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정신지체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지체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the Supported Employment
Authors
김영애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정신지체인지원고용고용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신지체인등 중증장애인의 고용은 사업주의 편견과 직장적응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초 이렇게 일반고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증장애인을 위해 '지원고용'이라는 새로운 직업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인정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초기부터 일부 재활기관에서 지원고용을 도입한 프로그램을 실시 해오고 있는데 관련 연구가 거의 없고 특히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실시중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프로그램 종료 후의 취업여부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들 분석하고 영향력을 살펴보아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책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프로그램에 참가한 정신지체인 158명이며 이를 위해 이들을 지도했던 직무지도원과 실습대상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logistic regression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인 관련변인에 있어서는 대상정신지체인의 연령이 높고 작업능력과 생활태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될수록 취업률이 높았다. 둘째, 대상사업체 관련변인에서는 사업체의 상시근로자수가 작을수록, 즉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프로그램 종료 후 취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지도원 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직무지도원이 복지관 등 장애인 관련기관 직원과 자원봉사자였던 경우, 직무지도원이 사업체 인사담당자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한 경우, 그리고 프로그램전 정신지체인과 접촉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원체계에 있어서는 사업체의 인사담당자의 도움정도가 클수록 취업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상의 각 집단변인들 중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재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정신지체인의 연령, 작업능력, 생활태도, 사업체의 상시근로자수, 직무지도원과 인사담당자의 협력정도가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먼저 실무적인 제언으로서는, 첫째, 정신지체인의 작업능력 및 생활태도가 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대상자의 작업능력 강화 및 생활태도, 작업력의 향상을 위해 대상자에 따라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기간의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 둘째, 대상사업체 선정시 소규모의 사업체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되 장기적인 고용안정의 측면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대규모의 사업체에도 취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지원고용에서는 직무지도원의 역할이 중요한 바, 직무지도원의 체계적인 양성 및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서는, 첫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직무지도원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을 위한 직무지도원 관련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셋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In Korea, the rate of the employment of the severely handicapped has not improved, in spite of the act for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Especially people with severely handicapped have more difficulty in getting a job than any other handicapped ones. Since 1980's th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employment of the severely disabled in general firms, has developed in America, the supported employment, as we know now, turns out to be effective program for the severly disabled employment in many countrys. So we Korean rehabilitation institutions have tried to exercise this program from the early 1990's. But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the supported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upported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make the policy on supported employment development. And 'the success' is confined as the employment itself, this is kind of outcomes from this program. The data of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the practitioners, employee and persons in formal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upported employment by KEPAD(Korean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Person). And research data was analys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et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for concerning variable of the retarded, the older they are and the more positive their working ability and living attitude are, higher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is. Second, for concerning variable of the company,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is higher in a small to medium sized company than big company after finish of the program. Third, the analysis of concerning variable of Job Coach is that when Job Coach was the employee of the agency of the handicapped or volunteer, when he or she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staff of Personnel Depart of the company, and when he or she had a contatact with the retarded before program, there was a meaningful influence at employment. Fourth, more help of the person in charge of personnel of the company mad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high. Fifth, as we analyze above variables of each group which have effect on the program concerning employment, the most influensive factor at the efficasy of program are the age of the retarded, working ability, living attitute,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e of compan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ach and personnel staff. With base of this research, we can make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employment program as follows : First, as the working ability and living attitude have an influence on the employment, the period of the program should be operated more flexibely in order to reinforce these factor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Second, small-to-medium company is suggestd to be chosen with priority and solution of the employment of big company for stabilization of long term employment should be prepared through official and unofficial supporting system. Third, the traning program for the Job Coach who has important role in the program is suggested to be set up. For the suggestion for the following research : First, the rearsch should be made with setting up variously the efficacy employment program. Second, Job Coach related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role of Job Coach should be made systematically. Third, the standard tool which can evaluates the efficacy of the suport employment program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