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한국의 미의식에 의한 장승의 조형성 연구

Title
한국의 미의식에 의한 장승의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ve Expression of Changsu⌒ng by Korean Esthetic Senses
Authors
오주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한국미의식장승조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ultures and ideals of a race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through the successive interaction with living pattern, culture they have, natural enviroments which they must be faced with, and history which they have gone through. Chansu^ng is not only one of the greatest Korean arts which represents living sentiments and emotions of race by simbolization, but also spirited art in that it enables Korean people to share their hearts and to face toward common ideals. So, the formation study for Changsu^ng connected with tranditional mental world has significance because it enables us to illuminate presen time in the view of past time, to find worth of human being, and to investigate origin of living thoroughly.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esthetic sense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enviroments and esthetic senses, scrutinizes the fomation of Changsu^ng by theoretical researches of that, and proposes the expression mothodology of Changsu^ng in modern embroidery by classification and analyzation of contemporary Korean works which depict Chansu^ng. Technically, this study reconstructs Changsu^ng by reapprearance, omission, exaggeration of that figure, and pursues variations in tint using various pigment paste textile dyestuffs. To express volume and quality of objects efficiently, embossment methodologies are applied by overlapping the textures and attaching woodrocks, wire nets, and hand-made paper. On the embossment, various embroidery methodologies are used. As materials, it uses cotton cloth, yellow hemp, linen, combining yarn cloth, silk cloth, cotton thread, hemp thread, paper thread, silk thread, leather rope, because it fits to expressing texture of Changsu^ng. This study makes several works which include formation charateristics of Changsu^ng, and some conclusions applicable to modern embroidery as the following. First, the form composition by thread lines can lead vertical structure of Changsu^ng to ascensional atmosphere, when Changsu^ng is expressed by embroidery. Second, about the formation of express object, both enlargement and different face direction of Changsu^ng configuration strengthen the spatial and cubic delineation. Third, about the choice of materials,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visual efficiency by using silk cloth, cotton cloth, yellow hemp, and linen as background materials, and by using silk thread, cotton thread, hemp thread, and paper thread, because each material has unique qualities. Fourth, the use of side-matterials as woodrocks, wire nets make it possible to obtain the embossment effects, to extract new formative attraction. The last, piece to piece works caused by shape divisions of Changsu^ng enable to strengthen the space formation and to extend the display style. Suggested further study is to illuminate un limited expressive potentialities of Changsu^ng in modern embroidery which develops as total art by definitive research about optical expression methodology of Changsu^ng's formation.;한 민족의 생활 문화는 그 시대의 민족이 갖게 되는 자연적 조건이나 풍토 생활 습관 및 그 민족의 역사, 문화와 더불어 끊임없는 상호 교류 작용을 하면서 발전하게 된다. 장승은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서 삶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해낸 위대한 예술의 하나이며 단순 소박함 속에서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공동적 이상에로 다가가는 살아있는 미술이다. 따라서 전통의 정신성의 맥락에서 장승의 조형성 연구는 과거 속에서 현재를 조망하는 일이며 우리 민족의 원초적 사고 속에서 인간 실존의 가치를 발견하고 생의 근원을 추구하는 일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미의식에 기초한 장승의 조형적 특성을 섬유 매체를 통하여 현대 자수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환경과 미의식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해 한국의 미의식을 살펴보고 장승의 이론적 분석을 통해 조형성을 고찰하며 한국 현대 작가들의 장승을 표현한 작품들을 분류 분석하여 현대 자수에서의 장승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고유의 장승 모습을 그대로 재현 또는 생략, 과장하는 방법으로 표현하였으며 안료 수지 염료의 일종인 텍스타일 염료를 이용하여 색채의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표현 대상의 양감과 질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천을 겹치거나 우드락, 철망, 수제 종이를 바탕천 위에 부착시켜 부조적 효과를 주고 그 위에 다양한 자수 기법을 이용하였다. 작품의 표현 재료로는 나무 장승의 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에 적합한 광목이나 황마, 삼베, 합성 섬유 직물, 견직물과 면사, 마사, 지사, 견사, 가죽 끈에 사용되었다. 장승의 조형적 특성을 자수 작품으로 제작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대 자수에서의 표현 가능성을 얻게 되었다. 첫째, 자수 기법에 의한 실의 수직적 방향은 장승의 형태를 상승적인 분위기로 이끌었다. 둘째, 장승의 크기 변화와 장승의 얼굴 방향을 달리 함으로서 화면내의 공간감과 입체감 표현을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올이 굵은 견직물, 광목, 황마, 삼베를 바탕감으로 사용하고 견사, 면사, 마사, 지사를 사용함으로서 각 재료의 독특한 재질감으로 인하여 시각적 질감 효과를 주었다. 넷째, 우드락이나 철망과 같은 부재료의 사용으로 부조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새로운 조형미를 도출하기도 한다. 다섯째, 장승 형태의 독립성으로 인한 피스(Piece) 설치는 현대 자수에서의 공간감 표현과 설치 유형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앞으로 장승의 조형 의식에 대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본인의 조형 활동의 연구 과제로 삼아 종합 예술로 발전한 현대 자수 안에서 장승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