facilities through examination of the theori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hildren's right of receiving welfare and education and conditions of after school childcare of other nations. Also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after school childcare, aim, substance, object, scale and facilities of it,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and community and educational problems - was examined in this study to make propositions for activating after school childcare. To accomplish this aim, relevant literature was refereed and a questionnaire research was executed to the persons in charge of after school childcare facilities, 90 in total.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of starting after school childcare, substance of program and number of target children by the type of facilities, while there i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im of after school childcare for lower grade. Second, in the facility and scale aspects, educational and childcare institutions have an excellent opportunity of making use of the existing facilities, while classes for exclusive after school childcare use are managed mostly by the social institution. Third, as for the teacher in charge, lots of them have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for children's education, and, as to the parents' participation, the level is higher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while that of community's participation is higher in the social institution. Fourth, as for the opinion on the amendment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Law, opposition revealed stronger in the social institution than both educational and childcare ones, but respondents in all the three institution pointed out the problem of sharing facilities for the infan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as the most important. Fifth, as for the problems in carrying out after school childcare, respondent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ointed out excessive task and low payment while those in the childcare and social institutions pointed out financial insufficiency. Based upon this result, the author has made propositions for activating after school childcare as follows;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and ope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exclusive use of facilities for after school childcare is required. And also proper environment and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s develop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cultivation, qualitative improvement of after school childcare teachers and conversion of parents', community's views on after school childcare is needed.;주변사물이나 인간에 대해 호기심이 많은 아동에게 학교교육만으로는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계발하고 창의성을 신장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경제발전과 여성의 취업률 증가로 인한 가족기능의 약화와 방과후에 성인의 보호없이 지내야 되는 아동의 증가는 아동이 성폭력이나 유기, 기타 유해한 환경과 학교폭력등에 그대로 노출되어 여러 가지 많은 아동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방과후 아동지도는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와 가정의 기능을 보완하여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아동이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으로 건전하게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방안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다양한 시설에서 방과후 아동지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 유형별 운영실태, 즉 방과후 아동지도 실시 배경과 목적, 내용, 대상 및 규모와 시설, 교사, 학부모와 지역사회인의 참여, 문제점 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방과후 아동지도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90개소의 서울시내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 책임자를 대상으로 질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에 따라 방과후 아동지도 시작동기나 프로그램 내용, 대상 아동 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저학년을 주 대상으로 방과후 아동지도 목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시설 및 규모에 있어 교육기관이나 보육기관이 기존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시설면은 우수했으나 방과후 아동지도를 위한 전용교실은 사회 기관이 더 많았다. 셋째, 방과후 아동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는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유한 교사가 많았으며 학부모의 참여는 교육기관에서, 지역사회인의 참여는 사회기관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대한 의견으로는 교육기관이나 보육기관에 비해 사회기관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고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세 기관 모두 영유아와 초등학교 아동의 시설공유 문제를 지적하였다. 다섯째, 방과후 아동지도를 실시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교육기관은 교사의 과도한 업무와 낮은 처우를 지적하였고 보육기관과 사회기관은 재정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아동지도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방과후 아동지도시설의 특성화를 추구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설에서 방과후 아동지도를 실시하여 보다 많은 아동에게 요구에 적합한 보호와 지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를 개방하여 아동이 안정되고 편안하게 지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학교의 빈 교실을 활용하거나 학교 교문옆에 소규모의 아동지도시설을 설치하여 아동이 학교시설과 환경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방과후 아동지도 전담시설 설치하여 아동을 보호하고 지도함은 물론 건전한 아동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아동을 위한 적절한 환경구성과 설비를 갖추고 아동의 발달특성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과, 방과후 아동지도 교사의 양성과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의 재정지원, 부모와 지역사회인의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의식전환과 협조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