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숙-
dc.creator이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45-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 and behavior of specific individuals by accurately assessing self-image factors on how humans see themselves and to determine how participation in dancing activities relates to forming self-image on the assumption that this accurate understan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agnosing and predicting behaviors of the individuals. To this end, the study will address questions such a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mage whether the individuals have participated in the dancing activities or not.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m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dur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by the individual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mage according to types of participation in dancing activities (the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a total of 400 persons, composed of 200 dancing majors from high school and university in Taejon City and the South and North Chungchong Province and 200 dancing non-majors, as of 1997. A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as used. In data processing, responses deemed to be insincere and unreliable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fter the collection of the data containing the completed questionnaire. After this, methods such as T certification for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elf-image of majors and non-majors; ANOVA for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self-image in the fields of gender, education level, types of major, level of particip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for dancing majors and types of major by using sub-factor of self-image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data analysis utilizing SAS, the data to be analyzed were individually input into the compu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comparison of self-image among the dancing majors, majors of modern danc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all areas of general, family, mental and physical self-image factors, except social self-image factor. Secondly, as for the comparison of self-image in the dancing majors, majors of modern dancing showed higher than other majors in social self-image (P<·00144) and physical self-image (P<·048) among the self-image factors. For the comparison of gender,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in general self-image (P<·0424), social self-image (P<·0500) and physical self-image (P< ·0001) among the self-image factors. In addition, for the comparison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dancing, including career, frequency and intensity, it showed that only physical self-image factor has been high among the individuals having high career and frequency ratings. Thirdly, as for the Discriminant Analysis of majors and non-majors using the self-image factor, it was shown that the orders of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are sequentially : general self-image (0.851), physical self-image (0.545) and social self-image (0.355), Also as for analysis of types of dancing majors, it was shown that the order of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are sequentially : social self-image (0.886), general self-image (-0.578). physical self-image(0.462) but the distinction was not considered to be significant.;본 연구는 인간이 자기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한 자아개념 요인들을 정확히 파악하므로서 특정 개인의 성격과 행동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해는 그 개인의 행동을 진단 및 예언하게 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전제로 하여 무용활동에의 참여가 자아개념의 형성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1) 무용 활동 참여 경험유무에 따른 자아개념은 차이가 있는가 2) 무용 활동 참여 정도(기간, 빈도 강도)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있는가 3) 무용 활동 참여 유형(한국 무용 현대 무용, 발레)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1997년 현재 대전광역시 및 층청남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무용전공자 200명과 일반학생 200명 총 40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체계적 유층집락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기입한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프로그램(SAS)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자아개념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T검증, 무용전공자의 성, 학력수준, 전공형태, 참여정도별 자아개념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변량분석(ANOVA), 그리고 자아개념하위요인을 통한 무용전공 및 전공형태에 대한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자아개념 비교에서는 사회적자아요인을 제외한 일반적자아요인, 가족적자아요인, 정신적자아요인, 신체적자아요인 모두에서 무용전공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에 있어서 자아개념 비교 분석에 있어서의 무용형태와 관련해서는 자아개념요인 중 사회적 자아, 정신적자아에서 현대무용전공자가 다른 전공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성별간 비교에서는 자아개념요인 중 일반적자아, 사회적자아 및 신체적자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유형간에는 고등학교나 대학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참여 정도 즉, 참여경력, 빈도, 강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경력 및 빈도에서 신체적자아요인만이 그 경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세째, 자아개념요인을 통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판별분석에서는 일반적 자아개념 요인(0.851), 신체적 자아개념(0.545) 사회적 자아개념(-0.355)순으로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요인임을 보여 주었고, 무용전공형태에 대한 분석에서는 사회적자아개념요인(0.886), 일반적자아개념(-0.578), 신체적자아개념(0.462)순으로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요인임을 보여주었으나 판별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2 C. 변인설정 = 3 D. 가설 = 5 E. 연구의 제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의 개념 = 7 1. 무용의 정의 = 7 2. 무용의 특성 = 9 3. 무용의 유형별 특성 = 11 B. 자아개념 = 15 1. 자아개념의 정의 = 15 2. 자아개념의 특성 및 발달 = 19 C. 신체활동 참여와 자아개념의 관계 = 23 Ⅲ. 연구방법 = 26 A. 조사대상 = 26 B. 측정도구 = 27 1. 설문지 구성 = 27 2.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 31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32 Ⅳ. 결과분석 = 34 Ⅴ. 결론 = 58 참고문헌 = 60 무용전공에 따른 자아개념 정도에 관한 연구 = 6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86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무용활동-
dc.subject무용전공-
dc.subject자아개념-
dc.subject무용-
dc.title무용활동참여 및 무용전공에 따른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lf-esteem as affected by the degree of dance participation and its specialization-
dc.format.page7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체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체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