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도시저소득층지역의 지역사회조직실천(copractice)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

Title
도시저소득층지역의 지역사회조직실천(copractice)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in the Urban Communities of the Low-Income Class : with Focus on Legal Advocacy Strategy and Self-Help Strategy
Authors
홍현미라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도시저소득층지역지역사회조직실천copracticelegal advoc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저소득층 지역사회 문제에 개입한 주민운동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조직의 주요 목적인 임파워먼트를 위한 개입전략의 측면에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각각을 분절적·평면적으로 다루고 있을 뿐, 특정 상황 속에서 사회사업가의 관점과의 상호작용속에서 채택되는 전략선택과 기술사용, 그리고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역동성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지 재개발사업이라는 동일 사건을 만난 각 사례에서 조직가의 관점이 어떻게 달랐으며, 목적 설정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또한 그것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전략선택과 기술사용의 과정, 조직가의 역할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그 실천의 결과는 무엇인가를 나타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두 사례는 자신의 주요 전략으로 각각 '합법적 대변(legal advocacy)'과 '자조(self-help)'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 두 전략은 공히 빈곤한 클라이언트를 원조하는 데 사용되어지는 전략이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전략사용의 수행주체, 방법, 그리고 각 전략의 강점과 한계점에 있어서 극명하게 대비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두 전략을 선택한 각 사례들이 지역사회 수준에서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형성이라는 목적을 어떻게 달성하고 있는가에 대해 그 과정을 보여주고 각각의 강점과 제한점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각 지역사회조직 전략에 대한 사회사업적 함의를 정리해 보았다. 사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합법적 대변 전략에서 임파워먼트의 내용은 클라이언트 자신의 권리의식에 대한 자각이며, 이러한 자각된 권리를 제도적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대변전략에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자조전략에서의 임파워먼트 수준보다 낮다고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변전략에서의 임파워먼트의 목적이 사회정의를 위한 환경의 개선에 있기 때문에 임파워먼트 형성과정 자체가 공평한 자원의 배분, 자기 존중과 지식, 기술의 향상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합법적 대변 전략을 취한 조직은 자조전략을 취한 조직과 다르게 지역사회 내의 정치적·제도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우위에 설수 있으며, 이 전략은 일반적인 복지(general welfare)의 목적인 사회 정의를 실현할 책임을 실천는데 용이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합법적 대변전략이 기능주의적 관점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대변전략에서 볼 수 있었던 지역사회 갈등의 요소를 오히려 약화시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해결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중심 자원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원활한 관계 형성을 보이면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합법적 대변전략에서의 조직가는 브로커, 교육자, 훈련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합법적 대변 전략의 한계점은 클라이언트 의존성의 문제를 증대시킨다는데 있다. 반면에 자조전략은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는 조직 구조와 사업 내용을 설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참여 속에서 자신의 강점과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능동성을 강화하고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높이는 전략임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사례에서는 빈곤한 클라이언트의 의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적 자활시스템을 구축하고 클라이언트의 자생적인 조직을 강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를 지역사회 문제예방 및 해결의 능동적인 주체로 나서게 하는데 강점이 있다. 그런데 자조전략과 갈등주의적 관점이 결합함으로써 자조전략의 강점인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과 자원 동원의 유인력을 오히려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자조 전략이 클라이언트의 사회 문제에 대한 비평적인 시각을 둔화시키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에 반하여 본 연구의 사례는 갈등의 시각을 자조전략에 내재시킴으로써 토착 지도력을 더욱더 강화시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 한 자조 전략에서 조직가는 자원자문가, 감지자, 학습 관리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자조전략의 한계점은 자조그룹 구성원의 이익에 기반하기 때문에 사회 정의를 위한 복지 실현을 위한 실천에 민감하지 못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사례분석 결과가 사회 복지 실천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함의는 도시저소득층 지역사회 문제에 개입하여 지역사회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할 때 임파워먼트를 기반으로 한(empowerment-based) 개입전략이나 개입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임파워먼트 형성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처한 상황 및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클라이언트들간의 관계망과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과 자원에 대한 통제를 통해 지역사회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봤을 때, 도시저소득계층과 같이 경제적·정치적으로 소외되어 있고 불우한 처우에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사회사업가가 개입하고자 할 때 '임파워먼트 형성'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개입 목적이다. 하지만 임파워먼트 형성과정에서 주의할 점은 각 조직이 선택하고 있는 전략에 따라 임파워먼트 형성의 과정과 수준 및 조직가의 역할이 달라지기 때문에 전략을 선택하려고 했을 때 이러한 점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번째 함의는 도시저소득층 지역사회조직방법에 있어서 합법적 대변전략과 자조전략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합법적 대변전략은 도시저소득계층에 대한 법률상의 주거 권리, 재개발사업 진행 시 폭력적인 환경에 노출되는 아동 청소년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보호권리 등 클라이언트의 법적권리를 실제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합법적 대변전략은 빈곤지역 아동의 결식 문제와 같이 아직 법안으로서 마련되어 있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권리에 대해서는 법률로 제정하도록 하고 있고, 법률화된 법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자각시키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대변전략은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대변하고 더 나아가 제도적 환경을 마련함으로서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지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자조전략은 불안정한 고용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자활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용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임대아파트 슬럼화와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으로서 임대아파트 자치환경을 위한 지역사회조직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빈곤한 클라이언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대안적 서비스 창출의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합법적 대변과 자조전략은 도시저소득층 지역사회문제 예방과 해결에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지면서 유용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합법적 대변전략은 전문가 역할을 강조하면서 자조전략은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면서 지역사회 문제에 개입하고 있다. 따라서 이 두 전략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두 전략은 서로간의 다양한 접근들 속에서 상호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두 전략 모두가 도시저소득층 지역사회문제에 유용성을 지니며 앞으로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세번째 함의는 사회사업가의 관점과 클라이언트 욕구간의 균형의 중요성이다. 본 사례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사업가가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은 문제해결 과정과 전략 선택 그리고 조직가의 역할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전문직의 사회사업가는 선택된 전략에서 예측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예견하고 그에 대한 한계점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지역사회조직 실천에서 클라이언트를 임파워링시키고자 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클라이언트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회사업가의 관점과 클라이언트의 욕구 둘 중 어느 하나에 치중하게 되면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일반적인 복지 실현을 위한 사회사업의 사회적인 의무 사이에 균형을 잃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함의는 지역사회 조직 방법론의 전문화라는 맥락에서 개입 전략과 기술의 전문화가 주민운동과 민간사회복지기관 모두에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민운동은 30여 년간의 실천활동을 통해 축적한 조직화 기술을 자료화(data base)하여 개입기술과 전략에 대한 정보와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민간사회 복지 기관은 재원의 의존성과 개입기술의 부재라는 조건속에서이러한 개입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개방적 노력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조직 방법론의 개입전략과 기술의 전문화를 이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논문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점을 갖는다. 각 전략에 대해서 많은 사례들을 통해 도출해 낸 강점과 한계점들이 아니기 때문에 좀더 풍부한 사례 연구에 대한 이론적 조명을 통해 일반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논문의 목적상 지역사회조직 실천의 조직화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고찰하지 못하였다. 특히 토착지도자 창출의 과정, 임파워먼트 형성을 위한 기술, 자원 동원 방법과 지역사회조직 외부세력에 대한 협상과 로비 전략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하였다.;This study is to explore involvement strategies for empowerment by comparing two cases of poor people's community organizations which had aimed at solving their problems in the neighborhood. Previous similar studies seem to fail to systematically explain interrelations among selection of strategies, use of skills and dynamic process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between two organizations formed in the process of redeveloping poor people's communities. How did the two groups of organizers differ in perspectives on organizing people? What effects did those perspectives have upon setting their objectives of organizing? How did the two organizations differ in selected strategies, processes of using skills, and organizers' roles? Lastly, in what did the different ways of organizing result in terms of practical performance? The research on two cases addresses as main strategies 'legal advocacy' and 'self-help', which are sharply differentiated in ways and subjects to apply strategies to supporting poor peopl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strategy. This paper intends to show how each organization separately adopts these two kinds of strategies to achieve its goal of empowering people in the community level. From the viewpoint of social-work, this study also has the purpose of finding out a meaning of strategies of community organizations seeking to settle social problems in the neighborhood. The case analyses show that in legal advocacy empowerment consists in clients' being conscious of their rights, and the clients' rights can only continue to be kept by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med by right-consciousness. Most importantly, empowerment level in legal advocacy strategy should not be considered to be lower than that in self-help strategy, for empowerment in legal advocacy strategy aims at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social justice, so that the empowerment process itself is directed to fair distribution of resources, self-respect and knowledge, and improvement on skills. Differently from an organization with self-help strategy, the one with legal advocacy strategy is likely to have advantages of making favorabl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performing more efficiently its duty of implementing social justice - a goal of general welfare. This legal advocacy strategy is characterized by tendency to weaken conflicts within the community, when it combines with functionalistic points of view. This strategy also tends to make a success of gaining access to fundamental resources, the key factor of solving problems. In legal advocacy strategy, organizers play roles as brokers, educators and trainers. A defect of the legal advocacy strategy is that it causes clients' dependency. On the other hand, having structures and programs that most allow clients to make decisions of their own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self-help strategy leads cli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to put their own skills to good use. In that regard it can be said to be the strategy which promotes the clients' activity and heightens the level of empowerment. As described in this case study, poor clients rely on the self-help strategy to build an economic self-help system and to strengthen their spontaneous organization. As a result, clients have played active roles in preventing and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However, when the self-help strategy combined views based on conflict theory, it led to the result that clients' problem-solving capability, one of the best merits of self-help strategy, lowered and their access to resources diminished. While traditional self-help strategies tend to dull the clients' critical points of view on social problems, the case dealt in this paper shows that self-help strategy armed with viewpoints of conflict can strengthen the grassroots leadership. In self-help strategy of this kind, organizers play roles as resource consultant, sensitizer, manager of learning. Self-help strategies have a demerit that they may not efficiently implement social welfare for justice, for it aims at meeting the interests of members of self-help groups.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has for implementing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dopt empowerment-based involvement strategies and skills, when social workers try to engage themselves in solving social problems in the community. Among other things, social workers who intend to approach such poor clients with unfavorable conditions as the urban low-income brackets should give priority to the goal of empowerment. But what must be born in mind is the fact that processes, levels of empowerment and roles of organizers can vary with the strategies each organization adopts. Secondly, both strategies - legal advocacy strategy and self-help strategy - can be properly combined into advisable ways to organizing communities of the low-income class. Each of these two strategies has merits of its own, so is supplementary to each other. Thirdly, important is the balance between social worker's point of view and clients' needs. Too much emphasis upon either of two strategies may cause to break the balance which must be kept between clients' need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of social work. Lastly, not only community organization movement but private social welfare agencies need the specialization in involvement strategies and skills in that recently community organizing requires more specialized methodology. This stud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more in-depth research in tim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does not go so far as to generalize. As the cases analyzed here are limited to just two organizations, generalization of this paper's conclusion must await more thorough another study based on much more cases. Secondly, this paper does not examine in detail the skills of community organiz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oesn't lie in that concern. Especially emerging processes of leaders within communities, skills of empowering people, methods for mobilizing resources, strategies for lobbying and negotiating with outside groups are still to be investigated by another research in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