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昭英-
dc.creator李昭英-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전문직업인으로서, 영리성이 배제되지 않은 신문사라는 조직체에 몸담고 있는 기자들의 갈등을 직업만족의 관점에서 다룬 것이다. 전문인인 기자들이 자신의 직업에 소명의식을 느끼고 자신이 근무하는 신문사에 애착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정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아래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전문화성향과 직업만족도 그리고 직업투신도(Occupational Commitment) 및 직장소속감(Organizational Commitment)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 모형의 타당성을 밝히는 과정을 통해 시정되어야 할 사항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이 세워졌다. 1. 전문화성향 수준에 따라 직업만족도는 다를 것이다. 2. 전문화성향 수준에 따라 직업에서 불만 혹은 만족을 느끼는 요인이 다를 것이다. 3. 직업만족도 및 요인별 만족도에 따라 직업투신도 및 직장소속감은 달라질 것이다.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본사를 두고있는 일간지 기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전산처리 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문화 성향이 높은 기자 일수록 현재의 직업과 관련된 사항에 더 많은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또 전문화 성향이 높을수륵 전문인적 가치-표현의 자유, 지적 능력의 발휘 등-에 대한 불만도가 높았고, 비전문인적 가치에 대한 불만도에는 전문화성향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각 전문화 성향 수준에 따라 직업에 불만을 느끼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전문화성향이 높은 기자와 중위의 기자들은 전문인적 가치에 대한 불만도가 비전문인적 가치에 대한 불만보다 더 높았는데 비해, 전문화성향이 낮은 기자들은 그 반대의 현상을 보였다. 3. 직업만족의 양상에 따라 직업투신도 및 직장소속감에 차이를 보였다. 즉 직업만족도가 높은 기자들은 직업투신도와 직장소속감이 높았다. 그러나 전문화 성향에 따른 직업투신도나 직장소속감의 정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직업투신도나 직장소속감을 결정짓는 요인은 직업만족양상임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전문화성향과 전문인적 가치만족도를 함께 고려했을 때에는 전문화 성향이 직업투신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다변인회귀 분석 결과) 전문언론인의 직업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인적 가치를 충족 시켜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직장 소속감은 전문화 성향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직업만족도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다.;This study stressed the conflicting nature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onal commitment of a journalist as a professionalist. While members of other classical professions are able to practice without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ists are almost totally dependent on organizations for dissemination of their product. And the nature of mass media organization is dualistic; profit oriented along with public service oriented.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the factors which lead to deterioration in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Korean journalists. We assumes that job satisfaction- the enviornmental factor- would more directly affects the commitments of a journalist than professional orientation attitude factor of a journalis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we verified this assumption. We hypothesized as follows: 1. The more professionally oriented journalist would less satisfy with present situation and affairs related to his or her job. 2. The dissatisfier of high professional would different from that of semi or low professional. 3.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ould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4. The diterminants of occupational commitment level would different from tha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reporters who were working for daily newspaper in Seoul. Data gather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s hypothesized high professionally oriented journalist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job, especially with professional area- freedom of expression, full use of intellectual skill etc. However, in nonprofessional area such as salary, job security, working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ofessional orientation levels. And the job dissatisfier was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orientation level. The level of occupa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were determine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especially by the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area. But the level of professional orientation level had little influence to commit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문제의 진술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전문직으로서의 언론과 언론인 = 6 B. 언론인의 전문화와 전문화성향 = 11 C. 전문화 성향과 직업 만족의 관계 = 15 D. 직업만족과 직업애착도 및 직장 소속감의 관계 = 22 E. 본 연구의 이론적 구조의 틀 = 29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설계 = 31 B. 자료의 수집 = 31 C.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 34 D. 연구가설 = 4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5 A. 전문화성향과 직업만족 = 45 B. 직업만족과 직업투신도 = 48 C. 직업만족과 직장소속감 = 54 D.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 및 해석 = 59 Ⅴ. 요약 및 결론 = 63 A. 연구전체의 요약 = 63 B. 결론 = 66 C.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0 설문지 = 75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64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언론인-
dc.subject전문화 성향-
dc.subject직업만족도-
dc.title우리나라 언론인의 전문화 성향과 직업만족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앙 일간지 기자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Profession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Journalists : In Case of Daily Newspaper Repoters in Seoul-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