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문학영역 학습목표 고찰

Title
문학영역 학습목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objects of study in the field of literature
Authors
윤강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문학영역학습목표고등학교국어교과서소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ducation is an intentional process for attaining valuable and desirable behavior. objects in education menas beginning and end of educational process. And such objects have variety of hierarchy. There are various stages including particular and specific objects. In such various hierarchial objects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what is objects of education precisely. But it can be defined as something for which a certain standard can be established by teachers and level of achievement by students ca be measured. For education of literature object for education is important. Only when correct object for education is established securing stature of education for literature will be possible. Under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 of literature is classified as a subordinate field to curricula if Korean language. Depending on how to classify it stature of education for literature can be varied. Orientation of educational curricula for Korean Language text has been inclined to instrument- centered and functionalistic outlook since 5th Revision. An attitude of perceiving improving language function as central task of the text for Korean language is expected to persist even with new curricula in future. The criteria on what should be taught by teacher, how should it be taught and what should be learned by students and how to study literature which belongs to subordinate categor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eing dominated by such logic are very vague. Under the thinking that teaching literature should be freed from conventional by conventional cramming metho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not going on Well.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writer examined objects for education as presented at the first and second text book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high school and could reach to following summary and conclusion: First, no identity in the outlook at the time of selection of object for studying literature can be found. While Korean language texts were dominated by object eyeing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 with literature, a subordinate category to the former, overall understanding of life and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re more emphasized. Second, study unit of literature does not contain basic subject for studying literature. Subjects which should be basically taught in the field of literature are not presently adequately. Furthermore problem is although its presentation is seemingly ideal but suitability of such presentation to real application of such material in class is questionable. Third, there is no criteria for hierarchy for study object in connection with study unit for literature. No systematic setup in unit of literature can be detected and furthermore contradictions and jump of logic appear. Fourth, level of difficulties for study unit for literature is not presented under specific criteria. Fifth, it is a question of relationship between object of study for literature and chosen works. Chosen works are irrelevant to study object thus achieving such object seems difficult. Through this study on object of literature this writer came to conclude that solutions for problems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found ultimately by securing for education of literature. particularity of education of literature entails result of leaving it to abstractness. Now it is a high time that new horizon should be opened for 'education for literature' through cultivation of 'what is educational' in it.;교육은 가치있고 바람직한 행동에 도달할 수 있기 위한 의도의 과정이다. 따라서 교육은 목표를 갖는다. 교육에서의 목표란 교육의 과정의 시작과 끝을 규정한다. 이러한 목표는 다양한 층위를 갖는다. 이념적인 것에서부터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까지 여러 가지 단계가 있다. 이렇게 여러 층위의 목표들 중에서 학습목표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이다 말하기는 어렵지만 교과과정에서 제시하면서 교사가 수업시간에 기준을 설정할 수 있고, 학생들이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학습목표일 것이다. 문학교육에서도 학습목표는 중요하다. 제대로 된 학습목표의 설정만이 문학교육의 위상 정립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문학교육은 국어 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다. 국어 교육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따라 문학교육의 위상은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국어 교육과정은 5차 개정부터 도구 중심주의, 기능주의 교과관으로 변모하였다. 언어 기능 신장을 국어 교과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있는 교과 관점은 앞으로 새롭게 전개될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예상된다. 이러한 국어 교과 인식하에 하위영역인 문학을 교사가 과연 무엇을 가르쳐야 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또한 학생은 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의 기준이 막연하다. 문학은 기존의 주입식 지식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인식하에 문학만의 본질과 특수성으로 전환되면서 국어 교과에서 문학 교육의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 국어 상권과 하권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문학교육의 학습목표 선정시 관점이 일관되지 않고 있다. 국어교과서는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이라는 도구 교과관을 가지고 있는데, 하위 영역인 문학은 삶의 총체성 이해, 인간성 함양 등 문학만의 본질로 치우치고 있다. 둘째, 문학 단원이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내용을 구성하고 있지 못하다. 문학영역에서 기본적으로 가르쳐야 할 내용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이상적으로 제시한다고 해서 교육 현장 실제의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이 더욱 문제이다. 셋째, 문학 단원 학습목표의 위계화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문학 단원이 어떠한 계열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위계의 모순이나 비약이 나타난다. 넷째, 문학 단원 학습목표에 난이도가 어떤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문학 단원 학습목표와 선정된 작품과의 연관성의 문제이다. 학습목표에 따라 선정된 작품이 적절하지 못하여 학습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학 교육의 학습목표 고찰을 통해 제기된 문제점의 해결책은 가장 궁극적인 것으로 문학교육의 위상 정립을 들 수 있다. '문학'만의 특수성은 문학 교육을 추상성에 방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문학 교육은 이제 '교육'적인 함양을 통하여 '문학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진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