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9 Download: 0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자아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Title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자아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Stress Coping Training On Stress Perception Degree and Self-Actualization Tendency
Authors
이미경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스트레스대처훈련지각정도자아실현경향성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e may help college students reduce or prevent stress through counseling if we understand the nature of stress they experience in everyday life. Under the assump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Training as a type of group counseling on the Degree of Stress Perception and change of Self-Actualization Tendency of the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s the subject of study, 36 college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to see the effects of counseling. They had high level of Stress Questionnair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one be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ontrol group.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5 sessions of training, mean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during the period. As the pre-test and post-test, two sets of instruments(Stres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Test of Self-Actualization) were given to them. And data processing was as follows : Calcuation and comparison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measurement of attentiveness with T test. The subject of study an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Q : If they go through the Stress Coping Training, will their Degree of Stress Perception Level reduce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 : After the training, the Stress Group(experimenta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egree reduction on Stress Perception Level,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P<0.01). 2) Q : If they go through the Stress Coping Training, will the Degree of Self-Actualization Tendency significantly enhance,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 : After the training, the Stress Coping Training Group(experimenta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egree of enhancement of Self-Actualization Tendenc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P<0.001) 3) Q : Where will a significant difference be found, if there is reduction in a score of the Stres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after the treatment? A : As a result of this training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ontrol group in five areas of skill of human relation(P<0.001), general personality(P<0.01), physical condition, personal relation at home, and pride(above P<0.05). 4) Q : Where will a significant differences be found, if there is an enhancement in a score of the Self-Actualization Test after the treatment? A : As a result of this training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seven areas of self regar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above P<0.001), inner directed, spontaneity, self acceptance(above P<0.0l), time competent, and feeling reaction (above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ir appraisal stress became objective and realistic, and their coping pattern was highly problem-oriented and their distress symptom recuced practically.;본 연구는 스트레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자아실현 경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알아 보고자 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의미있게 감소할 것인가? 2.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자아실현경향성이 의미있게 증가할 것인가? 3.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척도의 어떤 하위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겠는가? 4 .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자아실현검사의 어떤 하위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겠는가? 실험절차를 보면 먼저 S여대 심리학과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은 순서대로 36명을 선정,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동질적으로 각각 18명씩 배정하였다. 그후 실험집단을 다시 2집단(각 집단별9명)으로 나누었고, 연구자가 상담자가 되어 5주간에 걸친 스트레스 대처훈련을 실시하였는데 그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 두 집단에서의 사전, 사후검사로서 "대학생 스트레스 척도"와 "자아실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타난 훈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계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1) 2.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자아실현경향성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01) 3.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척도의 14개 하위영역 중 인간관계에 대한 기술(P<0.001) 일반성격(P<0.01), 신체적 조건, 가정에서의 인간관계, 자존심(이상 P<0.05)등 5개 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4.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자아실현검사의 10개 하위영역 중 3영역을 제외한 7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자기긍정성, 포용성(이상 P<0.001), 내부지향성, 자발성, 자기수용성(이상 P< 0.01), 현재지향성, 감수성(이상 P<0.05)영역에서 각각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통제집단과 비교해 볼 때 실험집단은 같은 상황일지라도 예전에 비해 스트레스로 지각하는 경향이 감소하였으며, 내적 동기에 의해 현실을 보다 충만하게 영위하고자 하는 자아실현경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자아실현경향성이 상호역동적인 스트레스의 관점에서 이해, 접근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훈련을 통하여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객관적 관찰과 현실적인 평가 그리고 효과적인 자기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