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徐載喜 | - |
dc.creator | 徐載喜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10:08:20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10:08:20Z | - |
dc.date.issued | 1998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2410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74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06 | - |
dc.description.abstract | 텔레비전은 우리 생활에서 보편성과 중요성 만큼이나 견제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어린이에게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는 텔레비전을 둘러싼 부정적인 규범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텔레비전의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력에 대한 가정이 깨지면서 그 효과를 중재하는 중요한 변인으로서 가족이 등장하게 되었다. 가족은 일차적인 사회화 기관인 동시에 대부분의 텔레비전 시청이 가정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와 텔레비전의 관계에 있어서의 가족의 역할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어린이가 텔레비전을 어떠한 매체로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과 어떠한 프로그램을 얼마나 시청하는가라는 시청행태에 부모의 규범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텔레비전과 가족과의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텔레비전에 대한 어린이들의 생각이나 시청 행태와 관련하여 가족 커뮤니케이션 규범을 주목해왔다. 그러나, 상황중심적인 규범에 지배받는 우리나라 가족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일반적인 행위 규범인 커뮤니케이션 규범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이라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규범의 개념도 어린이의 시청행태를 설명하는 데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가정에서의 사회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모의 시청 개입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부모의 TV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규범에 따라 부모의 시청 개입이 질적, 양적으로 다르며 그것이 자녀의 TV 규범과 시청행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과 어머니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3명이 참가한 어린이 조사에서는, TV 규범을 묻는 설문조사와 함께 실제 시청 행태를 알아 내기 위하여 1주일간 시청 일기를 작성토록 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여 TV 규범, 커뮤니케이션 규범, 시청 개입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 부모의 TV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규범에 따른 시청 개입의 차이에 관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TV 규범이 시청 개입정도를 결정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으나, 커뮤니케이션 규범이 시청 개입 방식을 결정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TV 규범은 전반적인 시청 개입 정도는 물론, 부정적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커뮤니케이션 규범은 긍정적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통제 지향적인 어머니들이 긍정적 개입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미국에서 행해진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어머니의 시청 개입이 자녀의 TV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또한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어머니의 시청 개입 정도가 자녀의 TV 규범에 미치는 영향은 검증되지 못하였지만, 시청 개입 방식이 시청 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검증되었다. 즉, 어머니의 시청 개입은 규범 보다는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어머니의 TV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규범이 자녀의 TV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어머니의 TV 규범은 자녀의 TV 규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의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시청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커뮤니케이션 규범은 가설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즉,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게 통제지향적인 어머니의 자녀가 오히려 규범적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가정에서의 텔레비전 수용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텔레비전과 관련된 어머니의 영향력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규범 보다는 텔레비전 규범이라는 상황중심적인 규범이 더 설명력이 있다는 것이다. 비록 그 영향력이 미약하기는 하였으나, 어머니의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이 자녀의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청 개입 방식과 정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녀의 시청행태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규범은 자녀의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 보다는 시청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패턴은 미국에서 행해진 선행연구와 달라, 우리나라 가족의 커뮤니케이션이 독특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통제지향적인 어머니가 자녀의 시청에 긍정적 개입을 많이 함으로써 규범적인 프로그램의 시청을 장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가족 커뮤니케이션 규범에 대한 개념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텔레비전 이용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어머니의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직접적인 시청 지도의 필요성을 일깨워주었다. 이는 텔레비전의 영향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텔레비전을 이용하고 개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의미를 창조해낼 수 있는 수용자의 모습을 요구하는 것이다.;Television has been a part of our live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blamed for social and personal problems. Much concern has especially been expressed about its harmful impact upon children. As assumptions on its direct and powerful influence was broken down, the family emerged in the study of TV as the primary intervening variable in its effect process on audience. Because TV is viewed in a family environment, family has its importance in the study of TV.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family role not in children's interpretation and cognition of TV content, but in children's TV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is study focuses on TV norms - what children think of TV and the TV behavior they exhibit concerning how much and which programs they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ole maternal norms play in influencing children's TV norms and behavior, as pointed out by the socialization theory. Much of the studies of TV and family have focused on family communication norms--control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orienta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oughts about TV and TV behavior. If we consider that Korean families are controlled by situational norms, the concept of TV norms that are situation-specific is required. The concept of viewing mediation is introduced to better explain the influence process. That is, this study presents the theory that maternal TV norms and communication norms influence maternal mediation of childrens' TV viewing which in turn influences children's TV norms and TV behavior.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183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a one-week viewing diary. Their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TV norms, communication norms, and mediation practice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mediation varied according to maternal TV norms and communication norms. While the hypothesis that maternal TV norms would determine mediation level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maternal communication norms would determine mediation forms was rejected. Maternal TV norms determined negative mediation as well as mediation level. Maternal communication norms had influences upon positive mediation; a distinctive outcome was that control-oriented mothers engaged in positive mediation practices more than communication-oriented mothers do. The hypothesis that maternal mediation would influence children's TV norms and TV behavior was partially supported. Although there was a lack of influence of maternal mediation level on children's TV norms, there was an influence of maternal mediation forms on children's TV behavior. We confirmed that maternal mediation exerted beet influence more upon behaviors than norms. Influences of the mothers TV norms and communication norms upon their children's TV norms and behavior were examined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Maternal TV norms had weak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TV norms. However, communication norms showed contrary patterns to prediction. Mothers' control orientation was more highly correlated to children's normative program viewing. These results are suggestive about television viewing in the Korean family environment. First of all, situational TV norms rather than general communication norms can explain more about maternal influences on TV viewing. Even though the impact was partial, maternal TV norms influenced not only children's TV norms, but also maternal mediation and children's TV behavior. In comparison with TV norms, communication norms influenced children's TV behavior rather than children's TV norms, but the pattern was distinct from previous research representing Korean family characteristics. The result that control-oriented mothers mediated children's TV viewing more positively than communication-oriented mothers indicates more study on communication norms in Korean families is required. This study confirmed the mothers role in her children's TV relationship.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arental norms about TV, communicative styles and, above all, the necessity of mediation of children's TV viewing. A member of an audience is not a passive receiver of direct influences of TV, but an active user of TV and a creator of personal meanings through communication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 ⅰ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 C.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텔레비전에 대한 규범과 시청행태 = 6 1. 텔레비전 규범 = 6 가. 매체 자체에 대한 규범 = 7 나. 내용에 대한 규범 = 8 다. 시청행위 규범 = 9 2.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 = 10 3.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와의 관계 = 12 B.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의 사회화 = 14 1.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의 사회화 = 14 2.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의 지속성 = 16 C. 텔레비전규범과 시청행태의 사회화기관으로서의 가족 = 17 1. 텔레비전과 가족에 관한 연구 경향의 변화 = 18 가. 텔레비전이 가족 생활에 미치는 영향 = 18 나. 가족 생활 속에서의 텔레비전 = 19 2.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의 사회화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에 관한 선행 연구 = 20 가.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Family Communication Pattern) = 20 나. 부모의 시청 개입(parental mediation) = 26 다.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부모의 시청개입 그리고 그 영향 = 30 D.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에 관한 이론적 모델 = 31 1. 우리나라 가족의 특성 = 32 2. 한국 사회에서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 33 가. 부모의 규범 = 34 나. 부모의 시청 개입 = 36 (1) 부모의 규범에 따른 시청 개입 정도와 방식 = 36 (2) 부모의 시청개입이 자녀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 = 37 다. 부모의 규범이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 = 38 (1) 부모의 규범이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에 미치는 영향 = 38 (2) 부모의 규범이 어린이의 텔레비전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 = 39 E. 연구가설 = 42 Ⅲ. 연구방법 = 44 A. 연구설계 = 44 B. 연구대상 및 절차 = 45 1. 연구 대상 = 45 2. 연구 절차 = 46 C. 응답자의 속성 = 47 1. 응답자의 개인적 속성 = 47 가. 어린이의 성별 = 47 나. 어머니의 속성 = 49 2. 응답자의 가족 구조 = 49 D. 측정척도의 구성 = 50 1. 어머니의 커뮤니케이션 규범 = 51 가. 커뮤니케이션 규범에 있어서 어머니와 자녀의 인식 차이 = 51 나. 커뮤니케이션 규범의 지수화 = 52 다. 커뮤니케이션 규범 집단의 분류 = 54 2. 어머니와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 = 55 가. 어머니와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 척도 = 55 나. 텔레비전 규범 척도의 지수화 = 56 다. 텔레비전 규범 집단의 구분 = 57 3. 어머니의 시청개입 = 58 4. 어린이의 시청행태 = 62 Ⅳ. 연구결과 = 68 A. 어머니의 텔레비전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규범이 어머니의 시청개입에 미치는 영향 = 68 1. 어머니의 텔레비전 규범과 시청개입 정도 = 68 2. 어머니의 커뮤니케이션 규범과 시청 개입 방식 = 70 3. 소결론 = 74 B. 어린이의 텔레비전 규범에 대한 어머니의 영향 = 75 1. 어머니의 시청 개입과 자녀의 텔레비전 규범 = 75 2. 어머니의 텔레비전 규범과 자녀의 텔레비전 규범 = 75 3. 소결론 = 76 C. 자녀의 시청행태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 = 77 1. 어머니의 시청 개입 방식과 자녀의 시청행태 = 77 2. 어머니의 커뮤니케이션 규범과 자녀의 시청행태 = 83 3. 소결론 = 85 Ⅴ.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86 A. 연구의 요약 = 86 B. 논의 = 88 1. 연구 문제에 대한 논의 = 88 2. 종합적 논의 = 90 C.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 = 92 참고문헌 = 94 부록 1 설문 지도 (Questionnaire map) = 103 부록 2 어머니 설문지 = 104 부록 3 어린이 설문지 = 116 부록 4 어린이 시청일기 = 125 ABSTRACT = 127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4468396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어린이 | - |
dc.subject | 시청행태 | - |
dc.subject | 어머니 | - |
dc.subject | 텔레비전 | - |
dc.subject | 규범 | - |
dc.subject | 커뮤니케이션 | - |
dc.subject | 시청개입 | - |
dc.title | 어린이의 시청행태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텔레비전 규범, 커뮤니케이션 규범, 시청개입을 중심으로 | - |
dc.title.translated | Influence of mothers on children's TV behavior : TV norms, Communication norms, and mediation | - |
dc.format.page | xi, 129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 |
dc.date.awarded | 1998.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