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부희-
dc.creator박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02-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무용 창작활동의 중요성을 무용예술 전반속에서 인식하고, 이를 통한 한국 무용계의 21세기를 향한 역사적 준비와 역사적 평가를 받기 위한 준비작업을 안무라는 무용 창작행위의 작업방법의 성향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대의 무용은 창작되는 예술의 한 종류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전문가에 의해 극도로 기술화, 형식화한 무용을 그대로 답습한다는 뜻이 아니라 이를 분석하고 지향하고 무용의 본질적인 것을 파악함으로써, 무용은 창조성을 중추로한 움직임에 의한 공간 형성의 예술이라는 뜻이다. 필자는 이러한 현대의 무용이 취하는 입장을 1990년대라는 시대와 한국이라는 지역적 범위, 그리고 창작무용이라는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그 안에서의 안무성향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무용과 예술분야의 이론서를 비롯한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무용예술에서의 창작개념과 창작가치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1990년대의 한국에서의 무용 창작활동 상황을 단체중심 활동과 개인중심 활동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1990년대 무용 창작작품의 주제 내용은 7가지로 분류하여, 대표작품 33개를 주제내용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작품중 주제내용별로 각각 안무가 1인과 대표작품 1개씩을 선정하여 표현방법에 의한 작품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990년대 한국의 창작무용은 안무가의 독특한 창작정신을 작품주제 내용의 전개와 움직임의 표현과 구성 그리고 무대연출에서 보이고 있었다. 이는 무용예술에서의 창작작업이 갖는 유용한 가치로 무용이 지닌 동작 가능성을 자유로이 개발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표현형태를 창조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아이텐티티를 가지고 그 내면세계를 표현하려는 진보적인 안무가들의 활동이 더 적극적으로 진행될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무용 예술계 전반에 새로운 방향과 발전의 시도를 제시할 수 있는 역사적 평가 작업을 위한 문헌연구의 필요성과 고유한 작가정신을 가지고 스스로의 창작작품 활동에 전념하고 있는 안무가들에 대한 인물사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여 본다.;In the 1990s, creativemind in Korean dance has carried individual character with independence, and performances of creative work not only has become very popular in everywhere, but also make performing in a little theater more activated and increased an plan which is to classity performances into differenct categories. Both quantitive and qualitiv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has brought an appearance of experimental and unrestricted performance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tates that creativity are supporsted with the sence of the times,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e is to prove what creative practice in real performancex does is to show new way of dance activity and to influence on future dance in order to develop more. In chapter Ⅱ, the writer deals with a concept and value of creation to understand creative dance theory, and following chapter says a great humber of creative dance performances which are more than 9000, and creative projects which have been doing by 240 dancers are coming out continually. Actually, these are the reason it is too broad to research and study about the propensity of choreography based on creative activation in the 1990s. According to Wladyslaw Tatarjuewucz;s tgeirtm a concept of creation appears all of the art to prove importance of creative work, and it's guated in the chapter Ⅲ, B to analyze creative dance work. Moreover, there are 7 groups of performances which are divided by different subjects, a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different subject, 7 representation perforances are selected in each group; ㆍ Traditional subject, 「Sang Chym」 by Kim Hyun Ja. ㆍ Literature subject, 「picture which is Drawn by dream and greedy」by Kim Bok Hee ㆍ Historical subject 「Myung Sung Wong Hoo」 by Kook Su Ho ㆍ Abstract subject 「communication」by Jo Yun Mi ㆍ Realist subject 「without realizing」 by Kim Young Hee ㆍ Social subject 「Oh-Mon Smiled Sweetly」by Yoon Duck Kung ㆍ Religious subject 「Sam Son and Delilah」 by Jo Sung Mi Each of these performances and arrangers is analyzed with criticism and its story by refering to professional clance magazines, and it is re analyzed with the way of expression. It shows choreography mood of each different subject work. Additionally, new to performances are made in every year, and all of those projects has different subject and story and use even different way of expression; however, in writer's opinion, many of performances could be possible to make several groups under the common standard. Even though, materials are not good enough to research this dissertation, as above mentioned at the introduction, the writer's point is togive move basic materials for future or now choreographers and activation of creative dance work throught this difssertation ; performances and character of choreographers from which writer guoted are enough to deal with creative dance work in the 1990s. In early 1996, Korean dance started to be called "The Renaissance of New Dance." Nowadays, we expect that more choregraphers who descrive their interior with own indenitity come out and be active. Finally, the writer suggest that historical criticism work in dance should be one field of study and necessity of study which creator's have their own mind of theam concentrate their creative activity make a choice of dancer's charac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2 C.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무용예술의 창작개념 = 6 B. 무용예술의 창작가치 = 8 1. 창작작업의 중요성 = 8 2. 창작작업의 유용성 = 13 Ⅲ. 1990년대의 무용 창작활동 = 16 A. 단체중심의 대극장 공연활동 = 17 B. 개인 중심의 소극장 공연 활동 = 88 Ⅳ. 1990년대 무용예술에서의 창작작업 성향 = 109 A. 주제에 의한 분석 = 110 1. 전통의식적인 주제 = 113 2. 문학적인 주제 = 118 3. 역사적인 주제 = 122 4. 추상적인 주제 = 128 5. 현실적 주제 = 132 6. 사회적인 주제 = 137 7. 종교적인 주제 = 141 B. 표현방법에 의한 작품분석 = 143 1. 전통적인 주제-김현자의 [생춤] = 143 작품전개와 움직임의 특성 = 144 음악과 의상 = 146 무대미술 및 설치 = 146 Ⅴ. 결론 = 162 참고문헌 = 166 ABSTRACT =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96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창작무용-
dc.subject안무성향-
dc.title1990년대 한국의 창작무용에 나타난 안무성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 creatice dance of choreographic aspects on the 1990's-
dc.format.pagevii, 1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